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st-Effect Analysis between Portal-Based and SNS-Based Advertisements

e러닝에서 소셜커머스 기반의 광고와 포털사이트 기반의 광고 간 투자비용 대비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 Received : 2013.06.16
  • Accepted : 2013.09.06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Recently, the social commerce on Facebook.com and Twitter.com, which is represented by SNS (Social Network Service), has been expanding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SNS marke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ost-effect analysis between portal-based advertisement and SNS-based advertisement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y for e-learning content providers. The results showed that portal-based advertisement is more effective than SNS-based advertisement in term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gainst cost. According to these empirical research results,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learning content providers in an attempt to enable them to take competitive advantage.

Keywords

References

  1. 엄명용, 김태웅,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본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35권, 제1호, 2006, pp. 51-80.
  2. Barbour, M. K., "Principles of Effective Web-based Content for Secondary Perceptions,"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 21, No. 3, 2007, pp. 93-114. https://doi.org/10.1080/08923640701299058
  3. 손달호, "이러닝에서 상호작용과 교과목 요인이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1권, 제3호, 2011, pp. 85-86.
  4. Rosenberg, M. J., "E-Learning: Strategies for Deliver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Mcgraw-Hill Companies, 2001, pp. 15-31.
  5. 이인숙, "e-러닝 사이버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문음사, 2002, pp. 15-17.
  6. 김창수, 권혁인, 김승욱, 문희정, 이성호, 정재진, 최하눌, "디지털콘텐츠 비즈니스," 청람, 2010, p. 72.
  7. 윤자룡, 김연진, 남승권, 최완식, "e-러닝 환경에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행동양식에 관한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 37, No. 1, 2012, pp. 110-111.
  8. 엄명용, 김태웅,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본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35권, 제1호, 2006, pp. 51-80.
  9. 김효근, 곽소아, 서현주, "기업의 e-Learning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맥락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4, pp. 36-44.
  10. BIR Research Group, "융합형콘텐츠 글로벌 최신산업 동향," 비아이알, 2011, p. 246.
  11. 박상훈, "이러닝 수강권' 소셜커머스서 불티," 디지털타임즈, 2011년 10월 5일,
  12. 김철환, "소셜커머스 해외 추진 사례와 전망," KT 경제경영연구, 2010, pp. 1-14.
  13. 한은경, 송석재, 임한나, "소셜커머스의 이용 동기와 만족,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이용과 충족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3호, 2011, pp. 301-310.
  14. Tedeschi, Bob, "Like Shopping? Social Networking? Try Social Shopping," NewYork Times, September 11, 2006.
  15. Chevalier, Judith A. & Dina Mayzlin, "The Effect of Word of Mouth on Sales:Online Book Review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43, No. 3, 2006, pp. 345-354. https://doi.org/10.1509/jmkr.43.3.345
  16. Liu, Yong, "Word of Mouth for Movies:Its Dynamics and Impact on Box Office Revenue," Journal of Marketing, Vol. 70, July, 2006, pp. 74-89. https://doi.org/10.1509/jmkg.70.3.74
  17. 구동수, "국내 소셜커머스 기업 마케팅 분석을 통한 SNS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pp. 69-73.
  18. 전병호, 김정, 강병구, "기업 마이크로블고르 이용 동기 및 만족의 한중 비교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지, 제9권, 제1호, 2013, pp. 177-188.
  19. 박노현, 전대유, "UCC 정보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산업정보학회지, 제8권 제2호, 2012, pp. 161-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