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 및 방법
갈근황련황금탕 조제 −갈근황련황금탕은 동양의학대사전의 처방에 근거하여 청주에 소재하는 한의원에서 조제 하였다. 즉, 처방의 구성비는 갈근 2돈(7.5 g), 황련 3돈(11.25 g), 황금 8푼(3 g) 및 감초 1돈(3.75 g)로 하였으며 총 조제량은 16첩 분량갈근 120 g, 황련 180 g, 황금 48 g 및 감초 60 g으로 하였다. 조제된 탕약 3,000mL을 감압농축하여 1,000 mL로 하였고, 여기에 부탄올 1,000 mL을 가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부탄올 분획(PCS)은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과정을 거쳐 분말화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 동물 − 8주령(20 g)의 Apo E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Apo E knockout(-/-) 수컷 마우스를 Japan SLC, Inc.에서 공급 받아 사용하였다. 1주일 동안 온도 22±2℃, 습도 50±5%, 명암 주기 12시간이 자동 설정된 동물 사육실에서 1주간 순화 사육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사료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고지방 식이 사료 −고지혈증 유도를 위한 고지방 식이사료(DYET#102068; Dyets Inc., Bethelehem, PA, USA)를 이용하였다.20) 식이조성은 다음과 같다. 즉 1.25% cholesterol, 7.5% cocoa butter, 0.5% sodium cholate, 탄수화물 31.4%, 섬유질 5%, 지방 40%, 단백질 11.35% 및 수분 3%로 하였다.
고지혈증 동물 모델 −고지혈증 동물모델로는 동맥경화 모델로 사용되고 있는 Apo E(-/-)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였다.21) 실험군은 Apo E(-/-) 마우스를 대조군, fenofibrate 투여군과 갈근황련황금탕 부탄올 추출물 투여군(10 mg/kg, 100 mg/kg 및 300 mg/kg)으로 나누었다. 고지혈증을 유도하기 위하여 제조한 고지방 식이사료를 실험기간인 12주 동안 급여하였다. 12주 종료 후에 각 개체로 부터 간을 분리하여 생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혈액 분석 −중성지방(TG),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 지질단백(LDL) 및 고밀도 지질단백(HDL)을 측정하기 위하여 혈액을 분석하였다. 채혈은 안와정맥으로 주기는 1회/2주로 하였으며, 채혈 전날 밤부터는 채혈 전 까지 식이를 중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원심분리(2,000×g, 4℃, 15분)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분리한 혈청을부터의 중성지방(TG),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 지질단백(LDL) 및 고밀도 지질단백(HDL) 측정은 혈청자동분석기(Roche diagnostics GmbH, Mannheim, Germany)을 이용하였다.
PPAR-α 및 PPAR-γ 분석 −적출한 간 조직을 lysis buffer(20 mM Tris, 1 mM Na3VO4, 1 mM phenylmethylsufonyl fluoride, 50 mM NaF)에서 30분간 용해시킨 뒤 Breadford 방법으로 단백질 정량을 시행하였다. 이중 간 조직 단백질시료 50 μg을 8% SDS PAGE gel에서 전기영동한 뒤 nitrocellulose membrane에 2시간 동안 전이 한 뒤, 5%(w/v) fat-free milk powder/TBS-T로써 하룻밤 동안 blocking을 실시하였다. Blocking 후 TBS-T로써 10분씩 3번 씻어내고 난 다음 2%(w/v) fat-free BSA/TBS-T에 희석시킨 PPAR-α 및 PPAR-γ polyclonal primary antibody를 2시간 동안 처리하였고, ECL western blotting detection reagent들을 처리하여 반응을 시킨 뒤 결과를 확인하였다. 대조 단백질로는 β-tubulin을 사용하였다.
결 과
혈중 지질축적억제효과 −고지방 식이를 급여하여 Apo E(-/-) 마우스 모델에서 고지혈증을 유발하였고, 갈근황련황금탕의 부탄올 추출물(PCS)을 동시에 투여하여 PCS에 의한 고지혈증에 밀접한 인자인 중성지방(TG),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 지질단백(LDL) 및 고밀도 지질단백(HDL)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TG의 변화: 대조군의 TG의 변화는 실험 시작 시는 154.7 mg/dl이었으나 12주 동안 고지방 식이의 급여로 221.6 mg/dl를 나타내어 약 1.4배 정도 증가되었다. PCS를 고지방 식이와 함께 농도별로 투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에서 TG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PCS 100 mg/kg과 300 mg/kg에서는 투여 6주까지는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PCS 100 mg/kg, 0주에서 152.8 mg/dl, 6주에서 172.4 mg/dl; PCS 300 mg/kg, 0주에서 153.2 mg/dl, 6주에서 152.2 mg/dl), 그 증가 정도는 대조군 TG증가 수치를 넘지는 못하였고, 12주에는 초기 TG 수치와 비슷한 TG 수치를 나타내어(PCS 100 mg/kg, 12주에서 166.7 mg/dl; PCS 300 mg/kg, 12주에서 144.0 mg/dl) PCS의 투여가 TG의 증가를 억제시켰다(Fig 1. A).
