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for Culinary Education

조리교육 현황과 발전 방안 연구

  • Lee, Jeong-Ae (Division of Food and Culinary Science, Howon University) ;
  • Kim, Choong-Ho (School of Tourism & Food Service, Yeungnam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
  • 이정애 (호원대학교 외식조리학부) ;
  • 김충호 (영남 이공대학교 관광외식학부)
  • Received : 2013.05.10
  • Accepted : 2013.11.15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to examine which education is more effective for practical cooking skill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4 yea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s to examine the recognition levels of culinary practic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for an improvement plan for culinary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Senio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eory, while the classes offered now are focusing on getting cooking certificates. The students approach cooking not only for eating food but also for the arts, showing increased interests in 'creative food' and 'fusion food.' In class, they feel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tandard for a fair assessment and English skills for the globalization of food service. Hereupon this study recognizes the current state of culinary education service, draws factors which decide the quality of culinary arts education, and examines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oretical education, practical education, assessment, and external education by using a factor analysis of twenty quality attribute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programs, operation of open practice classes and culinary organization reflecting social changes in learning courses, the culinary arts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more vitalized. In this respect, this study introduces four measures which were designed to facilitate the education of highly-skilled human resources in the culinary field.

본 연구는 조리 실기 교육에 있어서 어떤 교육방법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고 실험 대상에 따라 어떤 학습방법이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리 관련 학과를 전공하고 있는 일부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1,2,3,4,학년과 남녀를 비율을 생각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조리 실습 교육을 향상시키고자 외부 프로그램과 현재 수업의 만족도와 희망도를 알아보고 추가적으로 더 학습 하여야야할 요인은 무엇 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학년으로 갈수록 이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업은 기능사 중심 이였으며 학생들은 단지 먹기 위한 조리가 아니라 예술로서 조리에 대한 접근을 하고 있어 창작요리나 융합요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었다. 수업 시 평가는 전반적인 부분의 고른 평가를 원하고 있어 평가에 대한 기준을 세울 필요성이 있으며 세계화의 시대로 인하여 해외 취업에 대한 관심과 조리의 세계화를 위해서 외국어 분야에 대한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리교육서비스 현재 상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대학 조리 실습교육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을 도출해 보았으며, 20개의 품질속성에 대해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 이론교육만족도, 실기교육만족도, 평가만족도, 외부교육만족도를 도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