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처방(處方) 로마자명 표기에 대한 고찰

A Study on Roman Nomenclature of Prescriptions in Herbal Formula Science

  • 송지청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 심현아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 엄동명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Song, Jichung (Dept. of Medical Class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Sim, Hyuna (Dept. of Medical Class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Eom, Dongmyung (Dept. of Medical Class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투고 : 2013.10.09
  • 심사 : 2013.11.09
  • 발행 : 2013.12.30

초록

Objectives : Term standard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for knowledge information in every study. There are several tries to make terminology standards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KTM). We, authors took a review on romanized prescription nomenclature of main titles in Herbal Formula Science to criticize the ways of romanized prescription nomenclature. Methods : We extract romanized prescription name from Vol. 11, No. 1 to latest Issue Vol. 21, No. 1, Herbal Formula Science. Results : The Korean Academy of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has guideline for romanized prescription nomenclature. However, only 6 out of 147 romanized prescription name are confirmed with guideline. In addition, 58 out of 142 names are italicized without guideline. Also there are several ways of marking for prescription names. Conclusions : For making knowledge information and easy searching for terms, we need normative regulations for romanized prescription nomenclature by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level.

키워드

Ⅰ. 서 론

어느 학문을 막론하고 지식의 정보화에 대한 관심이 높다. 지식의 정보화를 위해서는 각 학문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 문제는 한의학 분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의학 분야 가운데 특히 경혈 용어에 대해서는 오랜 시간에 걸쳐 표준화를 진행시켜 최근 결과물을 출판하였는데, 처방 용어에 대한 표준화 연구는 아직 결과물을 만들어낼 만큼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처방 용어, 특히 로마자 표기와 관련한 기존 연구로는 김상찬의 연구가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1980년 창간호부터 大韓韓醫學會誌(이하 韓醫學會誌라 함.) 2005년 26권 3호까지 수록된 논문 중 처방 로마자 표기에 대해 考察하였으며, 특히 동일 처방의 다른 로마자 표기를 근거로 처방 명칭에 대한 표준화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處方 및 方劑에 대한 硏究를 중점적으로 행하고 있는 大韓韓醫學方劑學會에서 발간하고 있는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를 대상으로 한 處方 로마자名에 대한 연구는 없었으며, 2007년 1월을 기점으로 대한 한의학방제학회지 논문투고규정이 개정되었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處方에 대한 로마자名에 대해 고찰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또한 송호섭은 참고문헌의 영문화 작업에 대한 영어번역 전략을 고찰하였는데, 이 논문에서는 2002년 부터 2009년까지 발행된 한의학회지에 수록된 참고문헌을 대상으로 하여 참고문헌의 저자, 논문제목, 서적명, 저널명, 출판사명 등에 대한 영문화 표기방안을 고찰하였다. 송은 논문을 통해 처방 로마자 표기에 대해 개선안을 제시하였는데, 그의 주장은 한글 독음을 그대로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정의를 기반으로 한 번역의 형태를 겸용하고 있어서 처방 로마자 표기가 용어로써의 기능을 가지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10년간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에 수록된 논문중 처방 명칭에 대해 로마자로 표기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처방 용어 로마자 표기를 살피고 로마자 표기 표준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Ⅱ. 본 론

본 논문에서는 2003년 11권 1호부터 최신호인 2013년 21권 1호까지 10년동안 발행된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의 論文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學會誌에 수록된 論文題目에서 발췌한 處方 로마자 표기를 검토하였다. 이 기간 동안 수록된 논문에서 다루어진 처방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단, 서지사항은 각주로 처리하지 않고 참고문헌 번호와 일치하게 기재하였다.

가감고본환 : Gakamgobonhwan1) 加減拱辰丹 : Gagam-GongJin-dan2-5) 加減惜紅煎 : Gagam-Sukhongjeon3) 加減八物湯 : Gagampalmultang4) 加味歸脾湯 : Gamiguibitang6) 加味補虛湯 : Gami-Boheo-tang7) 加味四物湯 : Augmented Four-Substance 3Decoctions8) 加味逍遙散 : Gamisoyo-san9) 加味溫膽湯 : Kamiondamtang10) 加味錢氏白朮散 : Gami-Jeonssibaekchulsan11) 加味淸肝湯 : Gamichunggan-tang12)

葛根湯 : Galgeun-tang(gegen-tang, kakkon-to)13) 減肥輕身丸(2) : gambigyeongsinhwan(2)14) 康寧湯 : Gangyeong-Tang15) 乾薑附子湯 : Gungangbuja-tang16) 輕身降脂丸 : Gyeongshingangjeehwan17) 輕身降脂丸16 : Gyeongshingangjeehwan1618) 輕身解脂丸 : GeongshinhaeGihwan19) 경옥고 : Gyoungok-go20), Kyungok-go21) 桂枝芍藥知母湯 : Guizhishaoyaozhimu-Tang22) 桂枝湯 : Gui-Zhi-Tang23) 곽령탕 : Gwackryungtang24) 藿香正氣散 : Agastache Powder to Rectify the Ki25) 交感丹 : Gyogamdan26) 구미강활탕 : Gumiganghwal-tang(Jiuweiqianghoutang) 27), Gumiganghwal-tang28) 芎夏湯 加味方 : Gungha-tang-gamibang29) 歸脾湯 : Gwibitang30) 勻氣散 : Kyungisan31) 丹梔逍遙散加減方 : Danchisoyosangagambang32) 當歸鬚散 : Dangkisoo-san33) 當歸和血散加味方 : Danggwihwahyoelsangamibang11) 대시호탕 : Daeshiho-tang34) 桃仁承氣湯 : Doinseunggi-tang35) 苓桂朮甘湯 : Yeongkyechulkam-tang36) 마황가출탕 : Mahwanggachul-tang37) 발효삼소음 : fermented Samsoeum38) 防風通聖散 : Bangpoongtongsungsan39), Bangpungtongsungsan40), BangPungTongSungSan41), Bangpungtongsung-san42) 補腎湯 : Boshintang43) 補中益氣湯 : Bojungikgitang44,45), Bojungikki-Tang46), Bojoongikgitang47), Bojungiki-Tang48) 補中益氣合大七氣湯 : Bojungikkeehapdaechilkitang49), Bojungikkeehapdaechilki-tang50) 保肺養營煎 : Bopheyangyoungjeon51) 保和湯 : Bowhatang52) 茯苓甘草湯 : Bokryeongkamcho-tang36) 扶正抗癌湯 : Bujeonghangamtang53) 빈소산 : Binsosan54), Binso-san55) 四君子湯 : Sagoonja-Tang56), Sagunja-tang (Sijunzi-tang)57) 四六湯加味方 : Saryuktangkamibang58) 四妙勇安湯 : Samyoyongantang59) 四物湯 : Samul-tang(Siwu-tang)60) 瀉脾湯 : Sabeetang61) 四神丸 : Sasinhwan62) 瀉靑丸 : Sachungwhan63) 삼소음 : Samsoeum64), Samsoeum38) 삼출건비탕 : Samchulkunbi-tang65) 少陰人 補中益氣湯 : Soeuminbojungikgitang66) 小靑龍湯 : Socheongnyong-tang67) 소풍도적산 : Sopungdojeok-san68) 續命湯 : Sokmyeung-tang69) 順氣和中湯 : Soonkiwhajungtang70) 順氣活血湯 : Sunkihwalhyul-Tang71) 膝關節方 1號 : Sulguanjul-bang No.172) 시호가용골모려탕 : Shihogayonggolmoryo-tang73) 柴胡桂枝湯 : Sihogyejitang74) 柴胡疎肝散 : Chaihushugansan75) 柴胡抑肝湯 : Chaihuyigantang75), Sihoueokgantang76) 十全大補湯 : Sipjeondaebo-tang77,78) 雙和湯 : Ssanghwa-tang(Shuanghe-tang)79), Ssanghwa-tang80) 안중산 : Anjungsan81) 五德丸 : Odukhwan63) 오령산 : Oryeong-san82), Oryeong-san83) 吳茱木瓜湯 : Osumokkya-tang84), Osumogwa- Tang85) 烏藥順氣散 : Oyaksungi-san(Wuyaoshunqisan)86) 五子衍宗丸 : Ojayeonjonghwan87) 五積散 : Ojeok-san88), Ojeoksan89) 옥천산 : Okchun-San90) 온담탕 : Ondamtang91) 龍膽瀉肝湯 : Yong-dam-sa-gan-tang92) 越鞠丸 : Wolguk-whan93) 越鞠丸加味方 : Wolgug-Hwan Series94) 六味地黃湯 : Yukmijihwang-tang95), Yukmijihwangtang( Liuweidihuang-tang)96), Yukmijihwang-tang (Hwan)97)