TC의 변화: 대조군 TC의 최대 변화는 8주에서 최초 239.2 mg/dl에서 8주에서 318.3 mg/dl로 최고 치에 달하였고 실험종료 시점인 12주에서 295.7 mg/dl로 실험 최초 보다 1.2배 증가하였다. PCS 10 mg/kg과 100 mg/kg의 투여는 대조군의 TC 증가 양상과 유사하게 8주에서 최고치(PCS 10 mg/kg에서 298.2 mg/dl, PCS 100 mg/kg에서 232.0 mg/ld)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로 감소하여 12주에서는 각각 278.5 mg/dl와 253.4 mg/dl를 나타내어 대조군의 12주 295.7 mg/dl 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한편 PCS 300 mg/kg의 투여는 12주 동안 전혀 증가하지 않아 TC의 억제효과가 실험기간 내내 유지 되었다(Fig 1. B).
LDL의 변화: 대조군의 LDL 수치는 고지방 식이의 급여에 따라서 12주까지 계속적으로 증가 하여, 초기 118.1 mg/dl에서 209.2 mg/dl로 1.7배 증가하였다. PCS 10 mg/kg과 100 mg/kg의 투여는 대조군의 TC 증가와 같이 계속적으로 증가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두 농도 모두 대조군 대비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LDL의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PCS 10 mg/kg 투여군에서는 초기 117.0 mg/dl에서 12주에 167.2 mg/dl를, PCS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초기 119.0 mg/dl에서 12주에 150.2 mg/dl를 나타내었다. PCS 300 mg/kg에서는 2주 및 3주에서 각각 140.9 mg/dl 및 140.4 mg/dl로 초기 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로 감소하여 12주에서는 124.5 mg/dl를 나타내었다(Fig 1. C).
HDL의 변화: Apo E(-/-) 마우스 모델에서 HDL의 수치는 고지방 식이의 급여함에 따라서 서서히 감소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는 초기 245.7 mg/dl에서 12주에서는 223.6 mg/dl를 나타내었고, PCS 10 mg/kg과 100 mg/kg 투여군은 초기에서 각각 245.0 mg/dl와 245.9 mg/dl에서 12주에서 각각 230.8 mg/dl와 245.3 mg/dl를 나타내어 대조군과 같이 초기 보다 약간 감소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PCS 300 mg/kg의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는 다르게 12주에서 감소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고 12주에서는 약간의 증가된 양상(252.6 mg/dl)을 나타내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Fig 1. D).
Fig. 1.Change of serum lipid and lipoprotein by PCS treatment in Apo E[-/-] mice. A) TG(triglyceride), B) TC(total cholesterol), C) LDS(low density lipoprotein) and D) HDL(high density lipoprotein). Data are the mean±SD (n=10)
PPAR-α 및 PPAR-γ 단백질 발현량 −고지방 식이조건에서 대조군과 PCS 처리군의 간 조직에서의 고지혈증의 개선 지표라 할 수 있는 PPAR-α와 PPAR-γ의 단백질 발현량의 변화을 측정하였다. PCS의 투여에 의해서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실험동물에서 PPAR-α와 PPAR-γ의 발현 증가가 관찰되었다. PCS 10 mg/kg에서 PPAR-α와 PPAR-γ의 각각의 발현량은 4배 및 1.5배 정도 증가하였고, PCS 100mg/kg에서 각각 6배 및 4.5배 정도 증가하였고, PCS 300 mg/kg에서 각각 7배 및 4.3배 정도 증가하였다(Fig. 2). Apo E(-/-) 고지혈증 모델에서 PCS의 투여로 인하여 간에서 PPAR-α와 PPAR-γ의 발현량을 증가 시켜 혈중의 TG, TC, LDL 및 HDL의 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Fig. 2.Increase of the expression of PPAR-α(A) and PPAR-γ (B) in primary hepatocytes from Apo E[-/-] mice by PCS treatment. Tubulin was used as a loading control. From left to right, lane 1: control group, lane 2~4: PCS 10, 100 and 300 mg/kg. The quantitative data represent band intensity and are given as means±SD.
