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actionism Tendency in the Calligraphy Style of Changam(蒼巖) Lee Sam-man(李三晩)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의 서풍(書風)에 나타난 복고적 성향 고찰

  • Received : 2012.11.20
  • Accepted : 2012.12.21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An author is bound to reflect his or her own thinking and inclination in his or her works. The previous studies on Changam(蒼巖), however, mostly discussed the aesthetics in the forms of his introductions and works, hardly addressing his thinking reflected in his works. Recognizing that he had the "reactionism tendency" unlike the Bukhak-School(北學派), which was the cultural mainstream of the days, this study examined the specific patterns of the reactionism calligraphy style in his learning and calligraphy processes and works. He loved to write xing-cao-shu(行草書) with a focus on the materials written in one's own calligraphy, but he also emphasized that one should obtain the force of his or her calligraphy style by mastering kai shu before calligraphy xing cao shu. He thus left a lot of works in the xiao kai(小楷) of the Wang Xzhi(王羲之) calligraphy style throughout his life, which is attributed to the influences of the calligraphers of dong-guk-jin-che(東國眞體) in the latter half of Joseon(朝鮮) and those of Lee Gwang-sa(李匡師), his master in spirit. He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calligraphers of the times in that he made lifelong efforts to compensate for the lacking stroke of the pen in the model calligraphy of Wang Xzhi. In the calligraphy theory, he put importance on the traditional method of Han-Wei(漢魏) and took Cai Yong(蔡邕) and Zhong Yao(鍾繇) as the fundamentals. For da kai(大楷), he constantly practiced the with the stroke of the pen by added to it, the letters of Wei(魏) Wudi(武帝), by Yan Zhenqing(顔眞卿), and letters of Kim Saeng(金生). His late works using the intended conception of and , in particular, present his unique calligraphy style that added the crooked forms of to the shapes of characters of that were in the kai-shu(楷書) style. It is a limitation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calligraphy materials Changam studied or consulted were either reprint copy or block book rather than original rubbing edition due to time and space restriction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ose restrictions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his creation of his unique calligraphy style with deep local colors at the result of his constant efforts.

작가는 작품을 통해 자신의 사유(思惟)와 지향(志向)을 드러내기 마련이다. 그런데 그동안 창암(蒼巖)에 대한 연구는 서론과 작품의 형태미를 중점적으로 논의하였을 뿐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사유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창암의 작품은 이광사(李匡師)의 서풍을 계승하면서 복고주의적 성향이 매우 강해서 같은 시기 활동하던 북학파의 영향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창암의 이러한 서풍을 '복고적 성향'이라고 명명하고, 그의 이러한 복고적 사유가 학서(學書) 과정과 작품에 나타난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창암은 진적(眞跡) 친필(親筆)자료들을 중시하면서 행초서(行草書)를 즐겨 썼다. 그러나 학서 과정에서 항상 필력을 강조하여 한위(漢魏)의 글씨에 근본을 두었고, 행초서를 쓰더라도 반드시 해서(楷書)를 먼저 익혀 그 필력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창암은 평생 동안 왕희지(王羲之) 서풍의 소해(小楷)로 된 작품들을 많이 남겼는데, 이는 조선후기 동국진체(東國眞體)의 서가들이 왕희지의 해서, 특히 소해를 전범으로 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경향은 마음의 스승인 이광사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창암은 또한 왕희지의 법첩(法帖) 글씨에 부족한 필세를 보완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한 흔적들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다른 서가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는 먼저 서예이론에 있어서는 한위(漢魏)의 고법(古法)을 중시하여 채옹(蔡邕)과 종요(鍾繇)를 근본으로 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대해(大楷)에 있어서는 <구루비(??碑)>의 필세가 가미된 <예학명(?鶴銘)>과 위(魏) 무제(武帝)의 글씨, 안진경(顔眞卿)의 <대당중흥송(大唐中興頌)>과 김생(金生) 글씨 등을 끊임없이 연마하였다. 특히, <구루비>와 <예학명>의 필의(筆意)를 이용한 그의 말년 작품은 기본적으로 해서인 <예학명>의 자형(字形)에 <구루비>의 구불구불한 형세(形勢)를 취해 자신의 독특한 서풍을 보여주는 경지에 이를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