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f Annoyance Cause by Different Types of Construction Noises

건설공사장 소음의 위해성 평가

  • Received : 2013.11.13
  • Accepted : 2013.11.27
  • Published : 2013.12.20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annoyance caused by diverse construction noises was evaluated through surveys. A survey with a total of 110 construction worker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noyance from construction noises at different construction phases. The most effective item of adverse by construction noise was annoyance and the most annoyed construction stage was destruction construction. There were high correlation between work performance and work safety as well as work safety and speech interference. Participant's noise sensitivity were significant between low and high group at work performance, work safety, speech interference.

Keywords

1. 서 론

각종 공사의 진행을 위하여 공사장에 투입되는 건설장비들은 건설공사장내 소음진동발생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도로교통, 철도, 항공기 소음 등과 같은 일반적인 환경소음은 지속적이고 주기적으로 소음이 발생하나 건설공사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건설공사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만 발생하며 절대적인 소음의 크기가 큰 것이 특징이다. 또한 서로 다른 음색을 갖는 음원에서 발생하는 음이 복합된 소음이며, 충격 소음을 포함하는 경우도 많다.

공사 공종의 진척에 따라 투입되는 건설기계가 달라지므로 소음의 파워레벨과 그 스펙트럼이 달라지며 보통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현장 부지내에서 이동하며 소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같은 기계라도 운전 및 작업상황에 따라 소음의 크기 및 특성이 달라진다.

유럽에서는 각종 건설기계소음에 대하여 소음의 크기에 따라 최대허용량을 정해주거나 단순히 소음표시만을 하도록 건설기계 및 장비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1). 그러나 이러한 개별 건설기계 및 장비에 대한 소음도표시 제도 건설공사장내 전반에서 발생하는 소음진동을 저감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며(2) 환경부에서는 공사장 소음 규제기준을 5 dB 강화(환경부령 제321호)하였으나 소음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측정방법 및 위치 등에 대하여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설공사장 소음의 측정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연구와 측정이 진행되고 있으며(3,4)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사전 소음도를 사전에 파악하고(5~7) 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이다(8~10).

건설공사장 소음은 주변 거주자들 보다는 건설공사장 안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나 현장관리자들이 소음에 더 크게 노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공사장 주변 거주자나 보행자에게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건설공사로 인한 소음진동이 건설공사장 내에서 근무하는 현장관리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건설공사장 소음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2. 설문조사 개요

2.1 목적 및 방법

건설공사장 근로자에 대한 소음의 위해성을 평가하고 소음으로 문제가 되는 공사단계 및 건설장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지 작성에 의한 개별조사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항목은 크게 공사장 소음위해성 평가와 피험자 정보 2가지로 나누어져 있으며 공사장 소음 위해성 평가에서는 위해성 우선순위, 가장 성가신 공사단계, 공사단계별 가장 성가신 건설장비, 현재 근무중인 현장의 공종, 성가심, 작업방해, 대화방해 등의 공사장 소음의 위해성 항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2 설문조사 대상자

설문조사는 국내건설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건축, 토목, 기계, 전기, 사무 직종의 현장근무자 110명을 대상으로 근무경력, 귀마개 착용여부, 소음에 대한 민감도를 파악하였다. Fig. 1과 같이 설문조사 대상자의 공사수행 경험은 5년 미만이 24 %, 5~10년이 41 %, 10~15년이 26 %, 15년 이상이 8 %로 조사되었으며 20대가 4 %, 30대 58 %, 40대 22 %, 50대 이상이 3 %였다.

