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cinal Effects of Pork in 『Donguibogam』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수록된 돼지 활용(活用)에 관한 고찰(考察) - 단방처방(單方處方)을 중심으로 -

  • Suh, Jung-Min (Wellbeing & Cultur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Digital University) ;
  • Kim, Byung-Sook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 Nutrition, Jeonbuk Science College) ;
  • Kim, Yun-Kyung (Department of Korean Pharmacy, Wonkwang University) ;
  • Ahn, Ji-Young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 Healthcare, Wonkwang Digital University)
  • 서정민 (원광디지털대학교 웰빙문화대학원 자연건강학과) ;
  • 김병숙 (전북과학대학교 호텔조리영양계열) ;
  • 김윤경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
  • 안지영 (원광디지털대학교 한방건강학과)
  • Received : 2013.10.30
  • Accepted : 2013.11.27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Objectives : "Donguibogam(東醫寶鑑)" is a medical book of the Joseon Dynasty compiled by Heo Jun and was first published in 1613. It recorded a great deal of prescriptions which contained pork and gave detailed explanations of parts of pork's natural properties and effects. Pork is widely used as a food ingredient in the world but the traditional medicine community has a contraindication of pork and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taken togeth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supports to develop pork functional food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in "Donguibogam". Methods :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documents recorded in "Donguibogam" about usefulness of pork which were used for not only a food ingredient but also a medicine. Results : "Donguibogam" introduced 25 parts of pork including liver, kidney, stomach, bladder, heart etc, and a variety of taking ways i.e. common usages which are internal, external, common use, and aid use which cure a variety of diseases not a simple food but a therapies food. Conclusions : We confirmed that pork has been used to treat many diseases, so we propose to develop pork functional foods available for prevention and cure of certain diseases.

Keywords

Ⅰ. 서 론

1613년에 許浚 등에 의해 편찬된『東醫寶鑑』은 중국과 조선 초기를 대표하는『鄕藥集成方』,『醫方類聚』등을 바탕으로 당대 의학전반에 대한 내용을 분류, 정리하여 집대성한 종합의서로 內景篇, 外形篇, 雜病篇, 湯液篇, 鍼灸篇 등 총 다섯 篇으로 구성되어 있다1-2). 그 중 각 편의 말미에는 單一植物이나 食材를 활용한 2,024 개의 單方門을 두었고3) 適應症의 표시도 종래의 89種으로 세분화시켜 약효를 기재하고 있다. 지금까지『東醫寶鑑』에 관한 연구는 方劑學, 原典醫師學 및 生理病理學과 관련된 분야가 주류를 이루었고 최근 藥膳과 食餌 治療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품, 양념류, 食治 등과 관련된 연구들이 발표되었다4-7). 한의학에서는『黃帝內經』 이래로 줄곧 치료보다 예방을 중시하였고8), 특히 食療에 관하여 기록하고 있는 最古의 醫書인 孫思邈의 『千金要方·食治』에서는 飮食을 적당하게 먹어서 필요한 영양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며 질병을 예방하는 근본이 되고, 良醫는 疾病을 대함에 있어 음식에 의한 調節을 우선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만 약물치료를 권한다고 기록하여 음식을 통한 질병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9). 또한 食療가 藥療보다 우선함을 밝히고 豫防醫學으로서의 “食治” 를 강조하였고8), 중국에서도 “食藥同源”을 바탕으로 여러 종류의 식품과 약재를 이용한 藥膳이 발달되어 왔다10). 그 가운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즐겨 먹는 육류 식재료인 돼지11)를 食治의 개념으로 접근한 연구12)는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東醫寶鑑』에 돼지를 사용한 내용을 고찰하여 돼지가 단순한 食材料를 넘어 질병을 치료하는 藥으로 활용된 내용을 고찰하여 돼지가 갖고 있는 藥膳으로서의 효용가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그 연구대상과 방법을 국가 DB사업으로 구축된 한의고전명저총서의 『東醫寶鑑』DB와 도서출판 한미의학의『精校東醫寶 』을 대상으로 하여『東醫寶鑑』각 單方을 조사하여 돼지를 활용한 사례와 그 사용회수, 主治症, 調劑法, 服用法 등을 구분하고,『東醫寶鑑·湯液篇·獸部門』에 수록된 돼지의 部位別 性味와 效能 등을 확인하여 효능에 따른 고찰을 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東醫寶鑑』에 수록된 돼지 處方條文

『東醫寶鑑』에서 돼지의 각 부위별로 사용한 處方의 構成과 主治症 치료를 위한 調劑法 및 服用方法의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그 내용을 표로 정리하였다(table 1).

