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남희 (1997). Vinner 이론에 따른 擬似개념적 행동과 擬似분석적 행동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학연구, 7(2), 337-348.
- 김진호 (2009). 대수 문장제의 오류 유형과 문제 해결의 관련성 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현정 (2007). 유사성 관점에서 본 대수 문장제 해결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현정.이종희 (2006). 중학생들이 수학 문장제 해결 과정에서 구성하는 유사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2), 115-138.
- 서혜련 (2011).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차 방정식의 활용에 관한 문장제 해결 전략 및 오류 분석.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성창근.박성선 (2012). 구조화 정도가 다른 수학적 동형 문제 사이의 유추적 전이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5(2), 59-75.
- 신현정 (2000). 개념과 범주화. 서울: 이카넷 출판.
- 이경화 (2009a). 수학적 지식의 구성에서 유추적 사고의 역할. 수학교육학연구, 19(3), 355-369.
- 이경화 (2009b). 영재아들의 세 유형의 유추 과제 해결. 수학교육학연구, 19(1), 45-61.
- 이승우 (2001). 학교수학에서의 유추와 은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승우.우정호 (2002). 학교수학에서의 유추와 은유. 수학교육학연구, 12(4), 523-542.
- 이종희 (2003). 수학 문장제 해결과 유추. 교과교육학연구, 7(2), 63-79.
- 이종희.김진화.김선희 (2003).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수 문장제 해결에서의 유추적 전이.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3), 353-368.
- 이종희.이진향.김부미 (2003). 중학생들의 유추에 의한 수학적 문제 해결 과정: 사상의 명료화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6, 245-267.
- 정승윤 (2007).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확률적 판단 전략과 유추에 의한 교정 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효진 (2004). 대수 문장제의 학습 방법과 문제 유사성에 따른 유추전이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Chen, Z. (2002). Analogical problem solving: A hierarchical analysis of procedural similarit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8(1), 81-98. https://doi.org/10.1037/0278-7393.28.1.81
- Dreyfus, T. & Eisenberg, T. (1996) On different fact of mathematical thinking. In R. J. Sternberg & T. Ben-Zev (Eds.), The nature of mathematical thinking, Mahwah, NJ: Lawn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Gentner, D. (1989). The mechanisms of analogical learning. In S. Vosniadou & A. Ortony (Eds.) Similarity and analogical reasoning (pp. 199-24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entner, D., & Markman, A. B. (1997). Structure mapping in analogy and similarity. American Psychologist, 52, 45-56. https://doi.org/10.1037/0003-066X.52.1.45
- Holyoak, K. J. & Thagard, P. (1989). Analogical mapping by constraint satisfaction, Cognitive Science, 13, 295-355.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1303_1
- Holyoak, K. J. & Thagard, P. (1995). Mental leap: analogy in creative thought. Cambridge, MA: MIT Press.
- Medin, D. & Ortony, A. (1989). Psychological essentialism. In Vonsniadou S. & Ortony, A. (Eds.), Similarity and analogical reasoning (pp.179-196).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erriam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CA: Jossey-Bass. 강윤수, 고상숙, 권오남, 류희찬, 박만구, 방정숙, 이중권, 정인철, 황우형 공역 (2005).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서울: 교우사.
- Novick, L. R., & Holyoak, K. J. (1991).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y analog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7, 398-415. https://doi.org/10.1037/0278-7393.17.3.398
- Rattermann, M. J. (1997). Commentary: Mathematical reasoning & analogy. In L. D. English (Ed.), Mathematical reasoning: Analogies, metaphors & images (pp. 247-264).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 Reed, S. K. (1987). A structure-mapping model for word problem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and Cognition, 13, 124-139. https://doi.org/10.1037/0278-7393.13.1.124
- Smith, L. B. (1989). A model of perceptual classification in children and adults. Psychological Review, 96, 125-144. https://doi.org/10.1037/0033-295X.96.1.125
- Sternberg, R. J. (1977). Intelligence, information processing, and analogical reasoning: The componential analysis of human abilities. Hillsdale, NJ: Erlbaum.
- Vinner, S. (1997a). From intuition to inhibition mathematics, education and other endangered species. Proceedings of the 21th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63-78.
- Vinner, S. (1997b). The pseudo-conceptual and pseudo-analytical thought processes in mathematics lear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4(2), 97-127. https://doi.org/10.1023/A:1002998529016
피인용 문헌
- 연속적으로 공변하는 두 양에 대한 추론의 차이가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vol.55, pp.3, 2013, https://doi.org/10.7468/mathedu.2016.55.3.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