Fig. 1Ratio of participant's information

Fig. 2와 같이 현재 콘크리트 공사를 수행하고 있는 설문조사 대상자가 전체의 41 %였으며 포장공사, 지반정지공사, 기초공사, 파괴해체공사, 기타공사 순으로 설문조사자가 근무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Fig. 2The most annoying construction stage

 

3. 위해성 평가결과

3.1 건설공사장비 및 위해성 항목

건설공사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위해성 항목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에 제시된 위해성 항목은 성가심, 작업능률, 위험도, 대화방해, 청력손실이었으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항목 한 가지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Fig. 3과 같이 설문조사자의 51 %가 성가심을 가장 영향이 큰 위해성 항목으로 선택하였으며 작업능률(18 %), 청력손실(17 %), 위험도(13 %), 대화방해(1 %) 순으로 나타났다.

Fig. 3Adverse effect of construction site noise

Fig. 4는 건설공사장에서 여러 가지 공종에 투입되는 건설장비 25가지 중에서 가장 성가심을 유발하는 건설장비에 대한 응답결과였으며 브레이커를 선택한 비율이 64 %로 가장 높았으며 항타기(7 %), 착암기(6 %), 굴삭기(4 %), 콘크리트 펌프카(4 %) 순으로 나타났다.

Fig. 4Most annoyed construction machinery

성가심을 유발하는 건설장비로 선택된 비율이 높은 공종은 파괴해체공사, 기초공사, 지반정지공사 순이였으며 Fig. 5에서는 각 건설단계별 성가심을 유발하는 건설장비의 선택비율을 분석하였다. 파괴해체공사에서는 브레이커를 선택한 비율이 93 %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초공사에서는 항타기와 착암기가 각각 35 %와 30 %로 비슷하게 선택되었다. 지반정지공사에서는 굴삭기가 57 %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로울러, 햄머콤팩터, 다짐기가 14 %로 나타났다.

Fig. 5Annoyed machinery of each construction

3.2 공종별 위해성 평가

건설공사장에서 진행되는 지반정지공사, 기초공사, 콘크리트공사, 포장공사, 파괴해체공사, 기타공사 중에서 가장 성가심을 유발하는 건설공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Fig. 6과 같이 성가심을 유발하는 공종으로 선택된 비율이 가장 높은 공종은 68 %로 파괴해체공사였으며 기초공사(19 %), 지반정지공사(6 %), 콘크리트공사(5 %) 순으로 나타났다.

Fig. 6Annoyed ratio of construction stage

현재 근무하고 있는 공사장 현장에서 소음이 성가심, 작업능률저하, 작업안전성저하, 대화방해 각각의 위해성 항목에 미치는 영향을 0~10까지 11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분석결과는 Fig. 7과 같다.

Fig. 7Adverse effect score of construction stage

성가심 항목의 경우 파괴해체공사가 4.9로 가장 높았으며 콘크리트공사(4.7), 기초공사(4.7) 순으로 나타났다. 작업능률저하 측면에서는 파괴해체공사가 5.4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초공사(4.5), 콘크리트공사(4.5) 순으로 나타나 성가심 항목과 비슷한 유형을 보여 파괴해체공사시 발생하는 소음이 작업능률저하에 미치는 영향이 성가심 항목보다는 좀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초공사, 콘크리트공사의 경우 작업능률저하 보다는 성가심에 영향을 좀 더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안전성저하 측면에서는 기초공사와 콘크리트공사가 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장공사(3.9), 파괴해체공사(3.8) 순으로 나타났다. 대화방해에 미치는 영향은 기초공사와 콘크리트공사가 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장공사(4.2) 파괴해체공사(3.8) 순으로 작업안정성저하 항목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4. 분석 및 고찰

Table 1에서는 건설공사장 소음이 미치는 위해성 항목인 성가심, 작업능률, 위험도, 대화방해의 항목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작업능률과 위험도가 0.82, 위험도와 대화방해가 0.87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1**p&0.01

경력, 민감도, 나이, 귀마개 착용여부가 위해성 평가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위해성 4가지 항목(성가심, 작업능률, 위험도, 대화방해)에 대한 각각의 평가결과 (0~10)였으며 분산분석을 위한 요인은 경력, 민감도, 나이, 귀마개착용여부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Table 2와 같이 경력, 나이, 귀마개 착용여부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감도와 성가심, 작업능률, 위험도, 대화방해가 유의확률이 0.05이하로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ANOVA analysis result

건설공사장 소음에 대한 위해성(성가심, 작업능률, 위험도, 대화방해)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민감도에 대하여 Fig. 8과 같이 민감도가 낮은 집단, 중간집단, 높은집단으로 분류하였다.