六味地黃湯加味方 : Yukmijiwhangtangkamibang98) 六味地黃丸 : Yukmijihwang-Hwan99) 二妙散 : Imyosan100), I-Myo-San101), Yiemyo-san102), Yimyosan103) 理中湯 : Leejung-tang104) 이진탕 : Yijin-tang105) 益氣安神湯 : Ikgiansintang106) 人參養榮湯 : Insamyangyoung-tang107) 人蔘養胃湯 : Insamyangwitang108) 仁濟淸金丹 : injecheonggeumdan109) 茵蔯蒿湯 : injinhotang110), Injinho-Tang85) 芍藥甘草湯 : Jakyakgamchotang111), Paeoniae Radix and Glycyrrhizae Radix Decoction112) 轉呆丹 : Jeonmaedan113) 正傳加味二陳湯 : Jengjengamiyijin-tang (Zhengchuanjiaweierchen-tang)114) 定喘化痰降氣湯加鹿茸 : Jungcheonhwadamgangkitang ga Antler115) 釣藤散 : Jodeungsan116) 增液湯 : Jeungaektang117) 芷貝散 : Ji-pae-san118) 地黃飮子 : Jihwangeumja119) 天王補心丹 : chunwangboshimdan120) 淸肝健脾湯加味方 : Chunggangunbi-tanggamibang121) 淸肝逍遙散加味方 : Cheunggansoyosangamibang122) 淸營湯 : Chungyoung-tang123) 聰明湯 : Chongmyungtang124) 梔子豉湯 : Chijasi-tang125) 八物湯 : Palmul-tang126) 平腎湯 : Pyeongshintang127) 平胃散 : Pyungwuisan128), Pyungwi-san129,130) 항백탕 : Hangbeak-Tang131) 荊芥蓮翹湯 : Hyeonggaeyeongyotang132,133) 華盖散 : Hwagae-san134) 化痰通絡湯 : Hwadamtongrak-Tang135) 黃連解毒湯 : Hwangnyeonhaedok-tang136), Hwangryunhaedok-Tang137), Hwangnyeonhaedoktang138,139), Hwangryunhaedok-tang140), Hwangryunhaedok-tang16)

 

Ⅲ. 고 찰

2003년부터 2013년까지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140개 論文題目에 기재된 147개 處方의 로마자名을 考察 하면 다음과 같다.

1. 中國語 倂音 標記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는 1999년 투고규정을 제정하면서 處方名에 대한 규정은 두지 않았다. 이후 2007년 1월 30일에 논문 투고규정을 개정으로 하면서

라 하였는데, 이 때야 비로소 국문 處方名에 대한 로마 자名 표기에 대한 규정을 둔 것이고, 이는 상급학회인 2000년 6월에 제정된 大韓韓醫學會의 논문투고규정

을 따른 것이다.

이를 2006년까지의 논문과 2007년 이후의 논문으로 구별하면, 본 논문에서 조사된 140개 論文, 147개 處方 중 2007년 이전 발간된 논문 46개 論文에서 나온 處方은 총 48개 [참고문헌 번호로 1, 4, 6, 7, 8, 10, 15, 17, 19, 24, 29, 32, 34, 44, 45, 49, 50, 51, 52, 56, 57, 58, 59, 63(2개 처방), 66, 69, 70, 71, 72, 74, 75(2개 처방), 81, 84, 90, 93, 98, 100, 106, 108, 110, 111, 113, 119, 120, 122, 128의 處方이 이에 해당] 이며, 2007년 이후 발간된 94개 論文에서 나온 處方은 총 99개이다.

이 가운데 九味羌活湯, 四君子湯, 四物湯, 雙和湯, 烏藥順氣散, 六味地黃湯, 正傳加味二陳湯의 각각 1개씩, 총 7개 處方의 로마자名은 한글독음 뒤에 중국어 병음을 병기하고 있는데, 2003년의 四君子湯과 四物湯은 로마자名 표기 제정 이전의 기록으로 표기 근거가 없는데도 작성된 것이며, 2007년 正傳加味二陳湯, 2008년의 烏藥順氣散, 2009년의 雙和湯, 2010년과 2012년의 九味羌活湯, 2011년의 六味地黃湯만 규정대로 따른 것이다. 특이한 것은 葛根湯의 경우 ‘Galgeuntang(gegen-tang, kakkon-to)’ 라 표기하여 中國語 倂音뿐만 아니라 日本語도 발음대로 표기하였는데, 이 경우도 규정을 따르지 않은 것이다.

한편 大韓韓醫學會는 2009년 4월 30일 大韓韓醫學 會誌 논문투고규정을 다음과 같이 개정하였는데,

라 하여, 중국어 병기에 대한 내용을 삭제하였다. 그러므로 현재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논문투고규정 중 국문 處方에 대한 로마자名 표기규정을 대부분 지키지 않고 있는 현실과 현재 상급기관인 大韓韓醫學會의 大韓韓醫學會誌의 규정에 중국어 병음 병기사항을 삭제한 사실을 보았을 때,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논문투고규정도 중국어 병기 규정을 삭제하는 방향으로 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2. 이탤릭체와 평서체 표기

총 147개 처방 중 89개 처방은 평서체로 표기하였고, 59개 처방은 이탤릭체로 표기하였다. 조사대상 논문의 40.1%에서 이탤릭체를 사용하였지만,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논문투고규정에는 處方의 로마자名에 대한 이탤릭체 혹은 평서체 표기 구분에 대한 언급이 없다. 따라서 이탤릭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논문투고 규정에 이러한 내용을 포함시켜야 할 것이며, 필요하지 않다면 투고할 당시 수정을 요구하거나 심사를 통해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3. 劑型에 대한 표기 방식

김은 湯, 散, 丸, 元, 圓, 煎, 飮, 膏, 丹, 錠 등 劑型에 따라 어떻게 표현하였는지를 고찰하였는데, 한글로마자 표기를 따를 것인지 중국어 병음을 따를 것인지 문제로 귀결된다. 또한 송은 製型의 표기에 대하여 湯, 飮, 煎은 decoction으로, 散은 powder로, 丸, 元, 圓은 pill로, 膏는 pasrte로, 丹은 vermillion pill로, 片은 tablet으로, 錠은 troche로 표시할 것을 제시하였다.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의 논문투고규정에 따르면 1999년 제정할 당시에는 로마자名 표기에 대한 규정이 없었으나 2007년 1월 개정한 이후 ‘劑型을 뜻하는 단어는 hypen(-)을 사용한 뒤 소문자로 표시’ 한다고 되어 있다. 147개 처방 중 3개 (3개 처방은 가미사물탕, 작약감초탕, 곽향정기산인데 가미사물탕을 Augmented Four-Substance Decoctions으로 명명하고, 작약감초탕을 Paeoniae Radix and Glycyrrhizae Radix Decoction으로 명명하고, 곽향정기산을 Agastache Powder to Rectify the Ki로 명명하여 製型에 대한 표기 조사에서는 제외하였다) 를 제외한 144개를 대상으로 하였을때, 이를 준수하고 있는 處方은 61개이고, 준수하지 않는 처방은 hypen없이 바로 이어 쓴 경우가 66개 처방 [참고문헌 번호로 1, 3, 4, 6, 10, 11(3개 처방), 14, 17, 18, 24, 26, 30, 31, 32, 38(2개 처방), 39, 40, 43, 44, 45, 47, 49, 51, 52, 53, 54, 58, 59, 61, 62, 63(2개 처방), 64, 66, 70, 74, 75(2개 처방), 76, 81, 87, 89, 91, 98, 100, 103, 106, 108, 109, 110, 111, 113, 116, 117, 119, 120, 123, 124, 127, 128, 132, 133]이고, hypen은 사용하였으나 대문자를 사용한 경우가 16개 [참고 문헌 번호로 15, 22, 23, 46, 48, 56, 71, 85(2개 처방), 90, 99, 101, 131, 135, 137의 처방이 이에 해당]이며, 한글 독음의 첫 글자마다 대문자를 쓰고 이를 이어서 쓴 경우가 1개 [참고문헌 번호로 4의 처방이 이에 해당]이다.

