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Belief about Understanding and Academic Achievement, Mathematical Concepts, Mathematical Procedures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단원별 이해도에 대한 신념'과 학업성취도 와의 관계 및 수학적 개념, 수학적 절차에 대한 이해 정도 분석

  • Received : 2013.09.10
  • Accepted : 2013.11.14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belief about understanding with regard to mathematical concepts, procedures, and applications of the procedures. In order to gain our purpose, the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of midterm examination of 139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urveys about their beliefs about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mathematical procedures were collected. And the cross analysis and the frequency analysis of SPS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belief about understanding are irrelevant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o believe that they understand was almost the same with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o understand the procedur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o believe that they understand and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o understand the concepts. Through these, it is conformed. Students' belief about understanding does not mean they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They just can solve mathematical problems through mechanical procedures.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단원별 이해도에 대한 신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단원을 이해하고 있다'는 신념을 가진 학생들의 수학적 개념, 수학적 절차, 수학적 개념 및 수학적 절차의 적용에 대한 이해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SPSS를 이용한 교차분석 빈도분석과 학생들과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단원별 이해도에 대한 신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단원별 이해도에 대한 신념'과 중간고사 각 문항의 학업성취도가 같을 것이라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학생들이 '단원을 이해하고 있다'는 신념과 수학적 개념, 수학적 절차, 수학적 개념 및 수학적 절차의 적용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항들에 대하여 이해정도를 분석한 결과, '단원별 이해도에 대한 신념'과 수학적 절차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항들 사이에는 이해 정도 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단원별 이해도에 대한 신념'과 수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항들 사이에 이해 정도 비율은 평균적으로 10%정도 차이가 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에 대해 학생들과의 면담 결과, '단원을 이해하고 있다'는 신념은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 절차를 통하여 수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진 (1997). 중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미연.전평국 (1999) 초.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 형성의 요인 분석-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8, 189-207.
  3. 권세화.전평국 (1992). 중학생의 신념체계가 수학적 문제해결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1(2), 109-119.
  4. 김명진 (1999). 현행 중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에 대한 단원별 이해도, 난이도 비교 분석,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부미 (2011). 수학 문제해결 신념의 측정도구 개발, 교육과정평가연구, 14(1), 229-255.
  6. 김부미.김인숙 (2011). 고3 학생들의 수학 성취와 이해 정도에 대한 신념의 관계 분석, 교과교육연구, 15(3), 777-806.
  7. 김윤민 (2012). 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체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은진.권혁진 (2012). 관계적 이해와 창의적 수학 문제해결력간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511-533.
  9. 김철민 (2004). 수학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 및 태도와 인지양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남상엽 (1999). 수학적 신념 및 태도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남윤정.송영무 (2008).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본질과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 연구, 학교수학, 10(4), 649-669.
  12. 민영은 (2008). 수학 부진아가 지닌 수학에 대한 부정적 신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양현주.박배훈 (1996).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태도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5(1), 75-87.
  14. 이종희 (1994). 수학교육에서 이해와 지식,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4(1), 169-180.
  15. 최준호 (2005). 수학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수학 지식에 대한 이해 수준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Davis, E. (1978). A New Model for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Arithmetic Teacher 26, pp. 13-17.
  17. DeBellis, V. A. & Goldin, G. (2006). Affect and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represent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2, 131-147.
  18. Dienes, Z. P. (1960). Building Up Mathematics. London' Hutchinson Educational.
  19. Ernest, P. (1989). The knowledge, beliefs and attitudes of the mathematics teacher: a model.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15(1), 13-33. https://doi.org/10.1080/0260747890150102
  20. Fishbein, M., & Ajza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search. Reading, Mass: Addison-Wesley.
  21. Goldin, G. (2002). Beliefs -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In G. C. leder, E. Pehkonen & G. Torner(Eds.), Affect, Meta-Affect, and Mathematical belief structures (pp. 59-72).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2. Goldin, G., Rosken. B., & Torner, G. (2009). Beliefs - No Longer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n J. Maas, W. Schloglmann(Eds.), Belief and Attitudes in Mathematics Education: New Research Reasults (pp. 1-18). Rotterdam: Sense Publishers.
  23.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rouw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learning and teaching (pp. 575-596). New York: MacMiilan.
  24. Merrill, M. D., & Tennyson, R. D. (1977). Teaching concepts : An instructional design guide.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Inc.
  25.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26. Pehkonen, E. (1996). Some findings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pupils' mathematical views. In E. Pehkonen(Ed.),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Mathematical Beliefs IU. Proceedings of the MAVI-3 Workshop (pp.65-69). University of Helsinki. Department of Teacher Education. Research report 170.
  27. Pehkonen, E., & Torner, G. (1999). Introduction to the abstract book for the Oberwolfach meeting on belief research. In E. Pehkonen & G. Torner(Eds.), Mathematical beliefs and their impact on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roceedings of the workshop in Oberwolfach, November 1999 (pp. 3-11). Duisburg, Germany: Gerhard Mercator Universitat Duisburg.
  28. Peterman, F. P. (1993). Staff development and the process of changing: A teacher's emerging constructivist beliefs about learning and teaching. In K. Tobin(Ed.), The practice of constructivism in science education (pp.227-245). Hillsdale, JN: Lawrence Erlbaum.
  29. Robitaille, D. F., & Garden, R. A. (1989). The IEA Study of Mathematics II: Context and outcomes of school mathematics, Oxford: Pergamon.
  30.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rlando, FL'-Academic Press, INC.
  31. Schoenfeld, A, H. (1989). Explorations of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and behavior.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20(4). 338-355.
  32. Schoenfeld, A, H. (1992). Learning to think mathematically: Problem solving, metacognition, and sense making in mathematics. In D. A. Grouw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learning and teaching (pp. 127-146).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33. Skemp, R. R. (1987). The psychoharning mathematics. 황우형 역(2000). 수학학습심리학, 서울:사이언스북스.
  34. Torner, G. (2002). Mathematical beliefs-a search for a common ground: Som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structuring beliefs, some research questions, and some phenomenological observations. In G. C. Leader, E. Pehkonen, & G. Torner (Eds.),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73-94).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5. Zimmerman, B. J. (1997). Teachers' and students' conceptions of mathematics instruction. In Erkki Pehkonen(Ed), Proceedings of the 21st conference c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cf Mathematics Education. Lahti Finland: University of Helsinki.

Cited by

  1.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情意)적 특성 분석 vol.20, pp.4, 2017, https://doi.org/10.7468/jksmec.2017.20.4.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