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조경에서 분(盆)을 이용한 식물의 활용과 애호 행태

Plant Species Utilization and Care Patterns Using Potted Plants in the Traditional Gardening

  • 김명희 (중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Kim, Myung-H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oongbu University)
  • 발행 : 2013.09.30

초록

본 연구는 선조들이 궁궐이나 사가(私家)의 정원에 분을 이용하여 식물을 완상한 실증적인 사례들에 대하여 고문헌과 고전시문을 고찰하고 해석하여, 분에 식재된 식물소재와 분식물의 수형 및 식재기법 그리고 분식물의 배치와 애호행태 등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분식물을 주제로 한 시문과 회화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에 식재되어 애용된 식물로 목본류는 매화나무와 소나무를 비롯하여 만년송, 대나무, 동백나무, 석류나무, 치자나무 등 19종이고, 초본류는 국화와 연(蓮)을 비롯하여 12종이다. 둘째, 수형을 인위적으로 각별하게 가꾼 수종은 매화나무와 소나무로 두 식물은 왕피나 규반, 반간 등 줄기의 굴곡이 심한 생김새의 수형을 만들었으며, 기이한 등걸에 접붙인 매화나무와 괴석 위에 뿌리를 뻗게 석부하여 수형을 가꾼 소나무 분재도 있다. 분재의 수형미를 위해 노송에 솔방울을 달거나 줄기에 담쟁이덩굴을 식재하기도하고, '종분취경'이라 하여 분토에 이끼가 생기게 하는 부가적인 방법도 활용하였다. 식재기법으로 수경재배, 석부작, 숯부작, 모아심기 등도 시문에 표현되어 있다. 셋째, 분식물이 배치된 외부공간으로는 궁궐의 연조공간이나 연침공간, 사가의 건물 주변과 마당, 섬돌 위 등에 놓여 점경물 역할을 하였다. 분식물은 서재나 사랑방의 탁자나 책상, 문갑 위, 베갯머리 등에 놓여 실내공간의 소품 역할을 하며, 선비들은 이들 분식물의 고유의 특성과 상징성에서 의미를 취하여 즐겼다. 넷째, 분매(盆梅)의 개화시기에는 시회를 열어 매화를 감상하고 술을 마시며 시작활동을 하였으며, 국화 개화시는 술잔에 띄우거나 그림자놀이 등 풍류를 즐겼다. 다섯째, 분식물은 궁궐이나 사대부들의 아취 있는 모임이나 결혼식과 제사 등의 행사에서 점경물의 역할을 하였다. 여섯째, 분식물은 국가 간의 공물로 사용되기도 하고, 왕에게 드리는 진상품이나 왕의 하사품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선비들 사이에도 분식물을 주고받은 사례가 많으며, 목은 이색의 목은시고 에 분매를 선물한 최초의 기록이 있다. 일곱째, 분매와 분국, 분치, 분연 및 분에 심은 수선화 등의 개화시에 이들 식물의 고유의 향기를 즐기며, 시문으로 표현하였다. 여덟째, 동백나무, 서향화, 치자나무, 귤나무, 대나무, 석류나무, 해당화, 파초 등 남부수종이나 외래수종 및 내한성이 약한 종은 엄동설한에 중부이북지방의 실내에서 푸르름을 즐기기 위하여 분에 심어 활용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ancient writing and poetry regarding cases of appreciating plants by using pots in a garden of a palace or private houses by ancestors, and examined shape and planting method of plant species and potted plants, arrangement and preference of potted plants. A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description research method which examines and interprets poem and painting based on potted pl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plants which were favorably used for potted plants include 19 kinds such as Prunus mume, Pinus densiflora, Pinus pumila, Phyllostachys spp., Camellia japonica, Punica granatum, and Gardenia jasminoidesa, and as for herbs, 12 kinds such as Chrysanthemum monifolium and Nelumbo nusifera . Second, the species which were specially arranged into artificial shapes include Prunus mume and Pinus densiflora. The two plants made the shape of severe curves of stems such as Wangpi. Gyuban, and Bangan, and there are Pinus densiflora dwarfed potted plant whose roots are stretched on Prunus mume grafted into a strange stump and an oddly shaped stone. For the beauty of the dwarfed tree shape, pine cones are added to an old Pinus densiflora or Parthenocissus tricuspidata is planted to stems, and additional method of making moss on the soil, which is called 'Jongbunchuigyeong'. As for planting method, water culture, planting on a stone, planting on a charcoal, and assembled planting are expressed in poetry. Third, as for external space for potted plants, a place where a king stays, a bed room for a king, surrounding areas and gardens of private houses, and step stones were used as a space which adds artistic effects. Potted plants are placed on a table in a library, on a desk, on a drawer, and near a pillow as a small items in a room, and scholars enjoyed original characteristics and symbolism of the potted plants. Fourth, at the time of flowering of Prunus mume, poetry event was held to enjoy the tree and writing poetry begun. And at the time of flowering of Chrysanthemum monifolium, the flowers were floated in a liquor glass or shadow play was enjoyed. Fifth, potted plants played the role of garden ornaments in elegant events of a palace, the gentry, wedding ceremony, and sacrificial rites. Sixth, potted plants were used as tributes between countries, donation to a king, or a gift of a king.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ases where scholars exchanged potted plants and there is the first record of giving a potted plant in 'Mokeunsigo' by Mokeun Isaek, scholar in the late era of Goryeo. Seventh, at the time of flowering Prunus mume, Chrysanthemum monifolium, Gardenia jasminoides, Nelumbo nusifera, and Narcissustazetta var. chinensis, they enjoyed the particular fragrance and express it into poetry. Eighth, plant species from southern parts such as Camellia japonica, Daphne odora, Gardenia jasminoides, Citrus unshiu, Phyllostachys spp., Punica granatum, Rosa rugosa, and Musa basjoo, or foreign plant species, and species weak against the cold were utilized as pot plants for enjoying green trees indoors in northern central province in harshly cold winter.