劑型에 대한 표기는 42.4%만 논문에서 논문투고규정을 준수하고 있다. 그러나 제형을 표현하는 hypen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處方에 대한 로마자 표기는 處方의 고유명칭에 대한 로마자표기이며, 제형에 대한 의미 또한 處方의 고유명칭에 포함되기 때문에, 구태여 제형만 따로 hypen을 사용하여 표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 또한 hypen을 사용하였을 경우 영문 Keywords로 논문을 검색할 때 제대로 검색되지 않는다는 점도 고려해야한다. 사물탕을 예로 들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www.riss.kr) 를 통해 ‘사물탕’ 또는 ‘四物湯’ 으로 검색하면 각각 학위논문 165건, 국내 학술지논문 136건을 검색할 수 있는데, ‘samultang’ 으로는 학위논문 90건, 국내학술지논문 45건이 검색되며, ‘samul-tang’ 으로는 학위논문 15건, 국내학술지논문 26건만 검색 된다 (2013년 10월 7일 현재). 그러므로 劑型에 대한 표기 방식에 대하여 hypen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4. 加減, 加味 등에 대한 표기 방식

1) 147개 처방 가운데 加減◯◯◯◯ 또는 加味◯◯◯◯ 처방은 모두 12개이다. 이 가운데 加減拱辰丹 (2개 처방), 加減惜紅煎, 加味補虛湯, 加味錢氏白朮散은 ‘加減’ 또는 ‘加味’ 를 hypen을 이용하여 표기하였고, 가감고본환, 加減八物湯, 加味歸脾湯, 加味逍 遙散, 加味溫膽湯, 加味淸肝湯은 hypen을 이용하지 않고 붙여 표기하였다. 특이한 것은 加味四物湯의 경우 ‘Augmented Four-Substance Decoctions’ 으로 표기하여 로마자명칭을 意味로 풀었다는 점이다.

2) 147개 처방 가운데 ◯◯◯◯加減, ◯◯◯◯ 加味 또는 ◯◯◯加減◯, ◯◯◯加味◯ 처방은 모두 9개이다. 이 가운데 四六湯加味方, 六味地黃湯加味方, 正傳加味二陳湯, 丹梔逍遙散加減方의 경우는 ‘加減’ 또는 ‘加味’ 를 hypen을 이용하지 않고 붙여 표기하였고, 芎夏湯加味方, 當歸補血湯加味方, 淸肝健脾湯加味方, 淸肝逍遙散加味方의 경우는 hypen을 이용하여 표기하였다. 특이한 것은 越鞠丸加味方의 경우 ‘Wolgug-Hwan Series’ 로 표기하여 加味方을 의미로 풀어서 기재하였다.

3) ‘加減’ 또는 ‘加味’ 에 대한 영문 표현을 보면, 加減의 경우는 모두 gagam으로 표기하였으나 加味의 경우 加味溫膽湯은 kami로 표현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gami로 표기하였다.

이상의 경우를 통해 加減, 加味 등에 대한 표기 방식에 대해서는 세 가지 문제를 고찰해야 한다. 첫째는 hypen을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문제이다. 앞서 劑型에 대한 표기 방식에서도 hypen 사용에 대한 문제를 언급하였는데, ‘加減’ 이나 ‘加味’ 또한 처방의 고유명칭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구태여 이것을 구분하여 hypen을 사용하여 표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hypen을 사용할 경우 영문 Keywords로 논문을 검색하면 검색결과가 달라지는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둘째로는 ◯◯◯◯加減, ◯◯◯◯加味 또는 ◯◯◯加減◯, ◯◯◯加味◯의 경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이다. 加減◯◯◯◯이나 加味◯◯◯◯의 경우는 기존의 영문 표기 방법에 큰 문제가 있지 않다. 그러나 ◯◯◯◯加減, ◯◯◯◯ 加味 또는 ◯◯◯加減◯, ◯◯◯加味◯의 경우는 한글 명칭부터 명확하게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건령탕가감방, 보중익기탕가감방 등은 건령탕가감, 보중익기탕가감 등의 처방과 다른 처방으로 볼 것인지, 단천환가감이나 자음건비가감탕을 단천환 가감방이나 자음건비탕가감이라고 하면 다른 처방이되는 것인지를 먼저 논의해야 한다. 물론 이런 문제는 용어표준화 작업과 연계되어 있어서 쉽게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그러므로 별도의 처방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하겠지만, 현재 영문표기에 대한 문제부터 해결한다면 ◯◯◯◯加減, ◯ ◯◯◯加味 또는 ◯◯◯加減◯, ◯◯◯加味◯의 경우 hypen을 사용하지 않고 ◯◯◯◯gagam, ◯◯◯◯gami 또는 ◯◯◯gagam◯, ◯◯◯gami ◯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한 가지 더 제안을 하자면 ◯◯◯◯gagam, ◯◯◯◯gami의 경우는 뒤에 bang을 붙여서 ◯◯◯◯gagambang이나 ◯◯◯◯gamibang으로 표현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는데, 이 또한 처방용어표준화를 통해 심도 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로는 加味를 ‘Kami’ 로 쓸 것인지 ‘Gami’ 로 쓸 것인지에 대한 문제이다. ‘Kami’로 쓴 한 가지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Gami’ 를 사용하였는데, 이 문제는 뒤에서 다시 한 번 다루고자 한다.

5. 표기의 통일성에 대한 문제

1) ‘가’ 발음 표기 : ‘加味’ 에 대해 ‘Gami’ 로 쓴 경우도 있고 ‘Kami’ 로 쓴 경우도 있어서 ‘가’ 에 대해 ‘Ga’ 를 쓴 경우도 있고 ‘Ka’를 쓴 경우도 있다.

2) ‘기’ 발음 표기 : 勻氣散이나 桃仁承氣湯의 경우에는 ‘기’ 를 ‘gi’ 로 표기하였고, 보중익기탕의 경우에는 ‘기’ 는 ‘ki’ 로 표기하였다.

3) ‘이’ 발음 표기 : 이중탕에서는 ‘이’ 를 lee’ 로 표기하였으며, 二妙散에서는 ‘i’ 로 표기하였고, 二陳湯에서는 ‘yi’ 로 표기하는 등 매우 다양하게 표기되었다.

4) ‘지’ 발음 표기 : 輕身降脂丸의 경우에는 ‘지’ 에 대해 ‘jee’ 로 표기하였고, 輕身解脂丸의 경우는 ‘gi’ 로 표기하였으며, 柴胡桂枝湯의 경우는 ‘ji’ 로 표기하였다.

5) ‘환’ ‘활’ ‘황’ 발음 표기 : 대부분 ‘환’ ‘활’ ‘황’ 에 대하여 ‘hwan’ ‘hwal’ ‘hwang’ 으로 표기하였으나 保和湯 順氣和中湯의 경우에는 ‘wha’ 로, 瀉靑丸 越鞠丸의 경우에는 ‘whan’ 로, 六味地黃湯氣味方의 경우에는 ‘whang’ 으로 표기하였다.