Table 1.The Records on Pork Cuts Prescriptions in 『Donguibogam』

2.『東醫寶鑑』에 수록된 돼지의 部位別 性味와 效能

『東醫寶鑑·湯液篇·獸部門』에서 설명하고 있는 돼지를 27개 部位로 나누어 각각의 特性과 性味, 效能, 主治症과 處方을 설명하였다(table 2).

Table 2.The Pharmacognostic Properties of Pork cuts in 『Donguibogam』

 

Ⅲ. 결과 및 고찰

1. 돼지의 部位別 治療症 분석

『東醫寶鑑』에는 돼지의 각 부위를 이용한 治療法을 분류하였다. 猪肝은 濕門(濕證), 眼門(肝熱目赤, 雀目), 浮腫門(浮腫,脹滿), 大便門(冷泄, 濕泄滑泄, 暴泄, 氣虛下痢, 瘦乏)에서 사용되었다. 猪膽은 眼門 (肝熱靑盲, 外障瞖)과 小便門(小便不通, 小便閉澁), 大便門(大便不通)에서 사용되었고, 猪黃인 膽結石은 邪祟門(金瘡, 血痢, 癲癎, 驚風)에 사용되었고, 猪肚는 火門(骨蒸熱勞), 消渴門(渴症, 爛症), 虛勞門(虛損症)에서 사용되었다. 猪腎은 婦人門(産後蓐勞, 骨節痛, 汗不止, 難産症), 膀胱腑門(膀胱不通症), 腰門 (腎虛腰痛症)에 사용되었다. 猪心은 神門(心血不足 驚悸, 健忘, 癲癎, 驚邪憂恚症)에 사용되었다. 猪乳 汁은 小兒門(小兒驚癎, 天弔風, 頭生白禿瘡症)에, 猪 腸은 三焦腑門(下焦虛竭症)에, 猪脂는 黃疸門(五疸症, 胃中有乾屎發黃症), 毛髮門(髮落症), 乳門(絶無乳汁症)에 사용되었고, 猪肺는 咳嗽門(咳嗽, 喘急, 肺痿吐血, 上氣咳嗽, 身熱, 口乾症)에, 猪脬는 小便門(遺 尿症)에, 猪足은 乳門(産婦氣血衰少絶無乳汁症), 後陰 門(五痔), 癰疽門(癰疽症)에 사용되었고, 猪肉은 濕 門(諸般濕症), 後陰門(血痔, 腸風喀血症)에 사용되었고, 豚卵은 後陰門(血痔, 腸風喀血症)에 사용되었다.

총 25종류의 돼지의 각 部位 중에서 肝, 膽, 膽結石, 肚, 腎, 心, 乳汁, 腸, 脂, 肺, 膀胱, 足, 肉, 豚卵 등 14개 部位를 20門에 58종의 病症을 치료하는데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내용을 표로 정리하였다(table 3).

Table 3.The Treatment Diseases of Pork Cuts in 『Donguibogam』

2. 돼지의 服用方法과 주치증 분석

돼지를 포함한 처방의 복용방법은 內服, 外用, 常用, 補助 등으로 활용되었고, 그 외 兼用 3가지이다. 그 내용을 보면 內服은 肝, 膽, 膽結石, 肚, 腎, 心, 乳汁, 腸, 脂, 肺, 膀胱, 足, 肉 등으로 총 31회로 가장 많았다. 外用은 藥物과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환부를 치료하는 것으로 14) 여기서는 肝, 膽, 乳汁, 脂, 足 등으로 총 10곳이 사용되었다.

常用藥은 일정기간을 두고 상복하여 질환을 치료하는 治療法으로는 肝은 濕門에 1곳, 肚는 虛勞門 1곳에 사용하였고, 補助藥으로는 神門에 猪心을 사용하였다. 그 외 兼內服常用藥은 肝이 濕門에 1곳과 肚가 虛勞門 1곳에 총 2곳에 사용되었고, 兼內服外用藥은 猪肝을 眼門에, 乳汁을 小兒門에, 兼內服補助藥은 猪心을 神門에 1곳이 사용되었다. 돼지를 사용한 服用方法은 內服, 外用, 補助, 常用 등으로 거의 모든 疾患에 活用되었고, 그 중 內服의 形態가 31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外用의 形態가 10곳으로 그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내용을 표로 정리하였다(table 4).

