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세신(Asarum sieboldii)은 HMAX(Jecheon, Korea)에서 규격품을 구입하여 전문가로부터 감정 후 사용하였다. 세신 표본(2008-ST14)은 한국한의 학연구원 한약방제연구그룹에 보관하였다.
시약 및 기기 −표준물질인 aristolochic acid I, methyl eugenol 및 safrole은 Sigma-Aldrich(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aristolochic acid II와 elemicin은 ChromaDex(Irvine, CA, USA)와 Synchem OHG(Felsberg-Altenburg, Germany)에서 각각 구입하였으며, α-asarone과 β-asarone은 ROTH(Karlsruhe, Germany)로부터 구입하였다. 이들 표준물질의 순도는 모두 95.0%이상으로 확인되었다. 정량분석을 위한 메탄올, 아세토나이트릴 및 물은 J. T, Baker(Phillipsburg, NJ,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개미산은 Sigma-Aldrich(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그 외의 시약은 HPLC 또는 특급 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Aristolochic acid I, aristolochic acid II, α-asarone, β-asarone, elemicin 및 methyl eugenol 등 6종의 성분 분리를 위해 pump, digasser, column oven 및 autosampler로 구성된 Waters의 UPLC(Milford, MA, USA)를 사용하였다. 질량분석기는 electrospray ionization(ESI) source가 장착된 LC-MS/MS(Waters, Milford, MA, USA)를 사용하였으며, 데이터 처리는 Waters MassLynx software(version 4.1, Milford, MA, USA)를 사용하였다. 또한 safrole의 분석을 위해 질량분석기가 장착된 GC-MS는 Shimadzu(Kyoto, Japan)사의 QP-2010 Ultra 모델을 사용하였다.
70%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 조제 − 세신 약 2.0 kg을 분쇄한 후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60분간 3회 초음파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222.7 g(수득율 11.1%)의 추출물을 얻었다. 70%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1 L)에 현탁시킨 후 n-hexane(1.0 L×3회), ethyl acetate(1.0 L×3회) 및 butanol(1.0 L×3회) 순으로 용매분획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용매분획물을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nhexane 분획 14.7 g, ethyl acetate 분획 7.0 g, butanol 분획 15.8 g 및 물 분획 130.0 g을 얻었다.
Fig. 1.Chemical structures of seven marker compounds of Asarum sieboldii.
표준액의 조제 − Aristolochic acid I, aristolochic acid II, α-asarone, β-asarone, elemicin, methyl eugenol 및 safrole 등 7종의 표준품에 대한 표준용액은 메탄올을 이용하여 모두 1.0 mg/mL의 농도로 조제한 후 4℃에 보관하면서 사용전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검액의 조제 − LC-MS/MS 정량분석을 위하여 70% 에탄올 추출물, n-hexane 분획, ethyl acetate 분획, butanol 분획 및 물 분획을 각각 100 mg을 정확히 측정한 후 메탄올을 넣어 10 mL로 맞춘 후 30분간 초음파 추출하였다. 그 후 메탄올을 이용하여 70% 에탄올 추출물 100배, n-hexane 분획 2000배, ethyl acetate 분획, butanol 분획 및 물 분획을 각각 10배 희석 후 0.22 μm 멤브레인 여과하여 검액으로 하였다. 또한 GC-MS 분석을 위한 검액은 LC-MS/MS 검액 조제법과 동일하며 n-hexane 분획만 100배 희석한 후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LC-MS/MS 및 GC-MS 분석조건 −세신의 주요성분인 aristolochic acid I, aristolochic acid II, α-asarone, β-asarone, elemicin 및 methyl eugenol의 정량분석을 위해 Waters사의 UPLC와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Table II와 같은 조건으로 분석을 하였다. 이들 6종 성분의 LC-MS/MS 정량 분석을 위하여 각 성분의 precuusor ion, product ion, cone voltage 및 collision energy 등에 대한 최적의 조건은Table III과 같이 설정하여 다중반응탐색법(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모드를 적용하여 정량을 실시하였다. 또한 세신의 성분 중 하나인 safrole의 정량분석을 위해 Shimadzu사의 QP-2010 Ultra 모델의 GC-MS를 사용하여 Table IV와 같이 분석하였다.
검량선 작성 − Aristolochic acid I, aristolochic acid II, α-asarone, β-asarone, elemicin 및 methyl eugenol 등 6종의 표준품에 대한 검량선은 10, 100, 500 및 1000 ng/mL의 농도로 작성하였으며, safrole은 100, 500, 1000 및 2000 n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피크 면적과 농도에 대해서 작성하였다. 작성된 검량선은 상관계수(r2)를 구하여 직선성을 판단하였다.
