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 및 방법
재료 −실험에 사용된 비교식물 및 시장품은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생약학교실에 소장하고 있다.
a) 비교식물
1. 꼭두서니 Rubia akane Nakai: 부산시 금정산(No. 8501~8505), 경상남도 천성산(No. 8506~8510), 전라북도 덕유산(No. 8511~8515), 경상북도 팔공산(No. 8516~8520), 경상남도 지리산(No. 8561~8565)에서 채집하였다.
2. 큰꼭두서니 R. chinensis Regel et Maack var. glabrescens(Nakai) Kitagawa: 전라북도 덕유산(No. 8521~8526)과 전라북도 마이산(No. 8527~8530)에서 채집하였다.
3. 갈퀴꼭두서니 R. cordifolia L. var. pratensis Maxim.: 부산시 금정산(No. 8531~8535), 경상남도 영취산(No. 8536~8540), 경상북도 팔공산(No. 8541~8545)에서 채집하였다.
4. 덤불꼭두서니 R. cordifolia L. var. sylvatica Maxim.: 강원도 계방산(No. 8546~8550)과 강원도 응봉산(No. 8551~8560)에서 채집하였다.
b) 시장품「신경초」: 부산시 구포시장(No. 610~612)과 강원도 속초시장(No. 613), 경상남도 산청시장(No. 614)에서 구입하였다.
방법 −민간약으로 유통되고 있는 시장품 「신경초」는 뿌리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채집한 비교식물의 뿌리를 Olympus A041 광학현미경 및 Olympus SZH 10 입체현미경을 사용하여 기존에 보고한 실험방법18-20)에 따라서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비교식물들의 뿌리의 윗쪽부분부터 아래쪽부분까지의 횡절면의 내부형태를 검토한 결과 같은 종에서는 윗쪽과 아래쪽 간에 큰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근경에서 아래쪽 3 cm 부분의 뿌리의 횡절면을 주로 비교검토하였다. 필요에 따라 종단면과 해리상을 검토하였다.
결과 및 고찰
비교 식물의 외부 및 내부 형태
1. 꼭두서니 R. akane
a) 외부형태(Fig. 2-A)
근경으로부터 10~60개의 뿌리가 뭉쳐서 나오며, 뿌리는 직경 1~2.5 mm, 길이 10~25 cm이었다. 뿌리의 표면은 담갈색~적갈색을 띠고 있었으며, 표면에 주름이 있었다. 건조된 것은 부스러지기 쉬웠으며,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쓴맛이었다.
b) 내부형태(Fig. 2-B, C)
뿌리의 횡절면은 유원형(類圓形)이며, 직경 1.8~2.2 mm이었다. 최외층에 표피가 존재하였으며, 장방형의 표피세포는 직경 30~50 μm이었다. 표피 아래에 한 층의 외피가 존재하였으며, 외피세포의 직경은 30~70 μm이었다. 피층은 9~15층의 유원형의 유세포(柔細胞)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유세포는 직경은 30~150 μm이었다. 중심주는 원주형~타원형이었으며, 직경 750~1250 μm이었다. 내피는 명료하였으며, 내피세포의 직경은 30~70 μm이었다. 통과세포를 제외하고 Sudan III로 붉게 염색되었다.21) 내피 아래에 2~3층의 내초가 존재하였다. 목부는 유원형이었으며, 도관, 가도관, 목부섬유 및 목부유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세포막은 목화되어 있었다. 도관은 공문도관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도관의 직경은 30~90 μm, 길이는 150~450 μm이었다. 가도관의 직경은 10~30 μm이었고, 길이는 150~450 μm이었다. 목부섬유는 직경 15~25 μm, 길이 250~450 μm이었다. 뿌리의 직경(1.8~2.2 mm)에 대해 중심주의 직경(750~1250 μm)이 차지하는 비율은 40~56 %이었다. 피층 및 사부유조직에 직경 50~180 μm의 속침정이 존재하였다.
Fig. 2.Morphological drawings of R. akane. A, a sketch of the underground part; B, a diagram illustration of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root; C1 and C2, detailed drawings of the transverse sections of the root. cb, crystal bundle; en, endodermis; ep, epidermis; ex, exodermis; kl, cork layer; ph, phloem; pr, pericycle; s, sieve tube; t, tracheid; v, vessel; wf, wood fiber; xy, xylem.