고 찰
전통적으로 한국과 중국에서 급성장염, 역리 및 소화불량 등에 사용되어 온 한가지의 약물인 갈근황련황금탕의 부탄올 추출물(PCS)이 본 시험 모델인 고지방 식이에 의한 고지혈증 모델에서 중성지방(TG),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 지질단백(LDL)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고밀도 지질단백(HDL)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어 고지혈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시험의 결과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잘 알려져 있는 고지혈증 약물인 statins, glitazone 및 fibrate 계열의 약물에서 가지고 있는 HDL의 증가보다는 LDL의 수준을 낮추는 효과22)를 PCS에서도 동일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AMPK 활성화제인 metformin이나 PPAR-α 활성화제인 clofibrate의 경우는 간 조직에서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3) 이러한 약물들은 PPAR-α activator들로 mitochondira와 peroxisome에서 지방산의 β-산화를 담당하는 효소들의 유전자를 촉진시킴으로써 지방산 산화를 증대하여 고지혈증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시험에서도 PCS의 경우 동일하게 PPAR-α의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추가적으로 PPAR-γ의 활성화 효과도 나타내었다. AMPK는 대사 스트레스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세포 에너지 센서로 AMPK의 기능저하는 조직의 지방축적을 증가시켜 죽상동맥경화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을 일으키며, AMPK 활성화 경로는 PPAR-α의 유전자 전사를 조절하여 지방산 산화를 증대하여 지방 축적억제 효과를 나타낸다.24) 본 시험에서는 직접적으로 AMPK의 활성화 정도는 측정하지 않았으나, PCS에 의한 PPAR-α나 PPAR-γ의 활성화는 AMPK 경로가 활성화 되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결 론
본 시험의 결과로 PCS의 투여에 의해서 Apo E(-/-) 고지혈증 동물모델에서 알 수 있었던 사실은 간 조직에서 PPAR-α나 PPAR-γ의 활성화로 인하여 간에서 지방축적을 억제하며, 이러한 간 조직 내에서의 지방 축적은 혈액에서의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고지혈증과 고지혈증으로 인한 심혈관 질환의 억제에 유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 조정원 (1999) 동양의학대사전, 116. 대한교과서, 서울.
- Tang, S. Y., Whiteman, M., Peng, Z. F., Jenner, A., Yong, E. L. and Halliwell, B. (2004)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 and antiglycation properties and isolation of active ingredients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36: 1575-1587. https://doi.org/10.1016/j.freeradbiomed.2004.03.017
- Rong, H., Stevens, J. F., Deinzer, M. L., Cooman, L. D. and Keukeleire, D. D. (1998) Identification of isoflavones in the roots of Pueraria lobata. Planta Medica 64: 620-627. https://doi.org/10.1055/s-2006-957534
- Cherdshewasart, W. and Sutjit, W. (2008) Correl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major isoflavonoid contents of the phytoestrogen- rich Pueraria mirifica and Pueraria lobata tubers. Phytomedicine 15: 38-43. https://doi.org/10.1016/j.phymed.2007.07.058
- Hong, T., Jin, G. B., Cho, S. and Cyong, J. C. (2002)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baicalein on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in mice. Planta Medica 68: 268-271. https://doi.org/10.1055/s-2002-23143
- Chi, Y. S., Lim, H., Park, H. and Kim, H. P. (2003) Effects of wogonin, a plant flavone from Scutellaria radix, on skin inflammation: in vivo regulation of inflammation-associated gene expression. Biochemistry and Pharmacology 66: 1271- 1278. https://doi.org/10.1016/S0006-2952(03)00463-5
- Huang, W. H., Lee, A. R. and Yang, C. H. (2006)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olyhydroxyflavonoid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70: 2371-2380. https://doi.org/10.1271/bbb.50698
- Woo, K. J., Lim, J. H., Suh, S. I., Kwon, Y. K., Shin, S. W., Kim, S. C., Choi, Y. H., Park, J. W. and Kwon, T. K. (2006)Differential inhibitory effects of baicalein and baicalin on LPS-induced cyclooxygenase-2 expression through inhibition of C/EBPbeta DNA-binding activity. Immunobiology 211: 359-368. https://doi.org/10.1016/j.imbio.2006.02.002
- Ye, M., Fu, S., Pi, R. and He, F. (2009) Neuropharmacological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of berberine: a review of recent research.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61: 831-837. https://doi.org/10.1211/jpp.61.07.0001
-
Lee, J. W., Iwahashi, A., Hasegawa, S. I., Yonezawa, T., Jeon, W. B., Cha, B. Y., Nagai, K., Woo, J. T., Nagai, K. and Woo, J. T. (2012) Coptisine inhibits RANKL-induced NF-
${\kappa}B$ phosphorylation in osteoclast precursors and suppresses func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RANKL and OPG gene expression in osteoblastic cells. Journal of Natural Medicine 66: 8-16. https://doi.org/10.1007/s11418-011-0537-7 - Kasai, A., Hiramatsu, N., Hayakawa, K., Yao, J. and Kitamura, M. (2008) Blockade of the dioxin pathway by herbal medicine formula bupleuri minor: identification of active entities for suppression of AhR activation.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31: 838-846. https://doi.org/10.1248/bpb.31.838
