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보시각화에서 퍼포먼스로의 미학적 확장 : 관객시각에서 하이퍼매개센소리엄 요소 고찰

Aesthetic Expansion from Information Visualization to Performance : Research on Sensorium in Perspective of Audience

  • 김응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과) ;
  • 윤준성 (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과) ;
  • 임경호 (숭실대학교 IT대학 글로벌 미디어학부)
  • 투고 : 2012.08.06
  • 심사 : 2012.09.17
  • 발행 : 2012.10.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각화의 미학적 작품이 공연 예술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한다. 정보 시각화는 정보의 시각적 전달이라는 기능적 충족 외에 몰입과 상호작용적 특성이 고려되는 관객과의 관계가 더욱 중요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정보시각화의 정보 전달 과정이 하나의 공연으로 확장된다면 관객입장에서 감각적 센소리엄(Sensorium)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에 벤 루빈(Ben Rubin)과 마크 한센(Mark hansen)의 작품(2001)을 분석하여, 정보시각화 분야의 정보전달이라는 기능적 요소 외에 하이퍼매개(Hypermediacy)를 통한 관객과의 센소리엄을 증대 시키는요소를 고찰해 본다. 공연적 자아(the performing self), 공연적 인터페이스(the performing interface), 극적 패턴(the dramatic pattern)의 3가지 요소가 필요함을 제시하여 관객과의 센소리엄 관계를 탐구한다. 이 글을 통해 정보 시각화에 기반을 둔 미학적 작품들을 공연예술의 관점에서 확장하여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will research the possibility about the extension from aesthetic artwork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to performance area. In information visualization field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information is important factor.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audience concerning immersion and interactivity is also significant. Therefore, if an artwork in information visualization can extend to a performance, this study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at elements are needed to intensify sensorium for the audience in that artwork. In order to solve that question, this study introduces and analyzes the installation artworks by Ben Rubin and Mark hansen in 2001. From this case study, we suggest three elements-the performing self, the performing interface and the dramatic pattern-to amplify sensorium by hypermediacy for the audience.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aesthetic artworks based on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terms of performing arts.

키워드

참고문헌

  1. A. Lau and A. Vande Moere, "Towards a Model of Information Aesthetic Visualizatio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Visualisation (IV'07), IEEE, Zurich, Switzerland, pp.87-92, 2007.
  2. E. S. Kim, J. S. Yoon, "Contingent rule: Information aesthetic, performance and hypermediacy," LEONARDO JOURNAL Vol.44, Issue 3, pp.286-287, 2011. https://doi.org/10.1162/LEON_a_00193
  3. J. D. Bolter and R. Grusin,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The MIT Press, pp.33-34, 2000.
  4. Freda Chapple and Chiel Kattenbelt eds., Inter-mediality in Theatre and Performance, Third Edi-tion (Amsterdam; New York:Rodopi), pp.55-65, 2007.
  5. C. A. Jones (EDT), Sensorium : Embodied Experience, Technology, And Contemporary Art, MIT Press, p.2, 2006.
  6. Casey Reas and Ben Fry, Processing: a programming handbook for visual designers and artists, The MIT Press, pp516-517, 2007.
  7. http://manovich.net/2010/10/25/new-articlewhat-is-visualization/
  8. Steve Dixon, Digital Performance : A history of New Media in Theater, Dance, Performance Art, and Installation, The MIT Press, pp.211-220, 2007.
  9. Van Dusek, Philosophy of Technology: An Introduction, (Malden, MA: Blackwell), pp.207-210, 2006.
  10. 이중원, 홍성욱 저, 필로 테크놀로지를 말한다, 해나무, pp130-142, 2005.
  11. 레프 마노비치 지음, 서정신 역,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pp.123-128, 2004.
  12. S. Asur and B. A. Huberman, "Predicting the Future with Social Media," arXiv:1003.5699v1, 2010.
  13. Victoria Vesna, Database Aesthetics : Art in the age of Information Overflow,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101-104,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