결과 및 고찰
LC-MS/MS 및 GC-MS 분석조건 확립 −세신의 주요성분인 aristolochic acid I, aristolochic acid II, α-asarone, β-asarone, elemicin 및 methyl eugenol 등 6종의 성분을 LCMS/MS를 이용한 선택성과 민감도가 우수한 MRM 검출 방법으로 함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역상 UPLC 조건에 의한 ESI 방법의 양이온 모드에서 6종 성분의 분리를 위해 0.1%(v/v) 개미산이 각각 함유된 물과 아세토나이트릴의 이동상을 이용하여 Table I과 II의 조건을 이용하여 검출하였다. MS 분석 결과 aristolochic acid I, aristolochic acid II, α-asarone, β-asarone, elemicin 및 methyl eugenol 6종 모두 m/z 342.1, m/z 312.1, m/z 209.1, m/z 209.1, m/z 209.1 및 m/z 179.1에서 각각의 [M+H]+ 형태의 분자이온 피크를 확인하였다(Fig. 2). 확립된 세신의 LC-MS/MS MRM 모드 결과 6종의 성분인 aristolochic acid II, elemicin, β-asarone, methyl eugenol, aristolochic acid I 및 α-asarone은 6.10분, 6.81분, 6.96분, 6.96분, 6.99분 및 7.82분에서 각각 검출되었다(Fig. 3). 또한 safrole의 함량분석을 위해 GC-MS를 이용하여 Table III과 같은 조건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m/z 162에서 [M]+ 형태의 분자이온 피크를 확인하였다(Fig. 4). 토탈이온크로마토그램(total ion chromatogram; TIC)에서 7.38분에 safrole이 검출되었다(Fig. 5).
Table I.*0.1%(v/v) formic acid in water †0.1%(v/v) formic acid in acetonitrile
Table II.Mass detection condition of marker compounds
검량선 − LC-MS/MS를 이용하여 ESI 방법의 MRM 모드에서 aristolochic acid I, aristolochic acid II, α-asarone, β-asarone, elemicin 및 methyl eugenol 등 6종 성분의 농도에 따른 피크 면적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결과 상관 계수(r2) 값이 0.9972, 0.9991, 0.9959, 0.9992, 0.9998 및 0.9992의 양호한 직선성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GC-MS를 이용하여 작성한 safrole 역시 0.9982의 양호한 상관 계수 값을 나타내었다(Table IV).
Fig. 2.Q1(a) and Q3(b) mass spectra of six standard compounds Aristolochic acid II(A), elemicin(B), β-asarone(C), methyl eugenol(D), aristolochic acid I(E), and α-asarone(F).
Fig. 2.Continued.
Fig. 2.Continued.
Fig. 2.Continued.
Fig. 3.Chromatogram of six marker compounds(A) and 70% ethanol extract of Asarum sieboldii(B), n-hexane fraction(C), ethylacetate fraction(D), butanol fraction(E), and water fraction(F) by LC-MS/MS MRM mode. Aristolochic acid II(1), elemicin(2), β-asarone(3), methyl eugenol(4), aristolochic acid I(5), and α-asarone(6).
Fig. 3.Continued.
Table III.Conditions for GC-MS Analysis of Asarum sieboldii
Fig. 4.Mass spectrum of safrole by GC-MS.
Fig. 5.TIC chromatograms of safrole(A) and n-hexane fraction(B) by GC-MS.
Table IV.Linearities, regression equation, correlation coefficients, LOD, and LOQ for marker compounds
Table V.*Not detected
세신 중 주요성분의 함량분석 −세신 추출물에 대하여 LC-MS/MS와 GC-MS를 사용하여 설정된 분석법으로 7종 성분에 대한 함량을 분석하였다. LC-MS/MS에서 정량분석을 위한 aristolochic acid I의 MRM 조건은 m/z 342.1(precursor ion)에서 COO−가 떨어진 [M−COO−+H]+ 형태의 m/z 298(product ion), aristolochic acid II는 m/z 312.1(precursor ion)에서 COO−가 떨어진 [M−COO−+H]+ 형태의 m/z 268(product ion), α-asarone, β-asarone 및 elemicin은 m/z 209.1(precursor ion)에서 CH3가 떨어진 [M−CH3+H]+형태의 m/z 194(product ion) 및 methyl eugenol은 m/z 179.1(precursor ion)에서 CH3가 떨어진 [M−CH3+H]+ 형태의 m/z 164(product ion)로 설정한 후 정량을 실시하였다. Safrole은 GC-MS를 이용하여 m/z 194에서 함량을 분석하였다. 함량 분석 결과 세신 추출물 중 aristolochic acid I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만 0.22 mg/g으로 검출되었으며, safrole은 헥산분획에서만 5.66 mg/g으로 검출되었다. Elemicin과 methyle eugerol의 경우 0.00-17.02 mg/g 및 0.06-143.66 mg/g으로 모든 시료에서 검출이 되었으며, β-asarone은 70% 에탄올 추출물에서만 0.11 mg/g으로 검출되었다. 그 외 aristolochic acid II와 α-asarone은 검출되지 않았다(Table V).