그러므로 ‘가’ 에 대해 ‘Ga’ 로 쓰는 것과 ‘Ka’ 로 쓰는 것을 둘 다 허용할 것인지 어느 하나만 허용할 것인지, ‘기’ 를 ‘gi’ 로 쓸 것인지 ‘ki’ 로 쓸 것인지, ‘이’ 를 ‘lee’ 로 쓸 것인지 ‘i’ 로 쓸 것인지 ‘yi’ 로 쓸 것인지 셋 다 허용할 것인지, ‘지’ 를 ‘ji’ 로 쓸 것인지 ‘gi’ 로 쓸 것인지, ‘환’ ‘활’ ‘황’ 을 ‘hwan’ ‘hwal’ ‘hwang’ 으로 쓸 것인지 ‘whan’ ‘whal’ ‘whang’ 으로 쓸 것인지 둘 다 허용할 것인지 등을 결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영문 Keywords로 검색할 경우 여전히 어떤 것은 검색이 되고 어떤 것은 검색이 되지 않는 일이 벌어질 것이다.

김은 로마자 표기에 있어서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로 한글 발음의 처방명에 대한 로마자 표기 통일안을 정확하게 따르지 않는 것을 꼽고 있다. 그 대안으로 한글 프로그램 2005에서 제공하는 한글로마자 표기 기능을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현재 한글 2007이나 한글 2010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어느 한 가지 표기법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두세 가지 표기법을 제시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는 경우에 따라 논의하여 그 결과를 기록해 놓아야 할 것이다.

또한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2003년 11권 1호부터 2013년 21권 1호에 수록된 147개 처방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가 몇 개 되지는 않지만 대상을 달리 한다면 이와 같은 문제는 훨씬 더 많이 발생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논의 또한 학회지 편집을 담당하는 편집위원이나, 각 학회의 편집 위원장으로 구성된 편집인협의회(가칭), 또는 한의학회 산하 한의학용어표준화및정보표준화위원회 등에서 논의하여 각 학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통일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6. 기타

1) 음절 구분과 대문자 사용에 대한 문제

二妙散 芷貝散 龍膽瀉肝湯의 경우는 한글 독음마다 hypen을 이용하여 띄어쓰기를 하였으며, 加減拱 辰丹과 防風通聖散의 경우는 hypen 없이 독음마다 대문자를 이용해서 구별하였다.

2) 정의를 기반으로 한 명칭

處方 로마자 표기방식도 결국 用語의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處方名을 한글발음대로 표기하지 하지 않고 정의를 기반으로 명칭을 표기한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加味四物湯을 ‘Augmented Four-Substance Decoctions’ 으로 표기하였는데, 이는 加味를 Augmented로 四物을 Four-Substance로 湯을 Decoctions으로 표기한 것인데, 用語라는 측면에서 적절하지 않다. 한편 藿香正氣散을 ‘Agastache Powder to Rectify the Ki’ 로 표기하였는데, 이는 藿香의 학명 ‘Agastache’ 와 正氣를 의미하는 ‘Rectify the Ki’ 를 사용하여 학명과 정의를 기반으로 處方 로마자名 으로 삼은 것이며, 이 또한 用語로 적절하지 않다.

3) 처방 명칭에 포함된 본초 용어 문제

갈근탕(Galgeun-tang), 甘麥大棗湯(Gammaekdaejotang), 桂枝茯苓丸(Gaejibokryunghwan), 귤피대황 백초탕(Gyulpidaehwangbakcho-tang) 등 많은 처방의 예에서와 같이 처방 명칭에 본초 용어가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본초 용어를 한글 병음으로 표기하였는데, 定喘化痰降氣湯加鹿茸(Jungcheonhwadamgangkitang ga Antler), 芍藥甘草湯(Paeoniae Radix and Glycyrrhizae Radix Decoction)의 경우는 한글병음을 사용하지 않고 생약명을 사용하여 표기하였다. 송은 본초용어에 대해 영어, 라틴생약명을 병기하되 라틴 학명이 없는 경우는 영어를 우선으로 하고, 종명 (genus name)을 앞에 두는 방안을 제시하였다12). 그러나 본초용어가 포함된 처방 용어 또한 단일 명사이므로 본초 용어만 영어나 라틴생약명으로 표기하는 것도 적절한 방안이 될 수는 없는 일이다. 처방 용어에 본초 용어가 하나 포함되어 있다면 쉬울 수 있지만 본초 용어가 둘이나 셋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면 표현하는 것조차 힘들다. 예를 들면 마황행인감 초석고탕과 같은 경우는 송의 견해를 따른다면 Ephedrae Herba Armeniacae Amarum Semen Glycyrrhizae Radix Gypsum Fibrosum-decoction으로 표현해야 하지만 한글 병음으로 한다면 Mahwanghengingamchoseokgotang으로 표기하면 된다.

따라서 定喘化痰降氣湯加鹿茸과 芍藥甘草湯은 각각 Jungcheonhwadamgangkitangganokyong과, Jakyakgamchotang으로 표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4) 중국어 병음 또는 발음 표기 문제

2007년 1월 이전에는 중국어병음 병기에 대한 규정이 없으며, 2007년 1월 이후에는 중국어병음을 병기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2007년 11권 1호 이후에 수록된 논문이라면 한글독음 뒤에 괄호를 이용하여 중국어병음을 기재해야 한다. 하지만 대상인 100개 논문중 2007년 正傳加味二陳湯, 2008년의 烏藥順 氣散, 2009년의 雙和湯, 2010년과 2012년의 九味羌 活湯, 2011년의 六味地黃湯 등 6개 處方만 규정대로 기재하였다. 한편 중국어 병음만을 표기한 경우도 있었는데, 桂枝芍藥知母湯과 桂枝湯이 그 예이고, 심지어 일본어 발음을 표기한 경우도 있었는데, 葛根湯이 그 예이다.

한글 표기에서 음절 구분이 필요한지 문제는 제형에 hypen을 사용하는 문제와 동일 선상에서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대문자 사용에 대한 것 또한 제일 첫 음절에 대해서만 대문자를 사용하면 되고 음절 마다 대문자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처방 명칭에 포함된 본초 용어 사용에 대해서는, 대다수 논문들이 한글발음으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생약명으로 표기할 필요가 있다면 해당 사항을 규정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한글병음과 중국어 병음의 혼용 문제나 중국어 병음 표기 문제에 대한 것도 고려해야 한다. 2007년 1월 이후로 한글독음과 함께 괄호 안에 중국어병음을 병기하도록 하였으나, 大韓韓醫學會에서는 2009년 4월 이후로는 學會誌 규정상 중국어병음 병기를 삭제하고 한글독음만 표기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현재의 투고규정을 상급학회의 학회지 투고 규정과 합치시키거나, 현재의 규정대로 투고과정이나 심사과정을 통해 규정을 준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Ⅳ. 결 론

연구자가 학회지에 논문을 투고하고자 한다면 우선적으로 해당 학회지의 논문투고규정을 살펴보아 논문을 제대로 작성했는지 자체 점검을 해야 할 것이며, 심사자나 편집자는 투고 논문이 학회지 투고규정을 제대로 준수하였는지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

