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growth temperature on development of fruit body in Neolentinus lepideus

생육온도에 따른 잣버섯의 생육특성 구명

  • 장명준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 이윤혜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 전대훈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 주영철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 유영복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We aim at providing consumers and farmers with various parts of mushrooms through development of new mushroom cultivation. For the mass artificial cultivation, we elucidated suitable environment conditions of Neolentinus lepideu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or the efficient cultivation of N. lepideus, temperature of mycelial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fruit body were suitable $20{\sim}23^{\circ}C$ and $20^{\circ}C$, respectively.

잣버섯 생육환경조건 중 생육온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생육온도 $20^{\circ}C$에서 상품수량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 내었으며 다음과 같다. 생육온도에 따른 갓의 명도값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적색도 및 황색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대의 경도 및 깨짐성은 17 및 $20^{\circ}C$에서 높았다. 잣버섯의 생육온도에 따른 자실체의 생육특성은 온도가 높을수록 발이유도기 및 자실체의 발생기간이 빨랐으나 수량은 모두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품수량의 경우 20에서 가장 높았다. 갓크기는 생육온도 $20{\sim}23^{\circ}C$에서 $17^{\circ}C$ 보다 컸고, 대굵기는 $17^{\circ}C$에서 가장 굵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호. 2010. 잣버섯 품종 "솔향"의 품종생산수입판매신고; 신고번호 09-06-0004-2010-1. 산림청장
  2. 이재성, 조해진, 윤기남, Nuhu Alam, 이경림, 심미자, 이민웅, 이윤혜, 장명준, 주영철, 정종천, 신평균, 유영복, 이우윤, 이태수. 2010. PCR 다형성 분석에 의한 한국산 잣버섯의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28:105-111. https://doi.org/10.4489/KJM.2010.38.2.105
  3. 윤선미, 주영철, 서건식, 지정현. 2006.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생육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한국생명과학회지. 16:225-230. https://doi.org/10.5352/JLS.2006.16.2.225
  4. 장명준, 이윤혜, 주영철, 구한모. 2010. 잣버섯 재배를 위한 액체 및 톱밥종균의 배양특성. 한국균학회지 38; 125-129 https://doi.org/10.4489/KJM.2010.38.2.125
  5. 장명준, 이윤혜, 주영철, 김성민, 구한모. 2011. 잣버섯 봉지재배 시 영양원이 균사배양 및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균학회지. 39; 171-174 https://doi.org/10.4489/KJM.2010.39.3.171
  6. 장명준, 이윤혜, 주영철, 박용진, 구한모. 2011. 잣버섯 신품종 솔향의 재배적 특성. 한국버섯학회지. 9; 101-104
  7. 古川久彦. 1992. きのこ學. 共立出版(株). pp. 84-90.

Cited by

  1. Antihyperglycemic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Neolentinus lepideus vol.43, pp.3, 2015, https://doi.org/10.4489/KJM.2015.43.3.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