키워드

참고문헌

  1. 고하수(1984). 한국의 꽃예술사. 서울: 하수출판사.
  2. 김세원(2003). 분재. 서울: 대원사.
  3. 농촌진흥청(2003). 고농서국역총서 4. 증보산림경제 I. 柳重臨, "增補山林經濟".
  4. 손미선(2005). 작은박물관 101곳. 파주: 김영사.
  5. 송희경(2009). 정원속의 작은 정원-조선 후기 분경 애호와 원림화의 분경. 동방학. 7: 401-440.
  6. 송희경(2010). 사랑채가 있는 풍경-조선 후기 서재문화와 서재의 시각화-. 동양고전연구. 38: 295-329.
  7. 안대회 편역(2005). "산수간에 집을 짓고". 徐有榘, "林園經濟". 파주: 돌베개.
  8. 안대회(2007). 조선의 프로페셔널. 서울: (주)휴머니스트.
  9. 안대회(2012). 조선 후기 취미생활과 문화현상. 한국문화. 60: 65-96.
  10. 윤평섭(1977). 정서생활을 위한 기초적인 분재기술. 새농사.
  11. 이병훈 역(2009). 양화소록. 강희안, "養花小錄". 서울: 을유문화사.
  12. 이상희(2004).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2. 한국 꽃문화사를 최초로 집대성한 세기의 결실. 서울: 넥서스Books.
  13.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한국전통조경식재. 서울: 수류산방 중심.
  14. 이재숙(2010). 고려와 조선시대 분재의 역사와 소재 특징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종묵 역(2009). 사의당지, 우리집을 말한다. 洪敬謨, "四宜堂志" 서울: (주)휴머니스트.
  16. 이종석, 서고은, 곽혜란, 방광자(1991). 분재용 소재의 종류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2): 19-26.
  17. 임선영(2004). 도제 분재에 관한 연구: 분경을 중심으로.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민(2004). 미쳐야 미친다. 조선 지식인의 내면 읽기. 서울: 푸른역사.
  19. 정민(2005). 19세기 문인지식인층의 원예 취미. 한국한문학연구. 35: 35-77.
  20. 정민(2007).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서울: (주)휴머니스트.
  21. 정민, 김동준외(2011).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파주: 태학사.
  22. 정봉구(2009). 조선 후기 한양의 원림에 관한 연구: 경화사족의 원림기와 원림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상현(2005). 우리나라 사료에 나타난 분재문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재훈(2007). 한국전통조경. 파주: 도서출판 조경.
  25. 정한원(2001). 자연과 분재. 서울: 오성출판사.
  26. 홍형순(2011). 고전 시문을 통해 본 파초의 식재 의미와 설계용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2): 52-62.
  27. 홍형순(2013). 전통정원에서 '오동'의 수종, 식재 위치와 경관적 활용.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2): 20-30.
  28. http://db.itkc.or.kr (한국고전종합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