2. 큰꼭두서니 R. chinensis var. glabrescens
a) 외부형태(Fig. 3-A)
근경으로부터 8~30개의 뿌리가 뭉쳐나오며, 뿌리는 직경 0.6~1 mm, 길이 7~15 cm이었다. 뿌리의 표면은 적갈색이었으며, 건조된 것은 쉽게 부스러졌다. 특이한 냄새가 있었으며, 맛은 쓴맛이었다.
b) 내부형태(Fig. 3-B, C)
뿌리의 횡절면은 유원형이었으며, 직경 600~900 μm이었다. 최외층에 표피가 존재하였으며, 표피세포의 직경이 15~30 μm으로 비교식물 중에서 가장 작았다. 표피 아래에 한 층의 외피가 존재하였으며, 외피세포의 직경은 20~40 μm 이었다. 피층은 5~10층의 유원형의 유세포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유세포는 직경은 20~70 μm이었다. 중심주는 직경 210~350 μm이었다. 내피는 명료하였으며, 내피세포의 직경은 10~30 μm로 비교식물 중에서 가장 작았다. 내피 아래에 1~2층의 내초가 존재하였다. 도관의 직경은 15~45 μm이었으며, 가도관의 직경은 15~25 μm이었다. 목부섬유의 직경은 10~20 μm이었다. 뿌리의 직경(600~900 μm)에 대해 중심주의 직경(210~350 μm)의 차지하는 비율은 34~45%이었다. 피층 및 사부유조직에 직경 100~200 μm의 속침정이 존재하였다.
Fig. 3.Morphological drawings of R. chinenesis var. glabrescens. A, a sketch of the underground part; B, a diagram illustration of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root; C, detailed drawing of the transverse sections of the root. cb, crystal bundle; en, endodermis; ep, epidermis; ex, exodermis; kl, cork layer; ph, phloem; pr, pericycle; s, sieve tube; t, tracheid; v, vessel; wf, wood fiber; xy, xylem.
3. 갈퀴꼭두서니 R. cordifolia var. pratensis
a) 외부형태(Fig. 4-A)
근경으로부터 10~40개의 뿌리가 뭉쳐나오며, 뿌리의 직경은 0.8~2 mm, 길이는 7~18 cm이었다. 뿌리의 표면은 담갈색~적갈색을 띠고 있었으며, 표면에 주름이 있었다. 건조된 것은 쉽게 부스러졌으며 특이한 냄새가 났고, 쓴맛이었다.
b) 내부형태(Fig. 4-B, C)
뿌리의 횡절면은 유원형이었으며, 직경 800~2000 μm이었다. 최외층에 표피가 존재하였으며, 표피세포의 직경은 20~50 μm이었다. 표피 아래에 한 층의 외피가 존재하였으며, 외피세포의 직경은 30~80 μm이었다. 피층은 3~7 세포층의 유원형의 유세포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유세포의 직경은 50~120 μm이었다. 피층의 유세포의 세포층 수가 비교식물 중에서 가장 작았다. 중심주는 직경 400~1300 μm이었다. 내피는 명료하였으며, 내피세포의 직경은 30~80 μm이었다. 내피 아래에 2~4 세포층의 코르크층이 존재하였으며, 코르크층 아래에 1~3 세포층의 내초가 존재하였다. 도관의 직경은 20~70 μm이었으며, 가도관의 직경은 10~30 μm이었다. 목부섬유의 직경은 10~25 μm이었다. 뿌리의 직경(800~2000 μm)에 대해 중심주의 직경(400~1300 μm)이 차지하는 비율은 45~64%이었다. 피층 및 사부유조직에 직경70~200 μm의 속침정이 존재하였다.
Fig. 4.Morphological drawings of R. cordifolia var. pratensis. A, a sketch of the underground part; B, a diagram illustration of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root; C, detailed drawing of the transverse sections of the root. cb, crystal bundle; en, endodermis; ep, epidermis; ex, exodermis; kl, cork layer; ph, phloem; pr, pericycle; s, sieve tube; t, tracheid; v, vessel; wf, wood fiber; xy, xylem.
4. 덤불꼭두서니 R. cordifolia var. sylvatica
a) 외부형태(Fig. 5-A)
근경으로부터 8~30개의 뿌리가 뭉쳐나오며, 뿌리의 직경은 1~2 mm, 길이는 7~20 cm이었다. 뿌리의 표면은 적갈색을 띠고 있었으며, 특이한 냄새가 났고, 맛은 쓴맛이었다.