Fig. 8Classified 3 groups by standard score

민감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 설문조사 결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과 집단간에 분산분석 및 사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Table 3과 같이 작업능률, 위험도, 대화방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3Significance among dependent variable

Fig. 9Evaluate scores of each group

작업능률, 위험도, 대화방해에 대하여 사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Table 4에서 볼 수 있듯이 3가지 위해성 모두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의 설문조사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낮은 집단과 중간집단, 중간집단과 높은 집단의 설문조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Post analysis result

 

5. 결 론

건설공사장 소음의 위해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건설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장근무자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자의 51 %가 성가심을 가장 영향이 큰 위해성 항목으로 선택하였으며 가장 성가심을 유발하는 건설장비는 브레이커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성가심을 유발하는 공종으로는 파괴해체공사였으며 위해성 평가결과 성가심과 작업능률에서는 파괴해체공사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위험도와 대화방해 측면에서는 기초공사와 콘크리트공사가 가장 큰 것으로 평가결과가 나타났다. 성가심, 작업능률, 위험도, 대화방해의 항목별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으며 작업능률과 위험도, 위험도와 대화방해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나이, 귀마개 착용여부는 각각의 위해성 항목들과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민감도와 성가심, 작업능률, 위험도, 대화방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감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여 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민감도가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의 작업능률, 위험도, 대화방해에 대한 평가결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References

  1.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Directive 2000/14/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8 May 2000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ows of the Member States Relating to the Noise Emission in the Environment by Equipment for the Use Outdoors.
  2. Chung, J. Y. et al., 2010, Acoustic Properties of Temporary Noise Barriers on Construction Site,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20, No. 2, pp. 191-198. https://doi.org/10.5050/KSNVE.2010.20.2.191
  3. Manatakis, E. K., 2000, A New Methodological Trial on Statist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Equipment Noise, Applied Acoustics, Vol. 59, No. 1, pp. 67-76. https://doi.org/10.1016/S0003-682X(99)00014-6
  4. Yoshinaga, H. et al, 2006, Analysis of Individual Machine Noise in Construction (2), Internoise2006.
  5. Ballesteros, M. J. et al, 2010, Noise Emission Evolution on Construction Sites. Measurement for Controlling and Assessing Its Impact on the People and on the Environment,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45, No. 3, pp. 711-717.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9.08.011
  6. Wu, W., 2008, Noise Assessments for Construction Noise, Internoise2008.
  7. Towers, D. A., 2001, Mitigation of Community Noise Impacts from Nighttime Construction, Construction and Materials Issues 2001 pp. 106-120.
  8. Cheuk, F. N., 2000, Effects of Building Construction Noise on Residents: A Quasi-experi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 20, No. 4, pp. 375-385. https://doi.org/10.1006/jevp.2000.0177
  9. Reeb-Whitaker, C. K. et al, 2004, Accuracy of Task Recall for Epidemiological Exposure Assessment to Construction Noise,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61, No. 2, pp. 135-142. https://doi.org/10.1136/oem.2002.000489
  10. Fernandez, M. D. et al, 2009, Noise Exposure of Workers of the Construction Sector, Applied Acoustics Vol. 70, No. 5, pp. 753-760. https://doi.org/10.1016/j.apacoust.2008.07.014

Cited by

  1. Site Mitigation Plan for Noise Sources from Construction Sites by Developing Movable Noise Barriers vol.25, pp.1, 2015, https://doi.org/10.5050/KSNVE.2015.25.1.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