References
- 김미리. 2000. 지하철 역세권 지가변화에 관한 연구-서울시 8호선 잠실역, 송파역, 문정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1쪽.
- 김원경과 이미영. 2002. 김해시 CBD의 지가 패턴. 한국도시지리학회지 5(1):15-33.
- 김유호. 2012. 도시철도 개통에 따른 광주시 역세권 지가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7(1):171-180.
- 김호용. 2010.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 교통량 예측의 정확성 향상.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138-147.
- 김호용, 김지숙, 이성호. 2012. 도심경계설정을 위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42-54.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4.042
- 서경천. 2003. 부동산 가격 추정에 있어서 비 모수적 헤도닉 방법을 도입한 공간적 변동성 측정: 부산광역시 서부산권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5(2):183-204.
- 성현곤. 2011. 대중교통 중심의 개발(TOD)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지역연구 27(2):63-76.
- 성현곤, 노정현, 김태현, 박지형. 2006. 고밀도시에서의 토지이용이 통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1(4):59-75.
- 유승환, 강준모. 2012. 역세권 공간구조특성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D 32(1):61-69.
- 유형식. 1996. 역세권개발개념 도입을 통한 시 가지정비.개발계획안-경기도 수원시 수원역 일대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32쪽.
- 윤시운, 이광국. 1999. 지하철 역세권의 상세계획구역 설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1(3):89-103.
- 이광국. 2004. 부산시 지하철 역세권의 상업용도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건설환경연구 3(1):35-51.
- 이응현, 오덕성. 2008. 도심재생 측면에서 본 고속철도 역세권 개발(계획)분석. 대한건축학회지 24(6):253-264.
- 이창무, 김흥순, 김미경. 2007. 역세권개발과 수도권 공간구조 재편. 국토계획 42(6):67-88.
- 전병운. 2011. 환경적 형평성과 도시 삶의 질의 공간적 관계에 대한 탐색.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223-235.
- 조동기. 2009. 지역 단위 조사연구와 공간정보의 활용: 지리정보시스템과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조사연구 10(3):1-19.
- 조영진. 2008. 보행접근 특성을 고려한 지하철 역세권 지가 입지특성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9쪽.
- 허윤경. 2007. 도시별 주택가격의 공간적 영향력 검증: 서울과 부산의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15(4):5-23.
- 허윤경, 이주영. 2009. 울산의 도시공간구조 변화분석: 1995-2005년 인구밀도.고용밀도.지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4(2): 111-121.
- 허창무. 2010. 복합민자역사 개발로 인한 주변 상업시설 지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9쪽.
-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258-306.
- European Commission. 1990. Green Paper on the Urban Environment. Brussels, EC.
- European Union. 1990. Green Paper on the Urban Environment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Council and Parliament. COM(90) 218pp.
- Fotheringham A.S., C. Brunsdon and M. Charlton. 2002.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he Analysis of Spatially Varying Relationships. Chichester, Wiley.
- Fotheringham A.S., M. Charlton and U. Demsar. 2008. Looking for a relationship? Try GWR. In: Miller, H.and Han J. (2nd ed.). Geographic Data Mining and Knowledge Discovery. Taylor & Francis, London, pp.227-254.
- Sa, A.C.L., J.M. Pereira, M.E. Charlton, B. Mota, P.M. Barbosa and A.S. Fotheringham. 2011. The pyrogeography of sub-Saharan Africa: a study of the spatial non-stationarity of fire-environment relationships using GWR.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13(3):227-248. https://doi.org/10.1007/s10109-010-0123-7
Cited by
- Geographic Distribution of Periphyton Diatom Species: A Case Study of Achnanthes convergens in Nakdong River Basin vol.17, pp.3,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3.175
- A Study on th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the Scale Effect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vol.16, pp.3,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3.040
- The Effect of the Regional Factors on the Variation of Suicide Rat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sis Approach vol.24, pp.2, 2014, https://doi.org/10.4332/KJHPA.2014.24.2.143
- An Empir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OD Planning Elements and Subway Ridership in Busan Metropolitan City vol.17, pp.3,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3.147
- Analysi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Housing Prices Using a GWR Model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vol.40, pp.None, 2014, https://doi.org/10.35349/tar.2014..40.001
-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적용한 빈집 발생의 공간적 특성 분석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vol.24, pp.1, 2021, https://doi.org/10.11108/kagis.2021.24.1.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