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웨덴의 인본적 기능주의 디자인과 스벤스크 텐

Swedish Humanitarian Functionalism Design and Svenskt Tenn

  • 강현대 (상명대학교 생활예술학과) ;
  • 곽철안 (상명대학교 실용예술학과)
  • 투고 : 2013.10.28
  • 심사 : 2013.12.09
  • 발행 : 2013.12.28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인테리어 분야에서 스웨덴의 현대 디자인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스벤스크 텐의 철학과 인본적 기능주의 디자인의 형성과정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를 함에 있어 스벤스크 텐이 형성되던 동시대 건축과 가구디자인의 디자인 패러다임을 연구하고 이 고유의 브랜드가 당시 유럽의 기능주의 디자인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스웨디시 모던 스타일의 대표 주자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에 대한 과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1930년대 이후 스벤스크 텐의 독창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한 요셉 프랭크의 가구 및 텍스타일 디자인을 동시대 스웨덴의 디자인 사례와 비교하여 스벤스크 텐이 실현하고자 한 인본적 기능주의 디자인을 형태적 재료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개념화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공간과 요소, 양식과 기능의 유기성, 2)아말감화를 통한 독창적 공간, 3)추상적 패턴을 통한 공간의 열린 감성, 4)공간을 파괴하지 않는 가구의 형태, 5)합리적 기능주의의 한계 극복.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 of Swedish craft and modern design in especially furniture and interior design through the philosophy and humanitarian functionalism of Svenskt Tenn. The study completed through researching what the design paradigm of architecture and furniture design in those days was, and theoretically analyzing how this unique brand became a leading modern Swedish style in the European stream of functionalism design. Working upon this research, the study concludes the concept of the humanitarian functionalism design what Firma Svenskt Tenn wanted to realize through analyzing the aspects of form and material of Josef Frank' works who mainly contributed to form the Svenskt Tenn's unique design identity and comparing them to the other design examples of those days. The result are as follows: 1) Organic composition of space and elements, styles and functions, 2) Unique space composition of amalgamation, 3) Open space with abstract patterns, 4) Furniture shapes of displaying space environment, 5) Overcoming the limits of pragmatic functionalism based on rationalis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주, "스웨덴 디자인의 발전과 현재", 한국 디자인학회, 제11권, pp.1-9, 1995.
  2. 정경연, 박하나, "스웨덴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연구", 한국공예논총, 제14권, 제1호, pp.96-110, 2011.
  3. 홍의택, "근대 스웨덴 디자인의 형성과 그 전개",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통권19호, pp.43-44, 1997(5).
  4. 홍민정, 최정신, "1980년대 이후 스웨덴 가구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구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0-25, 2012.
  5. 홍민정, 최정신, "스웨덴 근․현대 가구 디자인의 특성과 브루노 맛손의 작품세계", 한국가구학회지, 제20권, 제5호, pp.517-532, 2009.
  6. 최정신, "20세기 스웨덴 현대 가구디자인의 특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9권, 제1호, pp.148-157, 2010.
  7. 강현주, 디자인사 연구, 조형교육, 2004
  8. 전용덕, 복지국가의 미래 덴마크와 스웨덴의 고민, 북코리아, 2013
  9. Aaron Betsky and Adam Eeuwens, False Flat, Phaidon press, 2004
  10. Christina Wangberg-Eriksson, Book Josef Frank Livstrad i Krigets Skugga, Svenskt Tenn, 1994.
  11. Ingrid Sommar, 손주현, 이경래 역, 스칸디나비안 디자인, 비즈앤비즈, 2012
  12. Karl Kramer, Bau und Wohnung, Stuuugart, 1927.
  13. Monica Boman 외, Founder of Svenskt Tenn, Svenskt Tenn, 2003.
  14. Sven Thiberg, 이연정 역, 스웨덴의 주택연구와 디자인, 태림문화사, 1999
  15. http://www.dezeen.com/2012/06/16/masonitememoriam-by-folkform-for-svenskt-tenn/
  16. http://www.swedishdesign.org/
  17. http://www.svenskttenn.se/default.aspx
  18. http://www.scandinaviandesig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