2003년 11권 1호부터 2013년 21권 1호까지 大韓韓 醫學方劑會誌에 수록된 논문 가운데 논문 제목에서 처방을 언급한 140개 논문을 대상으로 처방의 영문 로마자 표기를 고찰해 보았는데, 다음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논문 투고자나 심사자, 학회지 편집자 등 학회지 발간에 관여하는 사람은 학회지 논문투고규정을 준수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학회지 위상을 제고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회지 DB 검색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둘째, 조사대상 논문의 39.9%에서 처방 명칭에 이탤릭체를 사용하였는데 학회지 논문투고규정에는 이탤릭체 사용에 대한 언급이 없다. 따라서 이탤릭체로 표기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해당 내용을 포함시켜야 할 것이며, 필요하지 않다면 투고할 당시 수정을 요구하거나 심사를 통해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劑型에 대한 표기는 hypen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조사대상 논문의 43.4% 이상 논문이 논문 투고규정을 준수하고 있다. 그러나 제형 또한 처방 고유명칭에 포함되므로 제형만 구분하여 hypen을 사용하여 표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hypen을 사용할 경우 영문 Keywords로 논문을 검색할 때 검색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를 고려한다면 hypen을 사용하여 제형을 표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넷째, 加減, 加味에 대한 표기 또한 hypen을 사용하여 표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加減, ◯◯◯◯加味 또는 ◯◯◯加減◯, ◯◯◯加味◯의 경우 hypen을 사용하지 않고 ◯◯◯◯gagam, ◯◯◯◯gami 또는 ◯◯◯gagam◯, ◯◯◯ gami◯로 표기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덧붙여 ◯◯◯◯gagam, ◯◯◯◯gami의 경우는 뒤에 bang을 붙여서 ◯◯◯◯gagambang이나 ◯◯◯◯gamibang으로 표현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섯째, 표기의 통일성 문제를 결정해야 한다. ‘가’ 를 ‘Ga’ 로 쓸 것인지 ‘Ka’ 로 쓸 것인지, ‘기’ 를 ‘gi’ 로 쓸 것인지 ‘ki’ 로 쓸 것인지, ‘이’ 를 ‘e’ 로 쓸 것인지 ‘i’ 로 쓸 것인지 ‘yi’ 로 쓸 것인지, ‘지’ 를 ‘ji’ 로 쓸 것인지 ‘gi’ 로 쓸것인지, ‘환’ ‘활’ ‘황’ 을 ‘hwan’ ‘hwal’ ‘hwang’ 으로 쓸 것인지 ‘whan’ ‘whal’ ‘whang’ 으로 쓸것인지, 어느 하나를 결정할 것인지 둘이나 셋 다 허용할 것인지 등을 결정해야 한다.

