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Bathroom Design Needs between the Elderly's and the Young Adults's of Cohabiting Family for Aging in Place

자택에서의 노후생활을 위한 노인거주자와 노인동거가족의 욕실디자인 요구에 대한 비교 연구

  • 김혜신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박수빈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13.10.25

Abstract

This study was progressed with literature review on aging and the bathroom design studies regarding Aging in place and the survey research. Elderly residents and Cohabiting family members, 200 subjects of each group, answered questionnaires including bathroom use, meaning of bathroom and satisfaction thereof, and the preferred bathroom design.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main use of bathroom was discharging, washing, shower & bath. Elderly residents also used it for laundry and planting, and the cohabiting residents for a rest. (2) Elderly residents took shower and bath sitting, while the cohabiting families filled the bathtub with water and took shower in the shower booth. (3) Elderly residents recognized bathroom as a private sanitary space, while the cohabiting families as a private sanitary space and a relaxation area at the same time. And Elderly residents were less satisfied with location of the bathroom and the height of the equipment. (4) Elderly and Cohabiting families mostly preferred the composition of 'bathtub + shower booth + washbasin + toilet.' Elderly residents required 'bathing assistant facilities' and the Cohabiting families required 'noise prevention' adding to 'floor heating facility,' 'emergency call facility,' and 'dressing area.' This study proposed the planning base for the bathroom design of the elderly households as well as the cohabiting households for Aging in place.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정, 하해화, 주택욕실의 사례분석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적용방안, 생활문화.예술논집 23, 2000
  2. 김민정, 재가 노인의 낙상 관련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004
  3. 김종민, 이명선,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들의 낙상사고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4권 제4호, 2007. 12
  4. 김지민, 고령사회를 위한 욕실공간 가구 및 제품 디자인의 방향,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12
  5. 김한수, 고령화 사회에 따른 자립형 노인 주거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5
  6. 백경원, 송현종, 조준필, 화장실에서의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안전손잡이 효과, 한국노년학 제22권 3호 통권 40호, 2002. 12
  7. 보건복지가족부, 노인생활안전사고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 연구보고서, 2008
  8. 신경주, 장상옥,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로의 개조, 한국생활과학연구 19, 2001. 2
  9. 유인영, 노인단독가구의 낙상과 주거환경문제,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2권 제3호 통권 제34호, 2005. 9
  10. 윤성진, 노인 낙상예방을 위한 근력운동, 스포츠건강의학, 국민체육진흥공단 연구보고서, 2006
  11. 이지숙, 박정아, 대전시 거주 노인의 욕실 및 통로공간 디자인에 대한 중요도 평가,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통권 41호, 2003. 12
  12. 이지영, 주거욕실의 다양화와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2
  13. 이호성, 아파트 거주 고령자의 거주의식 특성,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8권 제1호 통권46호, 2012. 2
  14. 이호승, 김미영, 한국인의 욕실사용 문화를 고려한 욕실디자인, 한국감성과학회지 제13권 제2호, 2010. 6
  15. 정우석, 고령화사회에 대응한 도시형 노인용 코하우징의 단위평면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8
  16. 주서령, 이지애, 노인주거시설 단위주호의 욕실계획 실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4호 통권 제51호, 2005. 8
  17. 하해화, 노화특성 유형별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를 적용한 주택개조, 건국대학교 박사논문, 2010
  18. Diana K. Harris, Dictionary of Gerontology, Green wood press, 1998
  19. Menz, H. B. Lord, S. R & Fitzpatrick, R. C, A Structural Equation Relation Model Relating Impaired Sensor Function, Fear of Falling and Gait Patterns in Older People. Gait Posture, 25,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