Table 4.The Dosage Method of Pork Cuts

3. 돼지를 포함한 처방 조제방법 분석

東醫寶鑑』에서는 돼지를 사용한 처방의 調劑法이 매우 다양한데, 內服의 경우 調劑法은 크게 生食, 煮, 灸, 加材, 其他, 方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한약으로의 다양한 劑形과 食材料의 調理法의 혼용이 있었으나 대부분은 食材料 調理法의 사용이 많았다.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生食은 五味醬醋과 醋洗蒜虀, 硏和水와 和水, 溫酒와 納熟酒中 등으로 猪肝을 얇게 썰어 양념하거나 식초에 씻어 마늘 양념하였고, 猪肚는 물에 타거나 猪黃은 갈아서 물에 타고, 猪脂와 猪膽은 데운 술에 타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煮는 水煮, 米泔煮熟, 熟水煮, 漿水煮熟, 入醋煮乾, 蒸熟, 煮熟, 黃塗熟 등으로 猪肝을 물에 삶거나 미감수에 삶거나 끓는 물에 달이거나 미음물이나 식초에 넣고 삶아 건조시켰고, 猪肚와 猪肺는 삶고, 猪心은 찌거나 삶고, 猪腎은 삶거나 단지에 넣어 입구를 진흙으로 발라 약한 불에서 삶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灸는 洗灸熟, 五味灸熟, 燒作末米飮 등으로 猪脬를 물로 씻어 불에 구웠고, 猪肉을 양념하여 구워 익히고, 豚卵을 태워서 가루 낸 것을 미음 등 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加材는 보조재료를 더하는 방법으로 訶子皮末火灸盡末, 爛蒸和薑醋, 入藥內煮爛熟, 淸油白蜜以煮水調, 和朱砂牛黃, 入杏仁重湯煮 등으로 猪肝을 작게 썰어서 訶子皮 가루를 발라 약한 불에서 구워 가루를 냈고, 猪肚는 뭉그러질 정도로 쪄서 生薑과 食醋를 넣었거나 人蔘乾薑蔥白糯米를 가루 내어 猪肚 안에 넣고 푹 삶았고, 猪腎은 淸油와 白蜜을 同量으로 猪肝 삶은 물에 타거나 猪乳汁은 朱砂와 牛黃을 소량 섞었고, 猪肺는 허파에 구멍을 내서 구멍 안에 杏仁을 넣고 重湯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其他 방법으로는 羹, 細切造稀臛煮粥, 煎, 綿纏浸 등으로 猪腸을 국으로 만들거나 猪腎으로 멀건 국을 끓여 그 물로 죽으로 만들었고, 猪脂는 달여서, 猪乳汁에 솜을 적셔 소아가 빨아 먹게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方의 形態로는 猪腎을 얇게 썰어 椒鹽으로 재운 다음 그 안에 杜冲末을 넣고 荷葉이나 濕紙로 싼 후 약한 잿불에 묻어 구운 후 술과 함께 복용하는 煨腎丸과 猪足을 태워 가루를 내어 미음과 함께 복용하는 猪甲散 등의 여러 가지 調劑方法이 사용되었다.

外用 形態의 調劑法의 종류로는 熏蒸, 點眼, 敷罨 導法, 溻浴法 등이며 대부분이 한약의 劑形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熏蒸法은 약물이 燃燒되면서 나오는 烟氣나 또는 藥物을 끓일 때 나오는 蒸氣를 이용하는 방법14)으로 猪肝을 미감수에 넣고 삶으면서 나오는 蒸氣를 아픈 눈에 熏蒸하여 雀目疾患을 治療하는데 사용하였다. 點眼法은 藥末, 藥膏, 藥汁 등을 사용하여 患處나 耳, 鼻, 目 등 七竅의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14)으로 猪肝을 煎하여 黍米 크기의 알약을 만든 후 눈에 넣어서 療靑盲 疾患에 사용하였고, 猪膽을 고약같이 煎하여 龍腦를 조금 섞어 눈에 넣거나 猪膽의 白皮를 乾燥시켜 태운 후 재를 받아 식혀 瞖膜에 넣어서 外障瞖 疾患 治療에 사용하였다. 敷罨法은 신선한 생약을 짓찧어서 쓰거나 乾材를 粉末해서 꿀, 술, 참기름, 식초 또는 藥汁 등을 넣어서 잘 배합하여 국부에 붙여서 藥物이 비교적 오랫동안 皮膚에 接觸하게 하는 방법14)으로 男子의 小便閉澁 에 猪膽을 生으로 莖頭에 붙였고, 婦人의 경우는 猪膽汁을 陰部속에 넣어 치료하는데 사용하였다. 導法은 약물을 外治法으로 이용하여 通便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猪膽汁을 따듯하게 하여 肛門에 삽입하고 保留灌腸14)으로 大便不通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다. 溻 浴法은 약물을 煎湯하여 이것을 가지고 목욕하고 씻고, 浸泡하거나 溻漬하는 것으로 약물의 치료기능 이외에도 일정한 冷과 熱의 자극으로 보조적인 치료작용이 있는 방법13)으로 소아의 天弔風에 猪膽汁을 頭部에 발라 치료했고, 猪脂를 음력 섣달의 것을 불에 녹여서 頭部에 발라서 毛髮落을 치료했고, 癰疽가 곪아 터진 뒤에 猪足에 달린 발굽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로 씻어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다.

