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업 자세를 고려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Prevention Exercise Program Considering Agricultural Work Posture

  • 투고 : 2013.06.07
  • 심사 : 2013.07.03
  • 발행 : 2013.06.30

초록

목적 : 충남지역 일개 농촌마을에서 농작업 자세를 기초로 설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운동 프로그램이 참여자의 균형능력, 요통의 기능적 장애 수준 및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충남지역 일개 마을의 농업인으로 근골격계 증상이 있는 21명에게 2008년 7월 10일부터 10월 11일까지 총 12주간, 주 1회, 회당 90분씩의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농작업 자세를 고려하여 유연성 및 근력을 강화하도록 구성하였다. 참여자 중 8회 이상 출석하고 중재 전, 후 평가에 모두 참여한 13명의 자료를 기초로 균형능력, 요통의 기능적 장애 수준 및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참여자 13명은 모두 여성으로 평균 70.55(${\pm}6.78$)세였다. 참여자들은 대부분 일반 밭농사(92.3%)에 종사하고 있으며, 작업 중 통증을 주로 느끼는 부위는 허리(69.2%)와 무릎(61.5%)이었고, 전반적인 건강상태에 대해서는 46.2%가 '건강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균형능력은 눈뜨고 오른발서기가 중재 전 평균 9.27(${\pm}5.53$)초에서 중재 후 14.22(${\pm}5.47$)초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요통의 기능적 장애 수준은 평균 19.84(${\pm}6.89$)점에서 14.38(${\pm}7.58$)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그러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에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밭농사를 주로 하는 여성 농업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운동프로그램은 참여자의 균형능력 향상 및 요통의 기능적 장애의 감소에 기여하였다. 향후에는 작업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musculoskeletal disorder prevention exercise program designed on the basis of agricultural work posture on the balance ability, Oswestry Disability level, and Psychosocial stress of participants from one rural village in Chungnam area. Method : The exercise program was provided to 21 farmers with musculoskeletal symptoms living in one village in Chungnam area. Such program was performed once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twelve weeks from July 10 to October 11, 2008, and was constructed in a way to increase flexibility and muscular strength, taking agricultural work posture into account. The balance ability,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scor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of 13 of the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more than eight times and in all of the pre- and post-assessments. Result : Thirteen participants were all women who were 70.55(${\pm}6.78$) years old on average. Most of them were engaged in general dry-filed farming. The parts where they mainly felt the pain were low back(69.2%) and knees(61.5%), and 46.2% responded 'not healthy' to the question on the overall health status. The static balance ability when standing on the right foot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the average 9.27(${\pm}5.53$) seconds before intervention to 14.22(${\pm}5.47$) seconds after intervention(p<.05).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howed a significant change, decreasing from the average 19.84(${\pm}6.89$) seconds to 14.38(${\pm}7.58$) seconds(p<.05).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the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Conclusion : This exercise program that has been conducted for the female farmers who are mainly engaged in the dry-filed farming ha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ir static ability and reduction of their Oswestry Disability Index score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differentiated exercise programs depending on work characteristics will make progress in the f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