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Fundamental Issue of Ho-Rak Controversy

호락논쟁(湖洛論爭)의 핵심 쟁점 : 심(心)과 기질(氣質)의 관계 문제

  • Received : 2012.10.12
  • Accepted : 2012.11.03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e Ho-Rak controversy is an internal dispute in the Kiho School. Both Ho and Rak adopt the theories of Yulgok(栗谷) as their common standard of right arguments. The controversy continues almost two hundred years after the dispute between LEE Gan(李柬) and HAN Wonjin(韓元震). However, it does not develop rich theoretical resources. The fundamental issue of Ho-Rak controversy is how to define the relation of mind(心) and temper(氣質). Ho School regard temper as material of the mind, and so they insist that mind and temper are ultimately the same. But Rak School regard temper as desire of the body, and so they insist that mind and temper are the another one. The viewpoint of Rak School does not correspond to the view of the traditional Neo-confucianism. So we should understand that mind and temper are ultimately the same. However if we define that mind and temper are the same, and they act at the same time, then we can not insure the foundation of pure goodness in human mind. LEE Chulyoung(李喆榮) defines that mind and temper are ultimately the same, but they act alternately. It is the exact definition about the relation of mind and temper.

호락논쟁의 핵심 쟁점은 '담연허명(湛然虛明)한 심(心)'과 '청탁수박(淸濁粹駁)이 뒤섞인 기질(氣質)'의 관계를 어떻게 설명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호론(湖論)에서는 기질(氣質)을 '심(心)의 재질(才質)'로 보아 심(心)과 기질(氣質)을 동위(同位)로 규정했으며, 낙론(洛論)에서는 기질(氣質)을 '이목구비(耳目口鼻)의 형기(形氣)'로 보아 심(心)과 기질(氣質)을 이위(異位)로 규정한 것이다. 그런데 낙론(洛論)의 이위론(異位論)은 이심이성론(二心二性論)에 빠짐은 물론, 성리학의 전반적 체계와도 크게 어긋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호론(湖論)의 주장처럼 심(心)과 기질(氣質)을 동위(同位)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문제는 호론(湖論)이 심(心)과 기질(氣質)을 동위(同位)로 규정하는 데 그치지 않고 동시(同時)로 규정했다는 점이다. 호론(湖論)의 주장처럼 심(心)(담연허명(湛然虛明))과 기질(氣質)(청탁수박(淸濁粹駁))을 동위동시(同位同時)로 규정하면, 인간의 심(心) 성(性)에서 '순선(純善)의 가능근거'를 확보하기 어려운바, 그리하여 낙론(洛論)에서는 호론(湖論)에 대해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이나 양웅(揚雄)의 성선악혼설(性善惡混說)과 같다"고 비판했던 것이다. 한말(韓末)의 유학자 성암(醒菴) 이철영(李喆榮)은 '담연허명한 심(心)'과 '청탁수박이 뒤섞인 기질(氣質)'의 관계, 즉 '중저미발(中底未發)'과 '부중저미발(不中底未發)'의 관계를 '동위이시(同位異時)'로 규정했는바, 동위이시론(同位異時論)이야말로 심(心)과 기질(氣質)의 관계에 대한 정확한 해명이었던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