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rine Pollution and Marine Litter Managements in Korea

우리나라 해양오염 및 해양폐기물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Kwang-H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Kwon, Young-Du (Department of Health Environment, Hanzhong University) ;
  • Kim, Jong-Sung (East Regional Headquarters Korea Coast Guard)
  • 박광하 (강릉원주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 권영두 (한중대학교 보건환경학과) ;
  • 김종성 (동해해양경찰서 김종성)
  • Received : 2013.10.25
  • Accepted : 2013.12.10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at occur in the ocean and the efficient management of marine litter on marine pollution oil spill response one step further strategies are needed. Marine pollution accidents occurred in 2011, a total of 287 and was found in runoff 369 kL,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decreased by 13% and 39%. Average amount of marine materials during 5-years represent the oil flow of 310.5 kL (heavy fuel oil of 106.0 kL, diesel of 178.9 kL, oily bilge water of 22.3 kL, other oil of 7.7 kL) and the waste of 62.3 tons, the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was 510.6 kL. Marine emissions in 2011 by type of waste that a total amount of dumping 3,972 $m^3$, and livestock manure 795 $m^3$(20%), waste water 1,431 $m^3$(36%), sewage sludge 887 $m^3$(22%), wastewater sludge, 813 $m^3$(21%), manure 5 $m^3$(0.1%), other 41 $m^3$(0.9%), respectively. The concept of marine waste and needs to be more clearly defined. Integrated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according to the incident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remove of coastal pollution, response officer needs korean coast response system. Like the marine pollution response, coastal pollution response systems also require step response.

해양에서 발생하는 해양폐기물의 효율적인 관리와 해양오염방제시스템에 대한 진일보한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2011년에 발생한 해양오염사고 건수는 총 287건이며, 유출량은 369 kL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3%, 39%가 감소하였다. 해양물질별 5년 평균량을 살펴보면, 오일 유출량 310.5 kL(중유 106.0 kL, 경유 178.9 kL, 선저폐수 22.3 kL, 기타유 7.7 kL)이고, 폐기물 62.3톤, 위험유해물질(HNS) 510.6 kL로 나타났다. 2011년도 폐기물 종류별 해양배출은 총 투기된 양은 3,972 $m^3$이고, 가축분뇨 795 $m^3$(20%), 폐수 1,431 $m^3$(36%), 하수슬러지 887 $m^3$(22%), 폐수슬러지 813 $m^3$(21%), 분뇨 5 $m^3$(0.1%), 기타 41 $m^3$(0.9%)로 나타났다. 해양폐기물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유해화학물질관리에 따른 통합사고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해안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방제책임자가 활용 할 수 있는 한국형 해안방제시스템의 필요하다. 해상방제와 마찬가지로 해안방제도 단계적 대응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R.B.Clark 저, 윤이용 역, 해양오염, 동화기술, pp. 6. (2003).
  2. 권영두 외 9인, 환경과 인간, 동화기술, pp.106. (2008).
  3. 박수진, "최근 국내해양환경법제도 변화의 고찰 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환경안전학회, 제13권. 제4호, pp. 43-50. (2007).
  4. 한국해양오염방제조합, 방제능력 확보방안 연구, pp. 3-4. (2002).
  5. 윤종휘, 국승기, 김상운, 문정환, 윤혁수, "현행 국가방제능력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신개념의 방제능력 도입 -", 2010년도 해양환경안전학회 춘계학술발표회, pp. 23-29. (2010).
  6. 목진용, "우리나라 해안방제 개편방안",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p. 23-25. (2009).
  7. 2012년 해양경찰백서, 해양경찰청. (2012).
  8. 해양환경관리법, 해양수산부. (2013).
  9. 해양수산부, 폐기물 해양배출제도 운영 참고자료. (2006).
  10. 최종욱. 이승환, "화학물질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미국의 방제체제 분석과 국내의 방제정책 방안", 해양환경안전학회, 15(3), pp. 205-21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