결 론
세tolochic acid II, α-asarone, β-asarone, elemicin, methyl eugenol 및 safrole 등 7종의 성분에 대하여 LC-MS/MS와 GC-MS를 이용한 함량분석을 실시하였다. LC-MS/MS 정량분석을 위한 MRM 조건은 aristolochic acid I m/z 342.1/298, aristolochic acid II m/z 312.1/268, α-asarone, β-asarone 및 elemicin m/z 209.1/194 및 methyl eugenol m/z 179.1/164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afrole은 GC-MS를 이용하여 m/z 194에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헥산 분획물에서 methyl eugenol, elemicin 및 safrole이 143.66 mg/g, 17.02 mg/g 및 5.66 mg/g으로 다른 성분과 분획물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References
- 생약학교재편찬위원회 (2012) 생약학, 151-153, 동명사, 서 울.
- Lee, J. A., Lee, M. Y., Seo, C. S., Ha, H., Lee, H., Kim, J. H. and Shin, H. K. Asiasari sieboldii suppresses inflammatory mediators through the induction of hemeoxygenase-1 expression in RAW264.7 cells.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34: 15-20.
- Han, Y. and Kim, S. J. (2003) Memory enhancing of Asiasari Radix extracts via activation of insulin receptor and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I/II in rat hippocampus. Brain Res. 974: 193-201. https://doi.org/10.1016/S0006-8993(03)02580-0
- Han. Y., Kwon, E. H. and Kim, S. J. (2003) Protection of brain cells against AMPA-induced damage by Asiasari Radix extracts. Phytother. Res. 17: 882-886. https://doi.org/10.1002/ptr.1176
- Oh, S. M., Kim, J. H., Lee, J., Yi, J. M., Oh, D. S., Bang, O. S. and Kim, N. S. (2013) Anticancer potential of an ethanol extract of Asiasari Radix against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in vitro. Oncol. Lett. 5: 305-310. https://doi.org/10.3892/ol.2012.1012
- Choi, E. H., Choi, J. Y., Lee, J. G., Oh, J. S., Kim, D. C., Lee, H. S., Son, J. K., Son, A. R., Kim, J. A. and Lee, S. H. (2007) Isolation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y compounds from the root of Asarum sieboldii. Kor. J. Pharmacogn. 38: 394-399.
- Zhou, R. H. Resource Science of Chinese Medicinal Materials. Beijing:China Medical & Pharmaceutical Sciences Press. 1993: 202-211.
- Zhu, Y. P. Chinese Materia Medica: Chemistry,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Amsterdam:Harwood Academic Publisher. 1998: 66-69.
- Ramesh, T., Lee, K., Lee, H. W. and Kim S. J. (2007) Acute oral toxicity study of Asiasari Radix extract in mice. Int. J. Toxicol. 26: 247-251. https://doi.org/10.1080/10915810701352887
- Ramesh, T., Lee, K., Lee, H. W. and Kim, S. J. (2009) Subacute toxicological evaluation of Asiasari Radix metnanol extract. Drug Chem. Toxicol. 32: 243-251. https://doi.org/10.1080/01480540902873837
- Chau, W., Ross, R., Li, J. Y., Yong, T. Y., Klebe, S. and Bardara, J. A. (2011) Nephropathy associated with use of a Chinese herbal product containing aristolochic acid. Med. J. Aust. 194: 367-368.
- Park, C. H. and Kwack, S. J. (2009) The effects of aristolochic acid on reproductive function in female rats. Kor. J. Pharmacogn. 40: 89-98.
- Daimon, H., Sawada, S., Asakura, S. and Sagami, F. (1998) In vivo genotoxicity and DNA adduct levels in the liver of rats treated with safrole. Carcinogenesis 19: 141-146. https://doi.org/10.1093/carcin/19.1.141
- Burkey, J. L., Sauer, J. M., McQueen, C. A. and Sipes I. G. (2000)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of methyleugenol and related congeners - a mechanism of activation for methyleugenol. Muta. Res. 453: 25-33. https://doi.org/10.1016/S0027-5107(00)00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