-
Wang, C. Y., Kao, T. C., Lo, W. H. and Yen, G. C. (2011) Glycyrrhizic acid and 18b-glycyrrhetinic acid modulate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by the suppression of NF-
${\kappa}B$ through PI3K$p110{\delta}$ and p110 inhibition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9: 7726-7733. https://doi.org/10.1021/jf2013265 - Hwang, W. M., Bae, J. H., Kim, K. Y. and Synn, Y. C. (2005) Impacts of atherosclerotic coronary risk factors on atherosclerotic surrogate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Korean Circulation Journal 35: 131-139. https://doi.org/10.4070/kcj.2005.35.2.131
- Yan, L. P., Chan, S. W., Chan, A. S., Chen, S. L., Ma, X. J. and Xu, H. X. (2006) Puerarin decreases serum total cholesterol and enhances thoracic aorta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c rats. Life Sciences 79: 324-330. https://doi.org/10.1016/j.lfs.2006.01.016
- Sieveking, D. P., Woo, K. S., Fung, K. P., Lundman, P., Nakhla, S. and Celermajer, D. S. (2005) Chinese herbs Danshen and Gegen modulate key early atherogenic events in vitro.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105: 40-45. https://doi.org/10.1016/j.ijcard.2004.10.052
- Peng, C. Y., Pan, S. L., Huang, Y. W., Guh, J. H., Chang, Y. L. and Teng, C. M. (2008) Baicalein attenuates intimal hyperplasia after rat carotid balloon injury through arresting cellcycle progression and inhibiting ERK, Akt, and NF-kappa B activity in vascular smooth-muscle cells. Naunyn-Schmiedeberg's Archives of Pharmacology 378: 579-588. https://doi.org/10.1007/s00210-008-0328-1
- Liang, K. W., Ting, C. T., Yin, S. C., Chen, Y. T., Lin, S. J., Liao, J. K. and Hsu, S. L. (2006) Berberine suppresses MEK/ ERK-dependent Egr-1 signaling pathway and inhibits vascular smooth muscle cell regrowth after in vitro mechanical injury. Biochemistry and Pharmacology 71: 806-817. https://doi.org/10.1016/j.bcp.2005.12.028
- Wang, Q., Zhang, M., Liang, B., Shirwany, N., Zhu, Y. and Zou, M. H. (2011) Activ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s required for berberine-induced reduction of atherosclerosis in mice: the role of uncoupling protein 2. PLoS One 6: e25436.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25436
- Kim, W. S., Lee, Y. S., Cha, S. H., Jeong, H. W., Choe, S. S., Lee, M. R., Oh, G. T., Park, H. S., Lee, K. U., Lane, M. D. and Kim, J. B. (2009) Berberine improves lipid dysregulation in obesity by controlling central and peripheral AMPK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ical Endocrinology Metabolism 296: E812-E819. https://doi.org/10.1152/ajpendo.90710.2008
- Guo, Y., Zhang, C., Du, X., Nair, U. and Yoo, T. J. (2005)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alterations of the cochlea in apolipoprotein E gene deficient mice. Hearing Research 208: 54-67. https://doi.org/10.1016/j.heares.2005.05.010
- Zadelaar, S., Kleemann, R., Verschuren, L., de Vries-Van der Weij, J., van der Hoorn, J., Princen, H. M. and Kooistra, T. (2007) Mouse models for atherosclerosis and pharmaceutical modifiers.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27: 1706-1721. https://doi.org/10.1161/ATVBAHA.107.142570
- de Vries, R., Dikkeschei, B. D., Sluiter, W. J., Dallinga-Thie, G. M., van Tol, A. and Dullaart, R. P. (2012) Statin and fibrate combination does not additionally lower plasma cholesteryl ester transfer in type 2 diabetes mellitus. Clinical Laboratory. 58: 1231-1239.
- Akbiyik, F., Cinar, K., Demirpence, E., Ozsullu, T., Tunca, R., Haziroglu, R., Yurdaydin, C., Uzunalimoglu, O. and Bozkaya, H. (2004) Ligand-induced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and activation of fatty acid oxidation enzymes in fatty liver.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34: 429-435. https://doi.org/10.1111/j.1365-2362.2004.01359.x
- Lee, W. J., Kim, M., Park, H. S., Kim, H. S., Jeon, M. J., Oh, K. S., Koh, E. H., Won, J. C., Kim, M. S., Oh, G. T., Yoon, M., Lee, K. U. and Park, J. Y. (2006) AMPK activation increases fatty acid oxidation in skeletal muscle by activating PPARalpha and PGC-1.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40: 291-295. https://doi.org/10.1016/j.bbrc.2005.1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