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lanning Methods of Adaptively Reusing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s Cultural Spaces - Focused on the Buildings of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

문화공간 조성 사례에 나타나는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계획 방법 연구 - 유휴 산업시설의 건축물 재활용 계획 방법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13.06.25

Abstract

The study aims to draw adaptive reuse methods for the buildings of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through analyzing cases now renovated to cultural spaces. The case analysis focused on exterior, structure, space of building. and building uses. First, the adaptive reuse methods for the exterior and the structure are characterized by preserving the historicity and identity of the facilities and reproducing the placeness of area. The 'preservation' methods are the preservation of 1)the quality of material and the color, 2)the finishing material and the form, 3)the original style of architecture, 4)the material property of structure, and 5)the structure itself. The 'modification' methods are in the aspect of 1)improving the image, and 2)securing the symbolism. The 'restoration' methods are the restoration of 1)the interrupted function and 2)the demolished facilities. Second, the adaptive reuse methods for the space are characterized by utilizing the flexibility of the inside and outside spaces and creating the spaces to accommodate new purpose and to connect the functions between the facilities. The 'utilization' methods are 1)the division of inner space, and 2)the discovery of outdoor space. The 'extension' methods are 1)the connection between existing facilities, 2)the extension of existing facilities, and 3)the extension of new building. Third, the adaptive reuse methods for the building uses are use alteration 1)excluding and 2) reflecting the use of existing facilities.

Keywords

References

  1. 민연옥, 장소성 구축에 의한 유휴산업시설 재생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11
  2. 신동철,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공공영역 구축방식에 관한 연구-공원, 철도, 항만시설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9
  3. 조연주,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방법에 관한 연구 -문화공간으로 컨버전한 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1
  4. 이다운,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 창작공간의 프로그램 특성 및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 석사논문, 2011
  5. 강동진,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법론 연구-산업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1권 제1호, 2010
  6. 서원, 근대 산업시설의 재생:당인리 발전소 리노베이션 계획안,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2009
  7. 고흠, 근대 산업유산을 재활용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당인리화력발전소 활용계획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2009
  8. 김현주, 이상호, 입지유형에 따른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계획 특성 연구-문화공간을 통한 소프트웨어적 활용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8권 제4호, 2012
  9. 장성수, 도시재생사업은 무엇이고 건축은 무엇을 하여야 하나?, 대한건축학회지 월간건축 제52권 제7호, 2008
  10. 문용구, 근대건축문화재의 전시전용에 따른 전시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1
  11. 추용욱, 강원도 근대산업유산의 보존 및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강원발전연구원, 2009 : 그림 11 평면도
  12. 박은선, 문화도시 부산의 유휴공간 활용 방안 연구,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논문, 2008
  13. 월간 굿모닝 인천, 2009.9
  14. 오민근, 서진영, 서울시 창작공간 이야기 서울, 문화를 품다, 초판, 생각의 나무, 2010
  15. 선유도공원, 정영선; 조성룡, 월간 건축문화사 v.254 2002:그림9 단면도
  16. 최예선의 근대문화유산기행 http://sweet-workroom.khan.kr/25
  17. 금천예술공장 http://blog.naver.com/sas_g/o
  18. 2011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http://www.cheongjubiennale.or.kr/home/main.d
  19. 청주시 문화산업진흥재단 http://www.cjculture.org/:그림4 평면도
  20. 서울특별시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http://nanjistudio.seoul.go.kr/
  21. 포천아트밸리 http://www.artvalley.or.kr/
  22. 한국관광공사 http://www.visitkorea.or.kr/
  23. 소금박물관 http://www.saltmuseum.org
  24. 문경석탄박물관 www.coal.go.kr/
  25. 인천아트플랫폼 http://www.inartplatform.kr/:그림 17단면도, 그림 18 단면도, 그림 19 평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