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김리진 (고려대학교 사회정서발달연구소) ;
  • 홍연애 (대덕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3.04.11
  • Accepted : 2013.08.15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in childcare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192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Ego-Resilience by Park(1996), Psychological well-being by Kim(2008), and Job Stress by Hong(2009).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analysis, mean, & standard devi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s ${\alpha}$ for reliability by SPSS 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ego-resilience was higher than average.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er than average.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job stress was lower than average. Second,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aving significant influences on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job stress. Optimistic thinking and anger control among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ego-resilience and environmental mastery among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psychological well-being explained 46% of variance in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job stress.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s for reducing job stress in childcare teacher and suggest the basis of an education program for childcare teacher.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여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92명의 보육교사들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 내적 합치도(Cronbach's ${\alph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낙관적 사고와 분노조절,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통제력이 직무스트레스 전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량의 46%를 설명하였다. 이는 보육교사가 낙관적 사고를 하고 분노조절을 잘 할수록, 또한 환경에 대한 통제를 잘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보육정책과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재희, 김진영(2013).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76, 121-138.
  2. 권연희(2013). 보육교사의 생활만족에 대한 조직풍토,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4, 131-151.
  3.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 19-39.
  4. 김은정(2009).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효능감과 역할수행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의향(2011). 아동존중 보육실현을 위한 보육교직원의 자질: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영유아보육의 방향과 전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 111-113.
  6. 김인숙(2010). 보육교사가 지각한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사회, 정서적 행동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창기(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문제중심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9, 315-336.
  8. 김한나, 송지연, 오유경, 최지원, 유계숙(2011). 보육교사의 교사직 지속, 이직 이유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3), 91-116.
  9. 민하영, 권기남(2009).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사회적 정서지지와 자아탄력성 및 역할갈등 간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91-99.
  10. 박서연, 정영숙(2010). 어머니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및 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1), 167-167.
  11. 박영신(2012).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과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1), 63-80.
  12. 박유진(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지현(2006).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현진(1997).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서현주(2006).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송미선, 김소양(2009).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99-119.
  17. 송진숙, 김규수, 송진영(2010).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12(1), 106-123.
  18. 설혜정, 이소희(1999). 유아교육기관내 동료 교사 간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6(2), 281-315.
  19. 신현정, 박진성(2010).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탐색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4(2), 147-170.
  20. 심숙영(1999). 유아교사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분석. 유아교육연구, 19(2), 5-20.
  21. 심순애(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안경애(2007).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직무스트레스의 양상 및 해소 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안영혜, 김형재, 홍순옥(2013). 영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78, 27-53.
  24. 양병한(2003). 초등 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41(4), 285-309.
  25. 엄정애, 김혜진(2005). 유치원 종일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교육연구, 25(5), 75-100.
  26. 유지연(2011).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유현정(2011).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이직의도간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민규(2001). 현대생활의 적응과 정신건강. 서울: 교육과학사.
  29. 이옥형(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 29-57.
  30. 이은석(2010). 자아탄력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정희, 조성연(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지역생활과학회지, 20(4), 559-570.
  32. 이채호, 고태순(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보육효능감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구조모형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173-185.
  33. 정혜욱, 이옥형(2011).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31-53.
  34. 정효정(2003). 보육교사의 조직 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33, 273-305.
  35. 조성연, 구현아(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아동학회지, 26(4), 55-70.
  36. 조성연, 이정희(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과 원장, 동료의 사회적 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29-42.
  37. 차경호(2004).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1(3), 321-337.
  38. 최인수, 송미연(2002). 24시간 어린이집 야간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서울과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생활과학, 5, 157-175.
  39. 최진혜, 강현아(2012). 아동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개인적 자원이 소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5), 229-249.
  40. 한국유아교육학회(2012). 더 나은 유아교육과정을 위한 과제와 전망,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년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41. 홍금자(2002). 보육교사 양성 교과과정에 관한 비교적 고찰. 한국영유아보육학, 31, 287-325.
  42. 홍승희(2009).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Blase, J. J. (1986). A qualitative analysis of sources of teacher stress: consequences for performanc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1), 13-40. https://doi.org/10.3102/00028312023001013
  44. Block, J. H.,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45. Curbow, B. (1990). Job stres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Review, 53(1), 27-35.
  46. Fraser, M. W., Kirby, L. D., & Smokoski, P. R. (2003).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In M. W. Fraser (Ed.), Risk & resilience in childhood (pp. 13-66). Washington, DC: NASW Press.
  47. Gu, Q. & Day, C. (2007). Teachers resili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8), 1302-1316. https://doi.org/10.1016/j.tate.2006.06.006
  48.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67-1079.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
  49. Kovess-Masfety, V., Rios-Seidel, C., & Sevilla-Dedieu, C. (2007). Teachers' mental health and teaching level.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7), 1177-1192. https://doi.org/10.1016/j.tate.2006.07.015
  50. Masten, A., S., Hubbard, J., Gest, S., Tellegen, A., Garmezy, N., & Ramirez, M. (1990). Competence in context of adversity: Pathways to resilience and maladaptation from childhood to late adolesce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1(1), 143-16.
  51. Mau, W. C., Ellisworth, R., & Hawley, D. (2008). Job satisfaction and career persistence of beginning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 22(1), 48-61.
  52.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53. Smith, N. P. (2001). Teaching stress: teacher health and medical util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54. Smith, B. W., & Zautra, A. J. (2008).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in women with arthritis: Test of a two factor mode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6(5), 799-810. https://doi.org/10.1037/0022-006X.76.5.799
  55. Stoalard, J. & Lehman, M. B. (2004). Influences on satisfaction and retention of 1st-year teachers: The importance of effective school managem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40(5), 742-771. https://doi.org/10.1177/0013161X04268844
  56. Tugade, M. M., & Fredrickson, B. L. (2004). Resilient individuals use positive emotions to bounce back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2), 320-333. https://doi.org/10.1037/0022-3514.86.2.320
  57. Wilson, C. (1979). Survey conducted in San Diego County. San Diego, California: Development of Education.

Cited by

  1. A Case Study on Childcare Teachers' Facial Expression Language: Focused on the Opinions of Teachers, Directors, and Parents vol.32, pp.5, 20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5.107
  2.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vol.34, pp.5, 2016, https://doi.org/10.7466/JKHMA.2016.34.5.21
  3.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vol.9, pp.6,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417
  4.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성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vol.10, pp.1,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131
  5. Effect of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REBT) on Job Stress & Resilience of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vol.21, pp.6, 2013, https://doi.org/10.35594/kata.2014.21.6.014
  6.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vol.10,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143
  7. 성폭력 관련기관 상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자아탄력성 매개중심으로- vol.7, pp.6, 2017, https://doi.org/10.22156/cs4smb.2017.7.6.193
  8.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자아탄력성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vol.18, pp.12,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390
  9.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행복에 대한 은유분석 vol.14, pp.6,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6.205
  10. 보육교사의 놀이성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vol.17, pp.2, 2021,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