常用 形態의 調劑法의 종류로는 煮, 重湯煮爛熟등으로 猪肚를 깨끗이 씻어서 黃芪와 地黃을 넣고 대나무껍질로 잡아맨 다음 술지게미로 위를 싸서 단지 안에 넣고 重湯으로 푹 삶아 常服하게 하거나 猪肝을 삶아서 常服하게 하여 脾胃를 건강하게 하거나 虛弱疾患을 治療하는 補藥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補助藥의 찌거나 삶는 蒸煮 방법과 兼藥 중 內服과 常用을 겸하는 煮는 일반적으로 食材의 대표적인 調理方法이고, 內服과 外用을 겸하는 熏蒸食法은 外用法이 外科 疾患에 사용할 뿐만 아니라 內科 疾患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內服 과 補助를 兼하는 取入藥蒸煮法은 主藥에 加하는 副藥으로 사용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訶子皮와 乾薑을 제외한 나머지 加材와 식재료의 調劑方法에서는 外用을 제외한 內服, 常用, 補助 그 외 兼藥의 방법에서 食材料에서 많이 사용되는 調理法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내용을 표로 정리하였다(table 6).

Table 6.Preparation Methods of Pork Cuts

服用방법에 따라 分科를 나누고 그와 관련 疾患들을 분류하였다.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內服法을 사용한 病症은 內科疾患과 外·皮膚科疾患, 五官科疾患과 婦人科疾患이나 小兒科疾患, 精神科疾患등에 많이 쓰였다. 그중에서 많은 활용의 內科疾患 에는 消化器疾患이나 만성질환 또는 虛弱한 질환에 滋養을 목적으로 하는 등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여러 증상의 痔疾과 皮膚疾患, 骨節痛 등의 外傷疾患이나 眼目과 같은 疾患에도 사용되었다. 또한 難産, 産後蓐勞, 産婦氣血衰와 산후에 젖이 적거나 나오지 않는 등의 婦人科나 小兒驚癎이나 天弔風과 같은 小兒科疾患에도 사용되었고, 癲癎이나 驚風, 驚邪憂恚나 驚悸, 健忘 등의 精神科疾患에도 사용되었다.

外用法을 사용한 病症은 주로 內·外·皮膚疾患과 五官·小兒科疾患에 많이 쓰였는데 大小便不通 등 內科疾患에 灌腸法으로 사용되었고, 머리카락이 빠져 새로 나게 하기 위해 頭部에 바르거나 癰疽 등에 사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靑盲과 外障瞖의 眼疾患에 點眼하기도 하였으며 小兒의 驚癎과 天弔風, 白禿瘡등에도 사용되었다.

常用法을 사용한 病症은 濕症과 虛損症 등 內科疾患에 사용되었고, 補助방법으로는 驚悸나 健忘, 癲癎이나 驚邪憂恚 등 精神科疾患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兼內服常用法으로는 內科疾患에, 兼內服外用法으로는 外·皮膚疾患과 小兒科疾患에, 兼內服補助法으로는 精神科疾患에 사용되었다.

疾病治療를 위하여 藥物을 사용하는 방법 중 內服하는 方法은 古代로부터 韓醫學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用法으로 식재료인 돼지部位를 活用함에 있어서도 其他 다른 用法에 비해 內服의 方法으로 대부분 內 科질환에 많이 사용하였으며 기타 婦人科疾患이나 外· 皮膚科疾患, 精神科疾患, 五官科疾患, 小兒科疾患 등 의 질환순서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table 7).

