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s of the experince of donation for education to improve the teaching efficacy of pre-technology teacher with Invent touring activity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이 예비기술교사의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3.08.09
  • Accepted : 2013.09.23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at the impacts of experience of donation for education to improve the teaching efficacy of pre-technology teacher. The Invention experience of donation for education was performed with Invent-touring sponsored by Chunnam National University Invention Education Center for Teachers and was included by 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program, program execution and evaluation. Research participants were Technology education Majors and minors 20 students. The active locations were D children community center, K alternative school, D Elementary School and D middle school. For the study, various literature researches were reviewed intensively about donation for education and teaching efficacy. The instrument for the study was the modified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for technology education by 3 experts. This study was designed by single group pre and post test design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was conducted by the pre-test and post-test.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tool was conducted with Cronbach ${\alpha}$ coefficient analysis, pre-test 0.840, post-test 0.746. The analysis of data from the 5% significance level,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9.0 statistical t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eaching efficacy of pre-technolog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vention experience for educational donation technology has improved. 72. The qualitative study was performed by the interviews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Humanism was positively change and learning opportunity was provided to develop the competence of technology education teacher. Based up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donation activity for invention education need to use learning strategies for pre-technology teacher to improve teaching efficacy.

이 연구는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이 예비 기술교사의 교수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은 발명교육의 중요 활동인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체험 교육프로그램 개발,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기부활동 평가를 포함한다. 이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C대학교 기술교육과의 전공 및 부전공 학생 20명이다. 교육기부활동은 D아동지역센터, K대안학교, D초등학교, D중학교에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교육기부활동과 교수효능감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고,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검사도구는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한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를 예비기술교사에게 맞게 수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3명이 참여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 사후검사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계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전검사는 .840, 사후검사는 .746으로 나타났다. 자료의 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용된 통계도구는 SPSS 19.0 이다. 연구 결과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에 참여한 예비기술교사들의 교수 효능감이 향상되었다. 교육기부활동에 참여한 학생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질적인 고찰을 실시한 결과 교육활동을 통해 인성이 긍정적으로 변화였고, 무엇보다 기술교과지도를 위한 교수역량개발의 기회가 되었다고 답하였다. 이에 따라 예비기술교사의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수 학습전략으로 교육기부활동의 체험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교육과학기술부. Available at http://http://ncic.kice.re.kr/
  2. 교육과학기술부(2011). 교육기부 개념 및 사례, 교육부 공고 제2011-115.
  3. 강철희, 김미옥, 이종은, 이경은(2007). 나눔교육을 통한 아동의 변화 연구 : Multiple Convergence Model의 적용. 한국사회복지학, 59(4). 5-34.
  4. 김이성, 이상원, 조현준(2012). 학교 교육을 위한 기업의 교육기부 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한국 초등교육, 23(4). 307-322.
  5. 김성은(2010).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6. 김해경(2006). 중등 과학교사들의 광합성 개념과 과학교수효능감의 관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7. 신대리라(2010). 교육 실습이 예비중등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 교과교육학지식(PCK)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이윤아(2006). 초등과학 실험연수가 과학교수 효능감 및 과학교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한규, 이용환(2006). 중학교 기술 교사들의 개인적 특성과 기술 교수 효능감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25(3). 39-61.
  10. 장신호(2011). 교육기부의 개념, 운영사례, 해결과제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현안보고, 2011-02-8, 1-37.
  11. 정소영(2009).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서울시 소재 대학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정영호(2009). 중등 과학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및 자기효능감 연구 : 출신 양성 기관별 차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3. 정지훈(2012).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나눔교육.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현준, 김이성, 박태윤(2011).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육기부 활동 참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393-417.
  15. 중앙일보(2007). 봉사+학습 = 학점 서비스러닝 새바람. Available at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563821
  16. 최성연(2009). 과학 교사 효능감 관련 범주와 형성 과정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7. 함승연(2012). 기술.가정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수전략 분석. 실과교육연구. 18(4). 61-83.
  18.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19. Ashton, P. T., Webb, R. B. (1986). Making adifference : Teacher'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3. New York, NY : Longman.
  20. Bandura,A. (1977).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21. Campbell, D. T. & Stanley, J. C (1963).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design for research :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Chicago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Denham, C. H., & Micheal, J. J. (1981). Teacher' sense of efficacy : A definition of the construct and model for further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 in Personality, 11, 59-72.
  23. Gibson, S., and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76, 569-582.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24. Lortie, D. C. (1975). School Teacher : A sociological study. Chicago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National service government (2007). Bibliographic Review of Current Research On the Impact of Service-Learning : A review of current rearch. Issue brief. Available at http://www.nationalservice.gov/pdf/slresearchreview.pdf
  26. Riggs, I. M. (1988).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
  27. Riggs, I. M., and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 62-638.
  28. Schunk, D. H. (1990).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5, 71-86.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6
  29.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aserch, 15(2), 4-14
  30. Weiner, B. (1986). An attributional theory of motivation and emotion. New York : Springer-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