여섯째, 기타 음절 구분이나 음절의 대문자 사용, 한글병음과 중국어 병음을 혼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중국어 발음 표기 등에 대한 문제도 투고과정이나 심사과정을 통해 학회지 논문투고규정을 준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상으로 大韓韓醫方劑學會誌 2003년 11권 1호부터 2013년 21권 2호에 수록된 140개 처방을 대상으로 제반 문제를 검토해 보았는데, 本草名에 대한 로마자 표기 등 대상을 달리 하여 고찰한다면 이와 같은 문제는 훨씬 더 많을 수 있다. 그러므로 한의학계 전반에 공동으로 준수해야 할 학회지 투고규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는 각 학회의 학회지 편집을 담당하는 편집위원이나 편집위원장으로 구성된 편집인협의회(가칭), 또는 한의학회 산하 한의학용어표준화및정보표준화위원회 등에서 논의하여 각 학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통일된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1. Ahn DG, Lee SY, Yoon HD, Shin WC, Park CG, Park CS. Effect of the neuroprotetion and anti- Alzheimer's disease in C'T99-induced PC12 cells by Gakamgobonhwan water extract.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1):35-48.
  2. Kim HJ, Kim YS, Mok JY, Jeong SI, Hwang SY, Cho JK, Jang SI. Anti-inflammatory Effect of Gagam- GongJin-dan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1):207-17.
  3. Lim DS, Kim NU, Lee HH, Lee YS, Hong S, Kim HC, Choi CW. One Case of Ulcerative Colitis Improved by Gagam-Sukhongjeon.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1):229-37.
  4. Lee JH, Ahn SH. Changes in transepidermal water loss after medication of Gagampalmultang to 104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1):197-204.
  5. Hwang SY, Lee CW, Lee SH, Kim HJ. The Ameliorative Effects of Gagam-GongJin-dan (WSY-1075) in Contact Dermatitis-induced Animal Model. Herbal Formula Science. 2013;21(1):131-41. https://doi.org/10.14374/HFS.2013.21.1.131
  6. Choe CM, Hong GC, Kim DN, Kim SB, Yoo SK. Effects of Gamiguibitang on the ovulation in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2):111-24.
  7. Lee JA, Ban HR, Cho SH. A Clinical Study on the Postpartum Depression Treated by Gami-Boheo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1):223-33.
  8. Kim HH, Park SY, Kang SA, Kim HY, Ahn DK, Park SK. Vasodilation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Gingko biloba, Acanthopanax senticosus and Augmented Four-Substance Decoctions in Rat Thoracic Aorta.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2):125-34.
  9. Baek DK. The Clinical Study of Two Severe Menopausal Disorder Patients Treated by Gamisoyo-san.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2):199-211.
  10. Kim KS, Jeun SY, Ann JJ, Hong S, Jeung SM. Study on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Kamiondam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1):85-101.
  11. Hur JI, Cho DH, Son JY, Kwak MA, Kim DJ, Byun JS, Park Kg. A Case Report of Ulcerative Colitis Medicated by Danggwihwahyeolsan-gamibang and Gami-Jeonssibaekchulsan.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2):187-95.
  12. Choi SH, Chang MW, Park SA, Lim SM, An JJ, Jo HK, Yoo HR, Seol IC, Kim YS. Two Cases report of Chunggan plus(Gamichunggan-tang) for Hepatitic C patient and Alcoholic Hepatitis patient with Cerebral-infarction.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 (2):243-54.
  13. Lee JK, Kim JH, Shin HK. Systematic Studies on Galgeun-tang(gegen-tang, kakkon-to) for Establishment of Evidence Based Medicine.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1):103-11.
  14. Shin SS, Lee HY, Lee HR, Yoon MC, Lee YT. Gambigyeongsinhwan(2) Reduces Blood Triglyceride Levels and Improves Visceral Fat in High Fat Diet-Fed Obese Male C57BL/6N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2):47-59.
  15. Lee TH, Yoon JM, Lim EM, Kim YS, Cho HJ.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angyeong-Tang on Mice injected LPS in Vagina. Herbal Formula Science. 2004;12(2):95-108.
  16. Choi YY, Kim MH, Lee YH, Yang WM. Evaluation of Efficacy evaluation of Hwangryunhaedok-tang and Gungangbuja-tang on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inflammation mouse model.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2):83-92.
  17. Yang YI, Jung YS, Lee HY, Rhee SS, Kim BC, Kim JH, Seok HJ, Yoo JS, Yoon KH, Jo JH, Kim H, Kim GC, Shin SS. Anti-hyperlipidemia Effect of Gyeongshingangjeehwan (GGEx) in High Fat induced Obese Male Micro-pigs. Herbal Formula Science. 2006;14(2):45-56.
  18. Yang-Sam Jung, Ki-Hyeon Yoon, Seung-Bae Choi, Mi-Chung Yoon, Shin SS. Clinical efficacy of Gyeongshingangjeehwan16 according to obeisty related to measurement variables.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1):169-83.
  19. Yang Sam Jung, Pei Chin Tsung, Seung Bae Choi, Tsung, Gyeong Cheol Kim, Soon Shik Shin. The effects GeongshinhaeGihwan 1(GGT1) has on the hGHTg (human growth hormone transgenic) obese male rats' blood-antiobestic index.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2):1-16.
  20. Sung-Min Park, Won-Wook Lee, Mi-Jeong Jo, Jong- Rok Lee, Dae-Hwa Jung, Eun-Young Park, Sung- Hui Byun, Sang-Chan Kim. Processing of Vinegar Using Gyoungok-go. Herbal Formula Science. 2009;17(1):121-8.
  21. Kim Juho, Lee Jungho, Oh Jaemin, Kim Yunkyung. Inhibitory Effects on Bone Resorption and osteoblast proliferation of Kyungok-go.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2):61-71.
  22. Jeong HW. Experimental Study of GuizhiShaoyao- Zhimu-Tang on the Rheumatic Pathologic Model Induced by Ajuvant in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1):25-40.
  23. Lee SJ, Kim YM. A study of'Ji-Qi-Shang-Chong (其氣上衝)'and Gui-Zhi-Tang(桂枝湯)in Shanghan- lun.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2):165-76.
  24. Hee-chul Kim, Young-Soo Lee, Hyung-Cheon Ryu. A Clinical Report of Patient of Autoimmunity disease treated with Gwackryung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1):215-22.
  25. Shin SS. Analysis of Agastache Powder to Rectify the Ki Combination for the Formula Science Common Textbook. Herbal Formula Science. 2013;21(1):16 -35. https://doi.org/10.14374/HFS.2013.21.1.016
  26. Lim YH, Kook YB. The Oriental Medical Literature Relating to Treatment of Gyogamdan in Ki Stagnation : focused on Suseunghwag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1):1-13.
  27. Shin IS, Kim JH, Ha HK, Seo CS, Lee MY, Lee HY, Lee JK, Lee NH, Lee JA, Lee SI, Huh JI, Shin HK. Acute Toxicity Study on Gumiganghwal-tang (Jiuweiqianghuo-tang) in Sprague-Dawley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10;18(1):79-85.
  28. Park HY, Hwang YH, Jang DR, Ha JH, Jung KY, Ma JY. Acute Toxicity Study on Gumiganghwal-tang and Fermented Gumiganghwal-tang Extracts.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2):93-102.
  29. Ryu HC, Lee YS, Choi CW, Kim HC, Kim JS, Seo CH. A Case Report on the Patient Suffered from Hypochondriac Pain due to Phlegm Retention after CVA Treated with Gungha-tang-gamib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4;12(2):203-11.
  30. Park YG, Kim YK, Yun YG. A review on composition, action, compatibility of ingredients, clinicical application of Gwibi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2):1-8.
  31. Jung JA, Hong S, Jun SY. Effect of Kyungisan in on th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in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2):89-98.
  32. Kim JH, Kim KS, Kim JS. Effect of Danchisoyosangagambang Extract on the Hyperglycemic Mice Induced with Streptozotocin.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2):41-57.
  33. Yun YJ, Kim KL, Jin MH, Kang YG, Nam WJ, Park DI. A Case Report of Tension Type Headache Patient with Dangkisoo-san and Acupuncture. Herbal Formula Science. 2013;21(1):206-12. https://doi.org/10.14374/HFS.2013.21.1.206
  34. Kim CH, Kweon YM, Lee YT, Park SD. The preventive effect of Daeshiho-tang on liver damage induced by acetaminophen in the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04;12(2):139-54.
  35. Lee YJ, Kim EK, Kim HY, Yoon JJ, Lee SM, Lee GM, Kang DG, Lee HS. Therapeutic Effect of Doinseunggi-tang on Diabetic Vascular Dysfunction. Herbal Formula Science. 2013;21(1):119-30. https://doi.org/10.14374/HFS.2013.21.1.119
  36. Jeong JK, Lee SI. A Case of Nummular Eczema Treated with Bokryeongkamcho-tang and Yeongkyechulkam- 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13; 21(1):200-5. https://doi.org/10.14374/HFS.2013.21.1.200
  37. Yim JM, Lee AR, Kam CW, Kim WI. A Case Of Treatment with Mahwanggachul-tang on Fever and Edema Due to Urinary Tract Infection Combined with Stroke.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1): 263-72.
  38. Lee JH, Hwang YH, Lee JH, Yim NH, Cho WK, Ma JY. Acute toxicity on Samsoeum and fermented Samsoeum in ICR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2):73-82.
  39. Shin DH, Cho GH, Lee H, Moon MK, Kang DG, Yun YG, Park DS, Juhng SK, Lee SH. Clinical study of Bangpoongtongsungsan on body weight change in subjects with obesity.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2):133-44.
  40. Lee JH, Yun YG. Herbal Prescriptional Study of Bangpungtongsungsan. Herbal Formula Science. 2010;18(1):1-12.
  41. Shin JS, Jang EY, Kim DH, Kim SC, Kim KJ, Yang CH. Effect of BangPungTongSungSan(BPTSS, 防 風通聖散) on acute methamphetamine-induced locomotor activity and c-Fos expression in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2):39-46.
  42. Jung KE, Lee KJ, Lee CW, Kwak IS, Lee JC, An WG. A Study on the Safety of Bangpungtongsungsan in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2): 55-63.
  43. Cha CM, Seo BI, Kim GC, Shin SS. Hyeongok's Boshintang was combined according to the theory for properties and tastes of herbal medicines.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1):29-38.