Table 7.Dosage of Pork Cuts

4. 돼지의 部位別 效能에 따른 分類

『東醫寶鑑·湯液篇·獸部門』에 기록된 돼지의 부위의 효능을 분류하면 補虛藥, 解毒藥, 淸熱藥, 芳香化濕藥, 安神藥, 瀉下藥 등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그 중에서 補氣藥으로는 猪肝을 이용하여 脾氣虛弱冷泄, 痢疾, 肝血不足目眩, 夜盲症 등에, 補血藥으로는 猪腸과 猪腎, 猪卵을 이용하여 腎虛弱耳聾, 腰痛, 頻尿, 癃閉 등에, 補陽藥으로는 猪足, 猪肉을 이용하여 津液不足 피부염, 虛弱筋骨諸般病症 등에, 補陰藥으로는 猪肉을 사용하여 虛弱疾患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처방으로 사용하지는 않았으나 猪頭나 猪血, 猪骨, 猪膚는 그 효능에 대해 수록하고 있고, 오늘날 다양한 식품으로 상품화되어 있어 藥膳으로의 활용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동의보감을 확인한 결과 돼지가 가진 성미와 효능을 적용시켜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했던 것으로 보이며 음식으로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藥膳으로서의 효용가치를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음식은 한 나라와 그 시대의 문화적 수준을 평가하는 대표적 기준 중의 하나로 예로부터 동양의학에서는 “食藥同源”이라 하여 음식과 약은 기원을 같이하여 음식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었다16). 본 연구의 대상인 동의보감에서도 돼지가 갖고 있는 補腎滋陰, 益氣養血, 潤燥 등의 효능으로 다른 한약재들과 함께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식료요법으로 사용된것은 그 인식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돼지를 활용한 질병치료는 성질이 한쪽으로 치우쳐 부작용이 염려되는 약재와 달리 오장의 정기를 훼손시키지 않는 평한 성질의 식재료를 선택한 점이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응용할 수 있는 약용식재라는 점과 오늘날에도 돼지의 다양한 부위가 여전히 대중적인 식재료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은 돼지의 가장 큰 효용가치라고 할 수 있다.

 

Ⅳ. 결 론

『東醫寶鑑』에 수록된 돼지의 活用에 관한 考察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東醫寶鑑』에 수록된 돼지 부위는 총 25종류로 活用된 부위는 肝, 膽, 膽結石, 肚, 腎, 心, 乳 汁, 腸, 脂, 肺, 膀胱, 足, 肉, 卵 등 총 14개 부위이며 이 중에는 현재 식재료로 사용되지 않는 부위도 포함되어 있다. 각 부위의 사용회수는 肝이 8곳, 膽이 5곳, 膽結石이 1곳, 肚가 4곳, 腎이 5곳, 心이 1곳, 乳汁이 2곳, 腸이 1곳, 脂가 3곳, 肺가 2곳, 膀 胱이 1곳, 足이 3곳, 肉이 3곳 등으로 활용되었다. 肝이 8곳으로 가장 많이 처방되었으며 그 다음은 膽과 腎으로 5곳 처방되었다. 膽結石, 心, 腸, 膀胱은 각각 1곳으로 가장 적게 사용되었다.

2. 돼지의 부위별 服用방법을 분류하면 內服藥, 外用藥, 常用藥, 補助藥 등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고, 그 외 兼藥 3가지로 나누어 사용되었다. 사용된 복용방법 중 內服藥이 31곳으로 가장 많았고, 外用藥으로 10곳, 常用藥으로 2곳, 補助藥 1곳의 순서대로 사용되었으며 그 외 兼藥으로는 4곳이 사용되었다.

