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재희, 김진영(2013).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76, 121-138.
- 권연희(2013). 보육교사의 생활만족에 대한 조직풍토,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4, 131-151.
-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 19-39.
- 김은정(2009).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효능감과 역할수행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의향(2011). 아동존중 보육실현을 위한 보육교직원의 자질: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영유아보육의 방향과 전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 111-113.
- 김인숙(2010). 보육교사가 지각한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사회, 정서적 행동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창기(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문제중심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9, 315-336.
- 김한나, 송지연, 오유경, 최지원, 유계숙(2011). 보육교사의 교사직 지속, 이직 이유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3), 91-116.
- 민하영, 권기남(2009).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사회적 정서지지와 자아탄력성 및 역할갈등 간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91-99.
- 박서연, 정영숙(2010). 어머니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및 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1), 167-167.
- 박영신(2012).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과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1), 63-80.
- 박유진(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지현(2006).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현진(1997).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서현주(2006).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송미선, 김소양(2009).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99-119.
- 송진숙, 김규수, 송진영(2010).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12(1), 106-123.
- 설혜정, 이소희(1999). 유아교육기관내 동료 교사 간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6(2), 281-315.
- 신현정, 박진성(2010).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탐색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4(2), 147-170.
- 심숙영(1999). 유아교사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분석. 유아교육연구, 19(2), 5-20.
- 심순애(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안경애(2007).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직무스트레스의 양상 및 해소 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안영혜, 김형재, 홍순옥(2013). 영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78, 27-53.
- 양병한(2003). 초등 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41(4), 285-309.
- 엄정애, 김혜진(2005). 유치원 종일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교육연구, 25(5), 75-100.
- 유지연(2011).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유현정(2011).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이직의도간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민규(2001). 현대생활의 적응과 정신건강. 서울: 교육과학사.
- 이옥형(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 29-57.
- 이은석(2010). 자아탄력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정희, 조성연(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지역생활과학회지, 20(4), 559-570.
- 이채호, 고태순(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보육효능감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구조모형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173-185.
- 정혜욱, 이옥형(2011).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31-53.
- 정효정(2003). 보육교사의 조직 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33, 273-305.
- 조성연, 구현아(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아동학회지, 26(4), 55-70.
- 조성연, 이정희(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과 원장, 동료의 사회적 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29-42.
- 차경호(2004).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1(3), 321-337.
- 최인수, 송미연(2002). 24시간 어린이집 야간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서울과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생활과학, 5, 157-175.
- 최진혜, 강현아(2012). 아동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개인적 자원이 소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5), 229-249.
- 한국유아교육학회(2012). 더 나은 유아교육과정을 위한 과제와 전망,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년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 홍금자(2002). 보육교사 양성 교과과정에 관한 비교적 고찰. 한국영유아보육학, 31, 287-325.
- 홍승희(2009).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 Blase, J. J. (1986). A qualitative analysis of sources of teacher stress: consequences for performanc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1), 13-40. https://doi.org/10.3102/00028312023001013
- Block, J. H.,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 Curbow, B. (1990). Job stres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Review, 53(1), 27-35.
- Fraser, M. W., Kirby, L. D., & Smokoski, P. R. (2003).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In M. W. Fraser (Ed.), Risk & resilience in childhood (pp. 13-66). Washington, DC: NASW Press.
- Gu, Q. & Day, C. (2007). Teachers resili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8), 1302-1316. https://doi.org/10.1016/j.tate.2006.06.006
-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67-1079.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
- Kovess-Masfety, V., Rios-Seidel, C., & Sevilla-Dedieu, C. (2007). Teachers' mental health and teaching level.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7), 1177-1192. https://doi.org/10.1016/j.tate.2006.07.015
- Masten, A., S., Hubbard, J., Gest, S., Tellegen, A., Garmezy, N., & Ramirez, M. (1990). Competence in context of adversity: Pathways to resilience and maladaptation from childhood to late adolesce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1(1), 143-16.
- Mau, W. C., Ellisworth, R., & Hawley, D. (2008). Job satisfaction and career persistence of beginning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 22(1), 48-61.
-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 Smith, N. P. (2001). Teaching stress: teacher health and medical util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 Smith, B. W., & Zautra, A. J. (2008).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in women with arthritis: Test of a two factor mode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6(5), 799-810. https://doi.org/10.1037/0022-006X.76.5.799
- Stoalard, J. & Lehman, M. B. (2004). Influences on satisfaction and retention of 1st-year teachers: The importance of effective school managem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40(5), 742-771. https://doi.org/10.1177/0013161X04268844
- Tugade, M. M., & Fredrickson, B. L. (2004). Resilient individuals use positive emotions to bounce back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2), 320-333. https://doi.org/10.1037/0022-3514.86.2.320
- Wilson, C. (1979). Survey conducted in San Diego County. San Diego, California: Development of Education.
Cited by
- A Case Study on Childcare Teachers' Facial Expression Language: Focused on the Opinions of Teachers, Directors, and Parents vol.32, pp.5, 20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5.107
-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vol.34, pp.5, 2016, https://doi.org/10.7466/JKHMA.2016.34.5.21
-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vol.9, pp.6,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417
-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성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vol.10, pp.1,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131
- Effect of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REBT) on Job Stress & Resilience of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vol.21, pp.6, 2013, https://doi.org/10.35594/kata.2014.21.6.014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vol.10,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143
- 성폭력 관련기관 상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자아탄력성 매개중심으로- vol.7, pp.6, 2017, https://doi.org/10.22156/cs4smb.2017.7.6.193
-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자아탄력성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vol.18, pp.12,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390
-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행복에 대한 은유분석 vol.14, pp.6,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6.205
- 보육교사의 놀이성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vol.17, pp.2, 2021,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