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s for A Scroll Painting in Daeungjeon Hall of Bulguk Temple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 안료의 과학적 분석

  • Kim, So J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an, Min Su (Planning and coordination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Han Hyoung (Dep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기획과) ;
  • 이한형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2.06.30
  • Accepted : 2012.08.27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Pigments used paintings, ornaments, weapons and various objects have been recognised as important elements to ascertain the history, manufacturing technique and cultural migration. Since the understanding of composition of pigments by analysis began in 1963, its technique and methodology has much advanced in recent years; recent study used the portable X-ray Fluorescence as non-destructive analysis has been practiced in particular. However the study on pigments necessitates overall and systematic research becaus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periodical and regional use of pigments. by fractional studies.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oloring materials and painting techniques of the scroll painting depicting preaching scene of Sakyamuni Buddha in Daeungjeon Hall, a main hall of Bulguk temple, through scientific analysis and comparison of various pigments which had been applied to the buddhist paintings of Joseon Dynasty. Consequently, it is confirmed that the scroll painting used pigments of white lead[$2PbCO_3{\cdot}Pb(OH)_2$] for ground layer and used mixture of different pigments such as cinnabar (HgS) minium($Pb_3O_4$) malachite($2CuO{\cdot}CO_2{\cdot}H_2O$) hematite($Fe_2O_3$) gold(Ag) for presenting various colors on the painting layer. It has been also believed that mineral pigments were applied to the scroll painting, yet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it is natural or synthetic pigments because the crystal structures of pigments were not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owever, provide useful reference data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onents of pigment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buddhist scroll paintings, in particular, of Joseon Dynasty.

고대부터 회화 장신구 장식품 무기 일상용품 등에 사용된 안료는 시대 제작기법 문화이동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물질로, 우리나라에서는 1963년부터 분석을 통해 안료의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최근에는 휴대용형광X선분석기를 사용하여 안료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성분분석을 실시하여 고대 안료 물질을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편적인 연구로는 시대별, 지역별 안료의 쓰임 및 사용시기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안료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조성시기가 전해지는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의 안료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안료를 밝히는 한편, 시대와 지역이 비슷한 조선시대 불화 안료와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분분석 결과와 기존의 연구자료를 종합해본 결과,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는 연백을 이용해 배채하였으며, 채색안료로는 연백, 주사, 연단, 구리 화합물인 석록(혹은 동록, 녹염동광), 철산화물인 석간주 및 금분 등을 이용하여 색을 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에 사용된 안료들은 전통안료를 혼합하여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나 모든 안료에 대해 결정구조를 분석한 것이 아니므로 명확히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회화 안료의 성분 및 제작특성, 특히 조선시대 불화의 안료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Cited by

  1. 구리와 염소 주성분 녹색 안료 코퍼 트리하이드록시클로라이드(Copper Trihydroxychloride)에 대한 고찰 vol.53, pp.2, 2012,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