3. 內服方法을 사용한 病症에는 內科疾患과 外·皮膚科疾患, 五官科疾患과 婦人科疾患이나 小兒科疾患, 精神科疾患 등에 많이 사용되었고, 그중에서 많은 활용의 內科 消化器 질환, 만성질환 또는 허약질환 등에 많이 사용되었다. 外用方法을 사용한 病症 은 주로 內·外·皮膚疾患과 五官·小兒科疾患에 많이 사용되었고, 常用方法을 사용한 病症은 內科疾患의 濕症과 虛損症 등에 사용되었고, 補助方法으로는 驚悸나 健忘, 癲癎이나 驚邪憂恚 등 精神科疾患에 사용 되었다. 돼지를 활용한 병증치료에 많이 사용된 內服은 주로 內科 질환에 많이 사용하였으며 기타 질환 등에도 사용되어 총 58개의 다양한 病症에 처방 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사용된 調劑法은 복용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內服의 形態로는 生, 煮, 灸, 加材, 其他, 方 등의 調劑法으로 韓藥製의 劑形과 식재료 調理法의 混用이 있었으나 대부분은 食材料 調理法이 사용되었고, 外用의 形態는 熏蒸, 點眼, 敷罨 導法, 溻浴法 등의 調劑法으로 대부분이 韓藥의 劑形으로 사용되었다. 煮와 重湯煮爛熟 등의 調劑法은 常用의 形態로, 蒸煮 등은 補助藥 形態의 調劑法으로 사용 되었는데, 藥劑에서 活用되고 있는 外用의 調劑法을 제외한 나머지 內服, 常用, 補助 등의 방법에서 食材料에서 많이 사용되는 調理法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 돼지는 오늘날에는 약재보다는 식재료로 사용되고 있고 한약을 복용하는 경우 대부분 한약과 돼지를 함께 먹지 못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아 돼지가 가지고 있는 많은 질병 치료의 효능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였다.『東醫寶鑑』에 수록된 돼지 활용에 관한 고찰을 통해 돼지가 단순한 식재료가 아닌 다양한 질병의 치료와 예방 효과를 가진 약재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향후 돼지를 질병치료와 예방에 활용할 수 있는 藥膳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Keum KS, Song JC, Eom DM. A Review on Two Fructus Jujubae & Three Rhizoma Zingiberis Rencns in Prescription of "Dongeuibogam".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4):155-67.
  2. Oh CK. Applications of Classified Emergency Materia Medica(證類本草) on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東醫寶鑑) and Compendium of Prescriptions from the Countryside(鄕藥集成方).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1;24(5):107-18.
  3. Ji MS, Yoon CY.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Food Ingredients to Danbang prescription of"Donguibogam( 東醫寶鑑)".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1):279-302.
  4. Song IW, Lee BW. Method for improving search efficiency using relation of anatomical structure from Donguibogam(東醫寶鑑).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2;25(4):105-13.
  5. Baek SE. The Medicinal Effects of Grains in "Dongeuebogam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4;14 (3):196-206.
  6. Ahn SY, Lee MH, Pyo BY, Ha JY, Ahn SW. Research on Alimentotherapy Definitions and Applied Theories.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08;14(2): 27-33.
  7. Ji MS, Kim YJ.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Salt of"Donguibogam-Naegyeong(東醫寶鑑-內景篇)".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0;23(6):97-108.
  8. Hong YJ, Song JC, Keum KS, Lee SH. A Review on the Food-Therapy with Chicken in"Sikryochanyo".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1;24(5):67-81.
  9. Sun SM. Beijiqianjinyaofang. Beijing:Renminweisheng Publisher. 1982:464.
  10. Ma JX. Zhongyiyaoshanxue. Beijing:Renminweisheng Publisher. 2009:4-14.
  11. Kang YJ, Jung HS, Yoo MJ. Study on Jeonyak in the Bibliography. Korean J Foodculture. 2011; 26(6):621-8.
  12. Lee SW. The research of Ancient Korean diet life in east Asia. Seoul:Hyangmunsa. 1994:151 -2.
  13. Shin JH, Song JC, Eom DM. Pork as Food Therapy in "Shikryochanyo" . J Oriental Medical Classics. 2011;24(3):87-98.
  14. Na CS. The Rules of Koren Medicine. Seoul: Uiseongdang. 2001:749-53.
  15. Lee BW, Kim SC, Byun SH, Kim HK, Jee SY. A study of herbal bathing therapy on Qianjinyaofang. Journal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2004;17(1) :198-217.
  16. Mun JW, Song TW, Oh MS. Literatual study on Dietary Treatment in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Oriental Medicine Institute. 2001;10(1) :297-321.
  17. Research team of Korean Medicinal Classics. Donguibogam. Seoul:Beobinmunhwasa. 2007:1885.
  18. http://jisic.kiom.re.kr.
  19. Heo Jun. Donguibogam. Seoul:Hanmi Medical books. 2001:307, 654, 674, 800, 1132-1134.

Cited by

  1. An herbal formula consisting of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Lycium chinense Mill and Eucommia ulmoides Oliv alleviates disuse muscle atrophy in rats vol.213, 2018, https://doi.org/10.1016/j.jep.2017.1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