  44. Jang SI, Kim HJ, Kim YJ, Pae HO. Bojungikgitang Inhibits LPS Plus Interferon-$\gamma$-induced Inflammatory Mediators in RAW 264.7 Macrophages.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1):115-28.
  45. Kim JH, Lee TH. Effect of Bojungikgitang on Starvation Stress in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06;14(1):133-40.
  46. Park JY, Yi HS, Park SD. The latest trend of research and clinical usage about Bojungikki- Tang in Japan-searching medical science articles published from 2003 to 2008-.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2):11-29.
  47. You SY, Lim YH, Kook YB. Literature Study on Bojoongikgitang and Clinical Application. Herbal Formula Science. 2009;17(1):45-59.
  48. Kang RY, Kim HJ, Han HJ, Park EY, Jang JA, Kim JW, Seo HS. Two cases of the Gastric Dysmotilitylike Dyspepsia in functional dyspepsia that were improved by Bojungiki-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9;17(2):203-13.
  49. Lee YH, Kim BS, Oh JH, Lim HY, Kim DW, Choi BH, Kim SC, Byun JS. The Anti-tumor Effect of Bojungikkeehapdaechilkitang with Doxorubicin in 3LL. Herbal Formula Science. 2004;12(1):131-48.
  50. Hwang HJ, Byun JS. Genotoxicity Test of Bojungikkeehapdaechilki-tang water extract. Herbal Formula Science. 2006;14(1):141-67.
  51. Seo CH, Kim HC. Effect of Bopheyangyoungjeon on the Lung Tumor of A/J Mouse Induced with Urethane.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2):71-91.
  52. Kim DW, Choi BH, Hur JI, Park K, Kim DJ, Byun JS. Evaluation for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Bowhatang in Functional Dyspepsia. Herbal Formula Science. 2006;14(2):97-108.
  53. Kim H, Won JH, Moon G. Anti-cancer Effects of Bujeonghangamtang on Humman Pancreatic Cancer Cell Line PANC-1. Herbal Formula Science. 2007; 15(1):213-28.
  54. An KS, Woo CH, Kwon OG, An HD. Therapeutic Effects of Binsosan(檳蘇散) on Adjuvant-induced Rheumatoid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08; 16(2):115-31.
  55. Kim HS, Kim SY, Kwon SY, Jae JT, Yun CS, Sung KK. Case Study of Heterotopic Ossification of Hypoxic Brain Damage Patient with Binso-san. Herbal Formula Science. 2009;17(2):225-31.
  56. Kwon YU, Lee TH. Effect of Each Constituent- Herb of Sagoonja-Tang on the Change of Corticosterone Level induced by Cold Stress in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2):83-94.
  57. Jo YK, Lee TH. Effect of Each Constituent-Herb of Sagoonja-Tang on the Change of Corticosterone Level induced by Heat Stress in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2):147-58.
  58. Oh YT, Kim DW. Effect of Saryuktangkamibang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Herbal Formula Science. 2006;14(2):57-66.
  59. Byun SH, Lee BW, Kim SC. Effect of Samyoyongantang on Contact Hypersensitivity induced by Repeat Elicitation of DNCB.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2):59-69.
  60. Ma JY, Yu YB, Ha HK, Huang DS, Ma CJ, Shin HK. Acute Toxicity Study on Samul-tang (Siwutang) in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2):113-7.
  61. Park TY, Kim GC, Shin SS. Hyeongok's Sabeetang Was Combined According to the Theory for Properties and Tastes of Herbal Medicines.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1):137-44.
  62. Kim TH, Cho HJ, Park SD.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Odukhwan and Sasinhwan in RAW264.7 cells. Herbal Formula Science. 2012; 20(2):65-82.
  63. Lee JE, Park SD. Effect of Sachungwhan and its components on acetaminophen induced hepatoxicity in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1):129-49.
  64. Seo CS, Kim JH, Huang DS, Shin HK.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even Compounds in Samsoeum by HPLC-PDA. Herbal Formula Science. 2010;18 (1):95-103.
  65. Kim OS, Seo CS, Kim YJ, Shin HK. Comparative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amchulkunbi-tang Decoction and Commercial Herbal Medicine.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2):1-11.
  66. Kwack JJ, Kim HC. Effect of Soeuminbojungikgitang on the Lung Tumor of A/J mouse induced with Urethane.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2) :17-40.
  67. Jeon WY, Lee MY, Lim HS, Shin IS, Kim YJ, Jin SE, Yoo SR, Seo CS, Kim JH, Ha HK, Jeong SJ, Kim OS, Shin NR, Kim SS, Shin HK. Experimental Studies on the inflammation-related diseases pharmacological effect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from Socheongnyong-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2):13-28.
  68. Ahn SH, Kim JT, Sopungdojeok-San Inhibits Atopyliked Dermal Inflammation through Regulation of iNOS mRNA Expresssion & NO production.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1):199-211.
  69. Na HJ, Kwon DY. Study on the Origin, Description and Composition of Sokmyeung-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2):19-28.
  70. Shin MK, Kim BS, Oh JH, Lim HY, Kim DW, Choi BH, Kim SC, Byun JS. The Anti-tumor Effect of Soonkiwhajungtang with Doxorubicin in Colon- 26. Herbal Formula Science. 2004;12(2):119-37.
  71. Hong S, Ann JJ, Jeong SY, Choi CW, Jeong YD. The Experimental Study of Sunkihwalhyul-Tang against Inhibitive Effects on the Brain Ischemia.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1):49-69.
  72. Park MJ, Seo JW, Sung IH, Kim NO, Sung SM, Chung AK, Shin DH, Park KH. The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Sulguanjul-bang No.1 According to Formulation.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2):193-206.
  73. Kim KS, Kim WC, Kim KO. A Study about trends of using Shihogayonggolmoryo-tang granule.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1):159-66.
  74. Wang CH, Jin DM, Yi IH, Kim DH, Lee JH. Case report about allergic patient from Gomphrena globosa and treated Sihogyeji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4;12(2):221-4.
  75. Ahn SJ, Lee TH. Effect of Chaihushugansan and Chaihuyigantang on the change of Monoamine Contents in the Hypothalamus of Mice induced by the Immobilization Stress.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1):99-114.
  76. Jo YK, Lee TH. Anti-stress effects of Sihoueokgantang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and the forced swimming test.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 (2):147-60.
  77. Ma JY, Lee NH, Huang DS, Ha HK, Yu YB, Shin HK. Micronucleus test of Sipjeondaebo-tang extract using the bone marrow cells in ICR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1):109-15.
  78. Ma JY, Huang DS, Lee NH, Ha HK, Yu YB, Shin HK. Chromosomalanomaly test of Sipjeondaebotang extract using the Chiness hamster lung.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2):145-53.
  79. Kim JH, Seo CS, Shin HK. The Comparative Study on Decoctions of Ssanghwa-tang(Shuanghe- tang) Extracted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Herbal Formula Science. 2010;18(2):125-34.
  80. Lee JH, Um YR, Lee JH, Ma JY. Acute Toxicity Study on Ssanghwa-tang Extract Ferment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in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1):233-41.
  81. Kim MC. One Case Report of Peptic ulcer Patient Who was Administered by Anjungsan.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1):253-61.
  82. Seo CS, Shin HG.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innamaldehyde and Coumarin in Oryeong-san using HPLC with Photodiode Array Cetector. Herbal Formula Science. 2010;18(2):251-7.
  83. Park HY, Hwang YH, Ha JH, Jung KY, Ma JY. Acute Toxicity Study on Oryeong-san in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13;21(1):111-8. https://doi.org/10.14374/HFS.2013.21.1.111
  84. Jeong OS, Yun YG, Kim YC. Free Radical Scavenging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Osumokkya- 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2):93-100.
  85. Lee SH, Kim YB.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Injinho-Tang and Osumogwa-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1):117-30.
  86. Seo CS, Kim JH, Shin HK. Simultaneous Analysis of Six Constituents in Oyaksungi-san using HPLC-PDA.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2): 37-46.
  87. Lee JY, Kook YB. Effect on Human Sperm of Adding Aliium sativum to Ojayeonjonghwan Prescription. Herbal Formula Science. 2009;17(1):113-20.
  88. Lee NH, Ha HK, Lee HY, Jung DY, Choi JY, Lee JK, Shin HK. Analysis of Studies on Ojeok-san for Establishment of Evidence Based Medicine.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2):1-9.
  89. Yun JY, Yun YG. A Prescriptional Study of Ojeoksan on Clinical Application.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2):153-64.
  90. Myung SO, Kim DR, Kang JU, Chang MS, Park SM, Ko BS, Park SK. A Study of Okchun-San Formulation for Freeze Drying Capsulation.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1):1-7.
  91. Baek IS, Park CG, Park CS, Lee SY, Yoon HD, Shin WC. An Experimental Study of Effect on ECV 304 Cells, Platelet Rich Plasma and Rats treated with L-NAME by Ondamtang extract. Herbal Formula Science. 2004;12(2):175-202.
  92. Yun HJ, Kim HS, Heo SK, Hwang SG, Park WH, Park SD. Effect of Yong-dam-sa-gan-tang on apoptosis in human hepatoma HepG2.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2):127-37.
  93. Lee CJ, Park SD, Moon JY. Effects of Wolgukwhan Water Extract on Acute Oxidative Liver Injury Induced by Acetaminophen.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2):135-46.
