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 분석을 통한 QR 코드의 활용방안 연구 -물류.유통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QR Code through Case Study -Focused on Logistics and Distribution Sector-

  • 투고 : 2013.11.19
  • 심사 : 2013.12.28
  • 발행 : 2013.12.31

초록

QR 코드는 저장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1차원 바코드에 비해 매우 크고,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코드화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RFID와 비교해 생성비용이 저렴하며 별도의 장비 없이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각종 산업의 판매, 유통, 생산관리, 품질관리 등에 적용되어 온 1차원 바코드나 항만, 물류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널리 쓰이는 RFID와는 달리, QR 코드는 대부분 일반인 대상의 생활 밀착형 서비스에 머물러 있었다. 현재 광고를 통한 마케팅 영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제조, 유통, 물류 분야에서 조금씩 활용 사례가 늘고 있지만 아직은 미약한 수준이어서 체계화된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QR 코드의 이론적 고찰과 활용사례 분석을 통하여 식자재의 공급사슬관리(SCM)에 QR 코드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QR 코드를 공급사슬관리에 활용할 경우 데이터의 이동성 확보에 따른 물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물류비용 절감효과 등 효율성 제고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QR Code can save much more information than 1D Bar Code and enco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s it takes less general cost than high priced RFID, it can be recognized through smart-phone without any special facilities. Despite these strengths, QR Code is just used by general people for their daily life service, while 1D Bar Code is applied in all kinds of industry like sales, distribution, production management, quality management and so on. And RFID is also used in many industrial field like harbor and distribution area. The range of QR Code's usage is getting broad but still restrictive. So it is required to make new organized system.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pplying QR Code in the SCM. Connecting QR Code with SCM, it secures space for data's movement. And it helps not only rise the speed and accuracy of data flow but also reduce logistical cost.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중억, "국내 도서관에서 바코드와 RFID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4권 제2호, 2010.
  2. 글로벌 로지스텍, "유통/물류 산업의 정보화 표준과 비전", 2010.
  3. 김병찬.정성훈.임재홍,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2차원 바코드 및 RFID 응용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4, 49-54.
  4. 더존씨앤티, "2차원 코드 QR코드 기술 및 응용사례 소개," 2010.
  5. 박대용, "제3자 물류업체의 물류정보시스템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6. 박문성.정윤수.유극현.김혜규, "우편업무를 위한 2차원 바코드의 활용 동향,"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01.
  7. 박종흥, "스마트폰으로 더욱 친숙해진 바코드," 우정정보, 제 84권, 2011, 5-14.
  8. 박준기, "공급사슬환경에서 RFID 기술이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9. 박찬정.현정석, "스마트폰 기반의 QR코드 해석기 성능분석 및 응용개발,"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2009, 2242-2250.
  10. 변진영.안요한.이재웅.이기영, "스마트폰에서의 QR-Code 보안기법에 대한 연구,"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2011, 699-700.
  11. 손대일, "QR 코드의 서비스 동향 및 전망,"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0.
  12. 이근호.조영빈.윤경화, "유비쿼터스 컴퓨팅 구현의 핵심 RFID 기술 개요," 전파:융합사회의커뮤니케이션리더, 통권 제 114호, 2003, 32-35.
  13. 이종태, "바코드와 RFID를 사용한 수.발주 시스템의 연동,"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4. 전자정보센터, "RFID보급에 따른 상품유통과 재고관리의 발전방향," 2004.
  15. 지식경제부, "RFID 기반 국제물류 통합 Platform 구축 연구기획 보고서," 2006.
  16. 최혁준.최문성, "RFID/USN 활용을 통한 물류 경쟁력 제고 방안," e-비즈니스연구, 제11권 제 2호, 2009.
  17.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일본의 M-QR코드 활용현황 및 시사점," 2008.
  18. KT종합기술원, "2차원 바코드 시장동향 및 전망", 2010.
  19. SOS정보기술연구소, "QR코드 해설 및 적용사례 소개," 2009.
  20. www.qrcode.com
  21. www.qrdi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