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Euromonitor International, Global nostalgia marketing, 2012.
- 문화체육관광부, 2011 콘텐츠산업백서, 2012.
- C. Goulding, "Romancing the past: Heritage visiting and the nostalgic consumer," Psychology & Marketing, Vol.18, No.6, pp.565-592, 2001. https://doi.org/10.1002/mar.1021
- 박설영, 향수영화가 하이맛(heimat)을 재현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 <워낭소리>, <웰컴 투 동막골>,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김나경, 90년대와 通한 2012년의 복고형 감성코드, LG Business Insight, 2012.9.19, pp.25-30, 2012.
- J. Eliashberg and M. S. Sawhney, "Modeling goes to Hollywood: Predict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movie enjoyment," Management Science, Vol.40, No.9, pp.1151-1173, 1994. https://doi.org/10.1287/mnsc.40.9.1151
- 최문성, 소비자의 영화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영화선택요인과 마케팅요소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R. Neelamegham and D. Jain, "Consumer choice process for experience goods: An econometric model and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6, No.3, pp.373-386, 1999. https://doi.org/10.2307/3152083
- 정윤희, "영화관람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과거만족도과 현재비평의 영향", 상품학연구, 제28권, 제5호, pp.23-32, 2010.
- 박철, "실물구매의도와 인터넷 구매의도간의 차이요인에 관한 실험연구", 광고연구, 제47권, pp.37-60, 2000.
- 황유선, 김유정, 심홍진, "뉴미디어 환경에서 영화 관람 그리고 반복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개인의 특성 및 영화 관람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pp.128-154, 2011.
- T. Hennig-Thurau, M. B. Houston, and G. J. Walsh, "Determinants of motion picture box office and profitability: An interrelationship approach," Review of Managerial Science, Vol.1, No.1, pp.65-92, 2007. https://doi.org/10.1007/s11846-007-0003-9
- B. R. Litman and L. S. Kohl, "Predicting financial success of motion pictures: The 80's experience,"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2, No.2, pp.35-50, 1989. https://doi.org/10.1080/08997768909358184
- E. Cooper-Martin, "Consumers and movies: Information sources for experiential product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9, pp.756-761, 1992.
- E. C. Hirschman and A. Jr. Pieros, "Relationships among indicators of success in broadway plays and motion pictures,"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9, No.1, pp.35-63, 1985. https://doi.org/10.1007/BF02267487
- 김용, 영화의 관람 전 태도형성요인과 관람만족의 선행 및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서철현, "지역축제에 대한 사후이미지가 방문객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청도 소싸움 축제를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제16권, 제2 호, pp.7-23, 2001.
- 강순화, 이경모, "축제 품질이 관계 질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4 권, 제2호, pp.294-314, 2010.
- 성영신, 박진영, 박은아, "온라인 구전정보가 영화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대'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57권, pp.31-52, 2002.
- 김혜정, 정은주, "일반인의 무용공연 관람동기가 정서경험과 무용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제21권, pp.1-19, 2010.
- 정원현, 한국 영화 시장 점유율 향상 방안 연구 : 소비자 의식 성향을 통해서 본 마케팅 전략 방안, 명지대학교 무역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C. Sedikides, T. Wildschut, and D. Baden, "Nostalgia: Conceptual issues and existential functions," Handbook of experimental existential psychology, The Guilford Press, 2004.
- 김나현, 향수(Nostalgia)광고의 연령과 향수성 수준별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K. Naughton and B. Vlasic, "The nostalgia boom: Why the old is new again," Business Week, March 23, Vol.3570, pp.50-54, 1998.
- 남수영, "'포스트-노스탤지어' : 90년대 르네상스 영화와 욕망의 시선", 비교문학, 제52권, pp.307-331, 2010.
- 김대승, 영화 흥행 결정 요인에 대한 통합적 연구 : 정보 가능 시기별 경로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2006.
- F. M. Schneider, Measuring subjective movie evaluation criteria: Conceptual foundation,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SMEC scales,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Koblenz-Landau University, 2012.
- 김정호, "한국영화 스타파워 분석 -2003-2007 배우와 감독-", 영화연구, 제38권, pp.11-52, 2008.
- 서구원, 민형철, "전통시장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조형미디어학, 제14권, 제4호, pp.97-108, 2011.
- 황병일, "향수광고(nostalgia advertising)의 감정 특성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45권, pp.51-71, 1999.
- 김나민, 정근미, 이문규,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남녀 주연배우가 관객의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제16권, 제1호, pp.125-143, 2011.
- 최화열, 안대천, 이혁진, "신한류 열풍시대의 휴먼브랜드 파워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영화배우와 감독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6권, 제4호, pp.135-153, 2012.
- A. Field,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for Windows, Thousand Oaks, 2000.
- L. Y. Muilenburg and Z. L. Berge, "Student barriers to online learning: A factor analytic study," Distance Education, Vol.26, No.1, pp.29-48, 2005. https://doi.org/10.1080/01587910500081269
- T. Dinev and P. Hart, Internet privacy concerms and trade-off factors: Empirical study and business implications, Working paper, Florida Atlantic University, 2002.
- http://www.kofic.or.kr/cms/72.do
- 박선영, "SNS를 통한 구전 효과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써니>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40-53,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