Fig. 5.Morphological drawings of R. cordifolia var. sylvatica. A, a sketch of the underground part; B, a diagram illustration of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root; C1 and C2, detailed drawings of the transverse sections of the root. cb, crystal bundle; en, endodermis; ep, epidermis; ex, exodermis; kl, cork layer; ph, phloem; pr, pericycle; s, sieve tube; t, tracheid; v, vessel; wf, wood fiber; xy, xylem.
b) 내부형태(Fig. 5-B, C)
뿌리의 횡절면은 유원형이었으며, 직경 1000~2000 μm이었다. 최외층에 표피가 존재하였으며, 표피세포의 직경은 20~50 μm이었다. 표피 아래에 한 층의 외피가 존재하였으며, 외피세포의 직경은 30~70 μm이었다. 피층은 8~17 세포층의 유원형의 유세포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유세포의 직경은 40~110 μm이었다. 피층을 이루고 있는 유세포의 세포층수가 비교식물 중에서 가장 많았다. 중심주는 직경 400~750 μm이었다. 내피는 명료하였으며, 내피세포의 직경은 25~70 μm이었다. 내피 아래에 1~2 세포층의 내초가 존재하였다. 도관의 직경은 20~50 μm이었으며, 가도관의 직경은 10~25 μm이었다. 목부섬유의 직경은 10~20 μm이었다. 뿌리의 직경(1000~2000 μm)에 대해 중심주의 직경(450~750 μm)이 차지하는 비율은 30~40%이었다. 피층 및 사부유조직에 직경 70~180 μm의 속침정이 존재하였다.
시장품 「신경초」
a) 외부형태(Fig. 1): 시장품은 뿌리의 건조품으로 20~60개의 뿌리가 뭉쳐져 있었으며, 뿌리의 직경은 0.8~2 mm, 길이는 7~20 cm이었으며, 끝 부분은 파쇄 되어 있었다. 뿌리의 표면은 담갈색~적갈색을 띠고 있었으며, 표면에 주름이 있었다. 쉽게 부스러졌으며 특이한 냄새가 있었으며 매우 쓴맛이었다.
b) 내부형태: 뿌리의 내부구조는 꼭두서니 R. akane과 완전히 일치하였다.
결 론
1.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꼭두서니 Rubia akane, 큰꼭두서니 R. chinensis var. glabrescens, 갈퀴꼭두서니 R. cordifolia var. pratensis, 덤불꼭두서니 R. cordifolia var. sylvatica의 Rubia속 식물 4 종에 대하여 뿌리의 횡절면에 있어서 표피세포의 형상, 외피세포의 형상, 피층의 유세포의 형상, 내피세포의 형상 및 도관의 크기 등에 의해서 각각의 종을 명확히 구분할 수가 있었다. 각 종의 내부형태학적 특징은 Table I과 같다. 즉, 내부형태학적인 특징을 비교해 볼 때 R. cordifolia var. pratensis의 경우 내피세포층 아래에 2~4층의 코르크세포층이 존재하여 다른 종과 구별이 되었으며, R. cordifolia var. sylvatica의 경우에는 피층을 이루고 있는 유세포의 세포층수가 8~17로 비교식물 중에서 가장 많은 특징을 보였다. R. chinensis var. glabrescens의 경우에는 외피세포와 내피세포의 직경 및 도관의 직경이 비교식물 중에서 가장 작았다. 중심주가 전체 뿌리의 횡절면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있어서는 R. akane와 R. cordifolia var. pratensis가 각각 40~56, 45~64%를 보인 반면에 R. chinensis var. glabrescens와 R. cordifolia var. sylvatica의 경우에는 각각 34~45, 30~40%으로 상대적으로 앞의 두 종보다 중심주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았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각 종을 구분할 수 있는 검색분류표를 Fig. 6에 제시하였다.
Table I.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four Rubia species’ roots from Korea
Fig. 6.Anatomical key to four taxa from Rubia species growing in Korea.
2. 비교식물에 대한 외부 및 내부형태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시장품「신경초」를 비교조직학적으로 검토한 결과, 민간약으로 유통되고 있는 시장품「신경초」는 꼭두서니 R. akane의 뿌리를 기원으로 함을 알 수 있었다.
