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권낙원 (1991). 교사의 지시적 수업. 교육월보, 10(2), (pp. 94-97).
- 권낙원.김동엽 (2009).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서울: 문음사.
- 김광환.김병학.김경석.박은하 (2009). 대학수학교육의 현황과 7차교육과정세대의 효율적인 수학교육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2), (pp. 255-277).
- 김영희.허민 (2006). 수능 응시 영역에 따른 대학 교양 수학 성취도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4), (pp. 523-535).
- 박경숙.이혜선 (1976).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태도.학습습관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31, (pp. 89-99).
- 박소현 (2005). 수학 학습양식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백희수 (2009). 수학학습양식 구성요인 탐색과 수학학습자 유형 분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심재동.하준홍.이경희.천창범 (2005). 미분적분학 단계별 교육을 위한 교과내용 및 방법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9(4), (pp. 633-647).
- 임창재 (1984). 교수효과 제고를 위한 전문대학생의 학습양식분석. 배화여자대학 배화논총.
- 임창재 (1994). 학습양식을 형성하는 가정환경의 과정변인 탐색.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전성연 외 8 (2007). 현대 교수학습의 이해. 서울: 학지사.
- 정수연.송영무 (2011). 대학 공업수학 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5(2), (pp361-379).
- 표용수.조성진.정진문.심효섭.박동준.차지환 (2007). 수학 관련 교양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법 개선 및 교재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1(3), (pp. 483-497).
- 표용수.조성진.정진문.박진한 (2009). 교양수학 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지도 개선 방안-기초미적분학교과목을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3), (pp. 823-848).
- 표용수 (2010).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지도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4(3), (pp. 525-541).
- 표용수.박준식 (2011). 대학 기초수학 교과목에 대한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 연구, 21(1), (pp. 87-103).
- 한국교육개발원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 교육 평가 체제 연구(III) -수학과 평가 도구 개발-, 연구보고서 RM 92-05-02.
- 홍대기.조태경.박병수 (2008). 상명대학교 공과대학 수학교육 강화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9(5), (pp. 1479-1486). https://doi.org/10.5762/KAIS.2008.9.5.1479
- Borich, G. D. (1996). Effective teaching method. NJ: Prentice-Hall.
- Dunn, R. (1989), Survey of Research on Learning Styles. Educational Leadership, 47, (pp. 50-58).
- Ferrell, B. G. (1983). A factor analytic comparison off our learning styles instrum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1), (pp. 33-39). https://doi.org/10.1037/0022-0663.75.1.33
- Grasha, A., & Riechmann, S. (1975). Student Learning Styles Questionnaire. Cincinnati, OH: University of Cincinnati Faculty Resource Center.
- Hunt, D. (1984). Learning Styles and Inter-dependance of Practice and Theory. Phi Delta Kappan, 62(9), 647.
- Kolb, D. (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 NJ: Prentice Hall.
- Messick, S. (1984). The Psychology of Educational Measurement.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21(3), (pp. 215-237). https://doi.org/10.1111/j.1745-3984.1984.tb01030.x
- Rayner, S. & Riding, R. (1997). Towards a categorization of cognitive style and learning style. Education Psychology, 17, (pp. 5-28). https://doi.org/10.1080/0144341970170101
- Riding, R. J. & Cheema, I. (1991). Cognitive styles: An overview and integration. Educational Psychology, 11(3), (pp. 193-215). https://doi.org/10.1080/0144341910110301
- Riechmann, S. W. & Grasha, A. F. (1974). A Rational approach to developing and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 student learning style Scales instrument. The Journal of Psychology, 87, (pp. 213-223). https://doi.org/10.1080/00223980.1974.9915693
- Thelen, H. A.(1959). Classroom grouping of students. The School Review, 67(1), (pp. 60-78). https://doi.org/10.1086/442476
피인용 문헌
- 대학 미분적분학에서 상호 동료 교수법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vol.53, pp.2, 2013, https://doi.org/10.7468/mathedu.2014.53.2.263
- 동료 교수법과 교수자의 피드백이 수학 교과목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vol.21, pp.1, 2013, https://doi.org/10.18108/jeer.2018.21.1.37
-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Teaching in Basic Science Education: Physics, Biological Sciences, Mathematics, and Chemistry vol.11, pp.14, 2013, https://doi.org/10.3390/su11143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