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in Elementary Science Programs Using Multi-Level Instruction

다수준 포함 교수법을 적용한 초등과학 프로그램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 Received : 2013.10.20
  • Accepted : 2013.12.08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lementary science programs that used multi-level instruction and to analyze verbal interaction patterns in science classes that applied these programs. For this study, the 27 children from the fifth grade at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nd separated into heterogeneous groups of four students. Verbal interactions occuring in two groups during each class were recorded using video. Elementary science programs using multi-level instruction were developed to target a fifth grade second semester 'Lesson 1. Human Body'. This program provided a mission form for each group and evaluation form for each child. A mission form depending on the children's level has different colors and levels of difficulty for questions. The evaluation form is composed of questions suitable for a child's level in reaching the goal with key concepts. The verbal interaction was mostly categorized into the cognitive domain and the affective domain for analysis. The cognitive domain was subdivided into question, response, making solution, receiving opinion, and the affective domain was divided into behavioral participation and students' attitud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the cognitive domain was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the affective domain. In the cognitive domain, the median-level was of highest frequency in the children. In the affective domain, high-level was of highest frequency in the children. In terms of both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children, low-level exhibited the lowest frequency. Verbal interaction frequency was no difference between high-level and median level in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so median-level children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similarly with high-level children. There were more types of interactions question, response, making solution, students' attitude in the median-low level children's verbal interaction than high-median level children's verbal interaction.

본 연구는 다수준 포함 교수법(multi-level instruction)을 적용한 초등과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H시의 B초등학교 5학년 27명을 대상으로 이질적인 4명의 학생으로 소집단을 구성하였고, 매 차시마다 2개 소집단의 수업 과정을 녹화하였다. 5학년 2학기 '1. 우리의 몸' 단원을 대상으로 다수준 포함 교수법을 적용한 초등과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언어적 상호작용은 크게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두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인지적 영역은 응답, 질문, 의견제시, 의견받기로 정의적 영역은 행동참여, 분위기 조절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다수준 포함 교수법을 적용한 초등과학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영역과 관련된 언어적 상호작용이 정의적 영역과 관련된 상호작용에 비해 많이 일어났다. 둘째, 인지적 영역에서는 중위수준 아동의 언어적 상호작용 빈도가 가장 높았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상위수준 아동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 모두 하위수준 아동의 빈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 상위-중위수준 아동 사이에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에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상위-하위수준 아동보다 중위-하위수준 아동에게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상호작용 유형이 더 많았다. 중위-하위수준 아동은 행동 참여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시간이 지날수록 전반적으로 아동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성취수준에 관계없이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김찬민, 노태희(2000). 소집단 토론 과정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353-363.
  2. 강순민(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징.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 김조연, 신애경, 박국태, 최병순(2001).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 실험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대한화학회지, 45(5), 470-480.
  4. 김주영(2010). 다수준 포함 교수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통합학급 아동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5. 성숙경(2005).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6. 신애경(2006). MBL수업의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7. 이대식, 김수연, 이은주, 허승준(2006).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제 : 통합학급에서의 효과적인 교육방법. 학지사.
  8. 이현영, 장상실, 성숙경, 이상권, 강성주(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60-670.
  9. 임희준(1998).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 : 교수 효과와 소집단의 언어적 상호작용.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0. 임희준, 노태희(2001).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68-676.
  11. Alexopoulou, E., & Driver, R. (1996). Small-group discussion in physics: Peer interaction modes in pairs and fou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0), 1099-111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2)33:10<1099::AID-TEA4>3.0.CO;2-N
  12. Collicott, J. (1991). Implementing multi-level instruction: Strategies for classroom teacher. In G. L. Proter, & D. Richler(Eds.), Changing Canadinan schools (pp.191-218). Ontario, Canada : The Roecher Institute.
  13. Johnson, D. W. and Johnson, R. T. (1991).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 of positive interdependence in cooperative learning groups on achievement.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14. Mortimer, E., & Scott, P. (2000). Analysing discourse in the science classroom. In R. Miller, J. Leach & J. Osborne (Eds.), Improving science education :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pp. 126-142). Buckingham : Open University Press.
  15. Tomlinson, C. A. (2004). How to Differentiate Instruction in Mixed Ability Classrooms.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황윤한.조영임 역(2009). 수준차가 다양한 교실에 서의 효율적인 개별화 수업. 교육과학사.
  16. Vygost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Cited by

  1. The Influence of On-Off Line Blended Learning in Emphasiz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on the Perception about Learning Environment and Science-Related Attitude vol.35, pp.1,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1.0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