3. 민간약 「신경초」는 천근(茜根)의 영향을 받아서 신경통의 치료약물로 민간에서 사용하게 되었으며, 시장품「신경초」라는 이름은 민간에서 신경통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어 왔으므로 신경초라고 불리우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References
- Park, J. H. (1993) Studies on the Origin of Korean Folk Medicine, Kor. J. Pharmacogn. 24: 322-327.
- 難波恒雄 (1993) 和漢藥百科圖鑑 I, 133. 保育社, 大阪.
- 森立之重輯 (1959) 神農本草經, 42. 上海科學技術出版社, 上海.
- 赤松金芳 (1982) 新丁和漢藥, 75. 醫齒學出版株式會社, 東京.
- 中國醫學科學院藥物硏究所等 (1984) 中藥志 第2冊, 149. 人民衛生出版社, 北京.
- Singh, R., Geetanjali, and Chauhan, S. M. S. (2004) 9,10- Anthraquinones and other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the genus Rubia. Chem. Biodivers. 1: 1241-1264. https://doi.org/10.1002/cbdv.200490088
- Rao, G. M., Rao, C. V., Pushpagandan, P. and Shirwaikar, A. (2006) Hepatoprotective effects of rubiadin, a major constituent of Rubia cordifolia Linn. J. Ethnopharmacol. 103: 484-490. https://doi.org/10.1016/j.jep.2005.08.073
- More, B. H., Gadgoli, C. and Padesi, G. (2007)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Rubia cordifolia. Pharmacology online 3: 73-79.
- Son, J. K., Jung, S. J., Jung, J. H., Fang, Z., Lee, C. S., Seo, C. S., Moon, D. C., Min, B. S., Kim, M. R. and Woo, M. H. (2008) Anticancer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Rubia cordifolia L. Chem. Pharm. Bull. 56: 213-216. https://doi.org/10.1248/cpb.56.213
- Itokawa, H., Takeya, K., Mori, N., Sonobe, T., Serisawa, N., Hamanaka, T. and Mihashi, S. (1984) Studies on antitumor cyclic hexapeptides RA obtained from Rubia Radix, Rubiaceae on derivatives of RA-V and their in vivo activities. Chem. Pharm. Bull. 32: 3216-3226. https://doi.org/10.1248/cpb.32.3216
- Divakar, K., Pawar, A. T., Chandrasekhar, S. B., Dighe, S. B. and Divakar, G. (2010) Protective effect of the hydro-alcoholic extract of Rubia cordifolia roots against ethylene glycol induced urolithiasis in rats. Food Chem. Toxicol. 48: 1013- 1018. https://doi.org/10.1016/j.fct.2010.01.011
- Kasture, S. B., Kasture, V. S. and Chopde, C. T. (2001)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Rubia cordifolia roots. J. Nat. Rem. 1: 111-115.
- Antarkar, D. S., Chinwalla, T. and Bhatt, N. (1983)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Rubia cordifolia Linn. in rats. Indian J. Pharmacol. 15: 185-188.
- Joharapurkar, A. A., Zambad, S. P., Wanjari, M. M. and Umathe, S. N. (2003) In vivo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alcoholic extract of Rubia cordifolia Linn. and its influence on ethanol-induced immunosuppression. Indian J. Pharmacol. 35: 232-236.
- Charde, R. M., Charde, M. S., Fulzele, S. V., Satturwar, P. M. and Joshi, S. B. (2010) Wound healing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Rubia Cordifolia roots. J. Pharm. Res. 3: 3070- 3071.
- Deoda, R. S., Kumar, D. and Bhujbal, S. S. (2011) Gastroprotective effect of Rubia cordifolia Linn. on aspirin plus pylorus-ligated ulcer. Evid. Base. Compl. Alternative Med. (Epub)
- Lee, C. B. (1982) Colored Flora of Korea, 215. Hyangmoonsa, Seoul.
- Bae, J. Y., Ahn, M.-J. and Park, J. H. (2010)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JeonHo', Kor. J. Pharmacogn. 41: 157-160.
- Bae, J. Y, Jeon, U. J. and Park, J. H. (2011)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BaegDuOng', Kor. J. Pharmacogn. 42: 6-8.
- Ahn, M.-J., Bae, J. Y. and Park, J. H. (2011) Pharmacognostical Studies of the 'Gil Gyung', Kor. J. Pharmacogn. 42: 213-217.
- 木島正夫 (1980) 植物形態學の實驗法, 84. 廣川書店, 東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