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R code as Intera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Media : Focu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인터랙티브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매체로써 QR코드 이용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 신동희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 사이언스학과) ;
  • 장우성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 Received : 2012.10.15
  • Accepted : 2012.12.26
  • Published : 2013.03.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users' acceptance process with the QR code as an interactive marketing communications tool. We collected total 200 survey data and 181 questionnaires among them were used for the analysis during for five days, from 9 to 13 in May 2011. The first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norm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ttitudes, and intention to use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 of the first research showed that subjective norms about the use of QR code affect intention to use via perceived usefulness, and also directly influence on it. The perceived usefulness has the biggest impa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research question 2 was to look at the condition effect with the presence of experience.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usefulness are not different whether or not groups experience QR code, and both groups appeared to have had significant impact.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norms and intention to use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opulation that has the experience with the QR code. In order to encourage use of the QR code, therefore, we will need to highly impress on users subjective norms which are ambient pressure on the use of QR code and positively offer marketing strategy which gives users the opportunities to get experience with the QR code.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 소비자들의 QR코드 수용과정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1년 5월 9일부터 동년 동월 13일까지 5일간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81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1은 주관적 규범, 유용성 지각, 용이성 지각, 사용태도, 이용 의도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QR코드 사용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유용성 지각을 경유하여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혹은 직접적으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유용성 지각이었다. 다음으로 연구문제 2는 이용경험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 결과 주관적 규범과 유용성 지각 간 관계는 QR코드 이용경험 유무집단에 따라 다르지 않으며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관적 규범과 이용의도 간 관계는 QR코드 이용경험이 있는 집단에서만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QR코드에 대한 수용자들의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QR코드 이용에 대한 주위의 압력인 주관적 규범을 높게 인식시키고 QR코드 이용기회를 마련하기 위한 체험마케팅을 적극 시도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계수, 인과분석 연구방법론 (성공적인 논문작성을 위한 AMOS/LISREL 이용), 서울: 청람, 2006.
  2. 김준우, 이기동, 김학회, "Web Storage에 관한 사용자 수용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TAM2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2004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608-616, 2004.
  3. 노윤미, "QR코드의 이해와 활용", 지역정보화지, 제67권, pp.37-40, 2011.
  4. 이상호, "QR코드 사용자의 수용 전, 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136-14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136
  5. 이재신, 이민영, "수정된 기술수용모델2(TAM2)를 이용한 지상파 DMB 휴대폰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18권, 제2호, pp.251-283, 2006.
  6. 파이낸셜뉴스, 2011년 3월 16일자, "동양매직, QR 코드 모바일 이벤트 열어".
  7. 스포츠월드, 2011년 3월 30일자, "'킹덤' 모바일 홈페이지 오픈 기념 이벤트".
  8.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 d=1173694.
  9.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10.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11.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Cambridge, MA, 1975.
  12. Y. Guo and S. Barnes, "Virtual item purchase behavior in virtual world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9, No.1-2, pp.77-96, 2009. https://doi.org/10.1007/s10660-009-9032-6
  13. C. L. Hsu and H. P. Lu, "Why do people play on-line games? An extended TAM with social influences and flow experience," Information & Management, Vol.41, No.7, pp.853-869, 2004. https://doi.org/10.1016/j.im.2003.08.014
  14. D. Karaali, C. A. Gumussoy, and F. Calisir,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a web-based learning system among blue-collar workers in the automotive industr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7, No.1, pp.343-354, 2011. https://doi.org/10.1016/j.chb.2010.08.012
  15. D. Shin, "User acceptance of mobile Internet: Implication for convergence technologies, Interacting with Computers," Vol.19, No.4, pp.45-59, 2007.
  16. S. Taylor and P. A. Todd,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6, No.2, pp.144-176, 1995. https://doi.org/10.1287/isre.6.2.144
  17. V. Venkatesh and F. 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46, No.2, pp.186-204, 2000. https://doi.org/10.1287/mnsc.46.2.186.11926
  18. D. Shin, J. Jung, and B. Chang, B, "The psychology behind QR Cod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 No.4, pp.1417-1426, 2012. https://doi.org/10.1016/j.chb.2012.03.004
  19. Scanny, "http://www.scany.net/kr/generator/barc odeQrcode.php#QR01"
  20. 파이낸셜뉴스, "동양매직, QR코드 모바일 이벤트 열어", 2011년 3월 16일자."
  21. V. Venkatesh and F. 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46, No.2, p.188, 2000.

Cited by

  1. An Exploratory Study of Perceived Benefits and Risks for QR Code based Virtual Fashion Stores vol.22, pp.5, 2013, https://doi.org/10.5934/kjhe.2013.22.5.477
  2. A Dual Path Model of Intention to Use QR Code Virtual St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Use Experience- vol.38, pp.6, 2014, https://doi.org/10.5850/JKSCT.2014.38.6.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