  94. Park SG, Byun SH, Lee BW, Kim SC. Analysis of Herbal formulation on Wolgug-hwan Series.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1):79-90.
  95. Jeon WK, Lee JH, Lee JH, Kim MY, Ma JY. Acute Toxicity of Yukmijihwang-tang in ICR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09;17(2):65-72.
  96. Kim JH, Seo CS, Jeon WY, Shin HK, The Comparative Study on Decoctions of Yukmijihwang-tang (Liuweidihuangtang) Extracted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 and Extraction Time.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1):175-82.
  97. Park YC, Kim JB, Kook YB, Lee SD. Pharmacological and Toxicological review of Yukmijihwang-tang (Hwan).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1):13-24.
  98. Joo JH, Kim DW. The effects of Yukmijiwhangtangkamibang on diabetic rat induced by streptozotocin. Herbal Formula Science. 2006;14(2):33-44.
  99. Huang DS, Shin HK. A Study On Compositions and Dosages of Yukmijihwang-Hwan by Literature Review on the classics of Oriental Medicine. Herbal Formula Science. 2009;17(1):17-28.
  100. Kim SM, Yun HJ, Lee HW, Kim PJ, Lee CH, Park WH, Park SD. Imyosan induces caspases-mediated apoptosis in human colorectal cancer HCT116 cells. Herbal Formula Science. 2006;14(2):21-32.
  101. Lim CK, Yun YG. Anti-rheumatiod Arthritis Effects of I-Myo-San Water Extract. Herbal Formula Science. 2009;17(1):99-111.
  102. Yun HJ. A Study on Analysis of the Pathology and Basic Prescriptions of Yiemyo-San in DONGYEUBOGAM.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1):23-34.
  103. Lim YH, Kook YB. The Comparison Between Single And Yimyosan in Acute Pancreatitis : Atractylodes chinensis(AC) and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 (PAR).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2):23-38.
  104. Seo CS, Kim OS, Kim YJ, Shin HK. Quantification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ejung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13;21(1):177-85. https://doi.org/10.14374/HFS.2013.21.1.177
  105. Kim SS, Kim JH, Shin HK, Seo CS. Simultaneous Analysis of Six Compounds in Yijin-tang by HPLC-PDA. Herbal Formula Science. 2013;21(1): 71-9. https://doi.org/10.14374/HFS.2013.21.1.071
  106. Hwang YK, Lee SY, Yoon HD, Shin OC, Park CG, Park CS. Effect of the neuroprotetion and anti-Alzheimer's disease in CT99-induced Neuro 2A cells by Ikgiansintang water extract.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1):103-21.
  107. Song KK, Kwak MA, Kim JD. Anticancer and Relate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Insamyangyoungtang o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NCIH520, Xenograft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13;21(1):51-70. https://doi.org/10.14374/HFS.2013.21.1.051
  108. Park CK. Clinical Report of Insamyangwitang in Hyungsang medicine.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1):205-16.
  109. Yang SY, Lee HY, Lee HR, Kim BC, Park SI, Ahn YJ, Oh JH, Lim HS, Yoon MC, Shin SS. Injecheonggeumdan reduces body weight gain and blood lipid profiles in high fat diet-fed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1):67-80.
  110. Choi JW, Bae CW, Park SY, Yun HJ, Park SD. Protective effect of injinhotang and its components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xicity in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05;13(1):9-33.
  111. Lee Ki-Ok, Kuk Yun-Beum, Yun YG. Effects of Jakyakgamchotang extract on the Analgesic effect in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1):161-70.
  112. Song HS, Park CS, Park CG. Effect of Anti- Alzheimer's disease by Jeonmaedan in CT105-overexpressed SK-N-SH cell lines.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2):95-110.
  113. Kook YB. Applications of Prescriptions Including Paeoniae Radix and Glycyrrhizae Radix Decoction in Dongeuibogam. Herbal Formula Science. 2010;18(2):1-14.
  114. Kim HY, Nam HI, Son HS, Park SM. One Cas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Patient Treated With Jengjengamiyijin-tang (Zhengchuanjiaweierchen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2):179-86.
  115. Cho DH, Son JY, Lee YK, Choi KH, Park MY, Choi HY, Kim JD. Anti-Inflammatory Effect of Jungcheonhwadamgangki-tang ga Antler in Xylene-Application Mouse Ear Acute Inflammation Model.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2):99-111.
  116. Jin JS, Kwon DY. A review on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Jodeungsan.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1):55-64.
  117. Ahn SJ, Lee JR, Kim SC, Jee SY. Inhibitory Effect of Jeungaektang Water Extract on Nitric Oxide and Cytokin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 264.7 Cells.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1):163-73.
  118. Lee SH, Park CK. Anti-Inflammatory Effects of Ji-Pae-San Water Extract.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1):79-94.
  119. Hong SH, Kim YK, Kwon DY. Study on The Origin, Explanation and Application of Jihwangeumja. Herbal Formula Science. 2003;11(1):37-44.
  120. Park JH, Bae CW, Jun HS, Hong SY, Park SD. Antidepressant effect of chunwangboshimdan and its influence on monoamines. Herbal Formula Science. 2004;12(2):77-93.
  121. Jeong EW, Cho YS, Kim HS, Kim SY, Lee SK. Chunggangunbi-tang-gamibang's Effect on Alcoholic Liver Cirrhosis with Ascites.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2):161-9.
  122. Baek YJ, Yang SJ, Park HS, Kim KS, Hong S, Jeon SY. Effect of Cheunggansoyosan-gamibang on Hyperlipidemic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06;14(1):120-32.
  123. Cho YS, Jung EW, Kim SY, Kim HS, Lee SK. A Case report of acute stroke patients treated with Chungyoung-tang.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2):171-8.
  124. Kim SJ, Park WS, Choi H, Kim BH, Shin JW, Sohn YJ, Sohn NK, Jung HS. A Comparative Study for Effects of Chongmyungtang and Chocolate Mixed Chongmyungtang on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1) :131-45.
  125. Jegal KH, Kim YW, Byun SH. Analysis of herbal formulation about a series of Chijasi-tang in Dongeuibogam.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2) :177-86.
  126. Ma CJ, Lee NH, Ma JY, Ha HK, Yu YB, Shin HK. Analysis of Studies on Palmul-tang for Establishment of Evidence Based Medicine.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2):35-45.
  127. Tsung PC, Song CH, Kim BK, Xie CJ, Shin WJ, Park DI, Shin SS. Hyeongok's Pyeongshintang was combined according to the theory for properties and tastes of herbal medicines.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2):91-100.
  128. Liu CT, Lee HJ, Kim YI, Lee YS. A Study on Application of Pyungwuisan Blended Prescriptions From Dongeuybogam. Herbal Formula Science. 2004;12(1):1-27.
  129. Ha HK, Shin IS, Lim SH, Jeon WY, Kim JH, Seo CS, Shin HK. Changes in Anti-inflammatory Effect of Pyungwi-san Decoction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Temperature and Period.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1):29-35.
  130. Ha HK, Shin IS, Lim HS, Jeon WY, Kim JH, Seo CS, Shin HK. Changes in Anti-inflammatory Effect of Pyungwi-san Decoction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Temperature and Period. Herbal Formula Science. 2012;20(2):29-35.
  131. Yun YG, Kim JH, Song EJ, Hwang JK, Nam SY. Proapoptotic and antitumor effect of Hangbaek- Tang(HBT) in a tumor transplanted mouse model. Herbal Formula Science. 2009;17(2):73-83.
  132. Kim EH, Hwang SY, Kim SC, Jee SY. The Effect of Hyeonggaeyeongyotang Extract on the Fertility, Early Embryonic Development in Wistar rats by Oral Gavage Administration.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1):65-78.
  133. An HJ, Hwang SY, Lee JR, Kim SC, Jee SY. 28days Repeat Oral Dose Toxicity Test of "Hyeonggaeyeongyotang" extract in SD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1):147-68.
  134. No WS, Shin JY, Lee SH. The Experimental study of Hwagae-san on Anti-Inflammatory Effect.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2):101-14.
  135. Park HB, Yang SJ, Wei TS. Effects of Hwadamtongrak- Tang on the changes of Cerebral Flow in the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06;14(1):105-19.
  136. Ki HP, Jang SI, Yun YG. Ameliorative Effects of Hwangnyeonhaedok-tang on Atopic Dermatitis. Herbal Formula Science. 2013;21(1):80-90. https://doi.org/10.14374/HFS.2013.21.1.080
  137. Park SH, Kwon YU, Lee TH. Effects of Hwangryunhaedok- Tang and Geongangbuja- Tang on the Change of Interleukin-6 and TNF- $\alpha$ Level Induced by LPS I.C.V. Injection in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07;15(1):185-97.
  138. Kim EJ, Park HJ, Kim HJ, Kim JH, Ann JY, Lee JH, Kim YK. A monitoring study of marker contents in the Hwangnyeonhaedok-tang Ex preparations on the market. Herbal Formula Science. 2008;16(1) :95-107.
  139. Lim DH, Yun JY, Jang SI, Yun YG. Effect of Hwangyeonhaedok-tang on Experimental Mouse Colitis Induced by Dextran Sulfate Sodium. Herbal Formula Science. 2011;19(2):11-22.
  140. Lee JH, Eum HM, Chung TH, Lee YH, Um YR, Yim NH, Kim DS, Ma JY. Acute Toxicity Study of the Hwangryunhaedok-tang Extract in ICR Mice. Herbal Formula Science. 2010;18(2):159-66.
  141. Kim SC, Byun SH, Oh SY, Lee BW. Study on the Roman Name of Herbal Formula in Oriental Medicine. J.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2006;19(3):147-9.
  142. Song HS. Strategy for English Translations of Journal Reference. The Acupuncture. 2011;28(3): 1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