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 및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복합환승시설 유형분류

Classification of Multi-modal Transfer Center Considering the Reg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 김태균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이삼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변완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투고 : 2012.10.04
  • 심사 : 2013.01.24
  • 발행 : 2013.01.30

초록

최근 도시의 정책적 패러다임이 지속가능한 도시성장관리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교통정책도 승용차중심에서 대중교통중심으로 정책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복합환승센터의 도입은 매우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가에서 주도하는 국가기간망중심의 환승센터 뿐 만 아니라 광역 및 지역중심의 환승시설에 대한 도입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복합환승시설 도입을 위해 다양한 지역적 특성(영향권, 입지위치, 도시규모, 도시기능)과 환승시설기능(환승공간 이용방법, 연계교통수단)을 고려하여 66개의 사례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통계적인 유의성 검정을 통해 영향권-연계교통수단-도시기능조합과 도시규모-입지위치조합의 2가지 복합화된 유형을 제시하였다. 유형분류를 이용한 기존의 66개 사례지역을 정리해 본 결과 국내외 모두 비교적 규모가 큰 대도시를 중심으로 지역간 연계를 기반으로 하는 복합환승시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복합환승시설에 대한 자료가 지속적으로 축적되어질 경우 좀 더 신뢰성이 높은 유형분류의 결과를 기대해 본다.

In recent years, it was recognized that aurban policy paradigm of sustainable urban growth management and transportation policies have been shifted : from the era of automobile-oriented policy to the era of public transport policy. Against this backdrop, the introduction of the multi-modal transfer center is very consequential.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introduction of wide-area and local-centric transfer facilities, as well as the center of the country-led national backbone transfer center. This study was applicable at the multi-modal transfer center plans to introduce guidelines to provide transit facilities, considering the reg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to classify the types of multi-modal transfer center. The final types of multi-modal transfer center were classified into six, and by considering the combination of the criteria to be classified. The multi-modal transfer center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the types of facilities at domestic and abroad. If the data of multi-modal transfer are accumulated continuously, can expect a more reliable type classifi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4), 대중교통환승센터 표준화 설계기준 및 모형에 관한 연구.
  2. 국토해양부(2011), 입체.복합 공간계획 사례집.
  3. 국토해양부(2011), 제1차 복합환승센터 개발 기본계획('11-'15).
  4. 권영종, 김황배(2005), "대중교통환승센터 유형별 설계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0(2): 121-131.
  5. 김수철, 임재경(1995), 대중교통환승체계의 구축방안, 교통개발연구원.
  6. 김응철, 조용선(2008), "입체환승시설의 유형분류 및 기능분석", 한국도로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89-96.
  7. 김태균, 최대식, 장인석(2010), 사업지구내 신교통시스템 도입 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8. 조성윤(2005), 대중교통 환승센터의 체계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한국교통연구원(2009), 세계 복합환승센터 사례집.
  10. 황연하(2007), "환승센터 설계기준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교통기술과 정책, 4(1): 115-130.
  11. Kasprisim, R. and M. LaFond (1991), Major Activity Center PRT Circulator System Intermodal Transfer Station Design and Visual Impact Study.
  12. Peterson, S. G. and R. H. Braswell (1972),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for Mode Transfer Facilities", Traffic Quarterly, 26(3): 405-423.
  13. Reynolds, M. M. and C. D. Hixson (1992), "Transit vehicle meets system : A method for measuring transfer times between transit rout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349: 35-41.
  14. Volinski, J. and O. Page (2006), "Developing Bus Transfer Facilities for Maximum Transit Agency and Community Benefi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955: 3-7.
  15. Vuchic, V. R. and R. M. Stanger (1979), Design of Bus-Rail Transit Facilities.
  16. Vuchic, V. R. and S. Kikuchi (1974), "Design of Outlying Rapid Transit Station Area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505: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