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in training programs for cooperating teachers in childcare practicum. The 368 childcar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lived in D City. The researchers modified the questionnaire from the study of Woon-Ju Cho (2001).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d cross tab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purpose of the training programs for cooperating teachers in childcare practicum, they perceived the acquisition of the abilities to instruct effective teaching methods as the purpose of the training programs for cooperating teachers in childcare practicum. Second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childcare practicum,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nts' education and experiences.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feedback on the journal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level. Thirdly,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formats of the training programs for cooperating teachers in childcare practicum according to education levels and experience levels, the participants' preferred short-term education during the semester (after returning to the workplace on weekdays). In specific, they preferred less than three hours of education for a three-day or shorter period.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training programs, three days or less weekly and one to two hours daily were preferred.
본 연구는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며, 연구대상은 D광역시의 보육교사 368명이다. 연구도구는 조운주(2001)의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목적을 학력 경력에 따른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학력과 경력에서 '효율적인 교수방법에 대한 지도 능력'을 제일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학력 경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저널에 대한 피드백에서는 경력에 따른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형식에 대한 학력 경력에 따른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 시기는 학기 중(평일 귀가 후) 단기교육과 3일 이하 3시간미만의 교육을 선호하였다. 장기지속 교육의 경우 주당 3일 이하, 1일 1-2시간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육 참여 여부는 58.4%였고, 앞으로 이러한 요구를 반영한 보육실습 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행되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