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분수 나눗셈의 문장제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전문화된 내용지식(SCK)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for the word problems of fraction division

  • 투고 : 2012.08.20
  • 심사 : 2012.09.18
  • 발행 : 2012.09.30

초록

Ball, Thames, Phelps(2008)는 수학을 가르치는 교사에게는 특별히 수학 가르침을 위한 지식(MTK)이 필요하다고 주장을 하면서 그 하위 영역으로 학생들이 분수의 나눗셈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과 같이 특정 영역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의미하는 전문화된 내용 지식(SCK)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6학년 학생들에게 교과서에서 유일하게 제시된, 문장제 만들기, 즉 분수 나눗셈 $9/10{\div}2/5$에 알맞은 문장제 문제를 만들게 하였고, 이들이 제시한 답의 유형을 네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대표적인 유형의 답들을 선택하여 초등 6학년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10명의 교사들에게 제공하였고, 이 답들에 대한 평가를 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와 분수 나눗셈에 대한 문장제의 의미를 통해 교사들의 전문화된 내용 지식(SCK)을 분석하였다.

Ball, Thames & Phelps(2008) introduced the idea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MKT) teacher.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is one of six categories in MKT. SCK is a knowledge base, useful especially for math teachers to analyze errors, evaluate alternative ideas, give mathematical explanations and use mathematical repres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ary teacher's SCK. 29 six graders made word problems with respect to division fraction $9/10{\div}2/5$. These word problems were classified four sentence types based on Sinicrope, Mick & Kolb(2002) and then representative four sentence types were given to 10 teachers who have taught six grad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 answers(word problems) and revision of students' mathematical errors. This study showed how to know meanings of fraction division for effective teaching. Moreover, it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to develop SCK for teaching and lear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주철․류희수 (2008). 평면도형에 대한 교사의 PCK와 수업 실제의 비교 분석. 학교수학, 10(3), 423-441.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10년 주요업무 계획발표. http://curri.mest.go.kr/me_kor/news/notice/broadcast/1261079_11163.html에서 인출.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 지도서 6-1.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김경미․황우형 (2011).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한 학생의 이해와 문장제 해결의 관련성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0(3), 337-354.
  5. 김민경 (2003). 나눗셈 개념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이해도 분석. 학교수학, 5(2), 223-240.
  6. 김민경 (2009). 초등학생의 분수 이해 분석: 6학년의 분수 개념 및 분수 나눗셈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2), 151-170.
  7. 김상룡 (2004). 예비교사의 초등수학 내용지식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39, 169-186.
  8. 박교식․송상헌․임재훈(2004). 우리나라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의 의미 이해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6(3), 235-249.
  9. 방정숙 (2002). 수학교사의 교수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7(3), 291-310.
  10. 방정숙․Li, Y. (2008). 예비 초등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에 대한 지식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7(3), 257-271.
  11. 방정숙․이지영 (2009). 사례 연구를 통한 분수 나눗셈의 연산 감각 분석. 학교수학, 11(1), 71-91.
  12. 배종수 (2002). 초등수학교육내용지도법. 서울: 경문사.
  13. 서관석․전경순 (2000). 예비 초등교사들의 분수 연산에 관한 내용적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수준에 대한 연구:교사 교육적 관점.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 연구>, 10(1), 103-113.
  14. 송근영․방정숙 (2008). 소수연산에 관한 예비 초등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1), 1-25.
  15. 안선영․방정숙 (2006).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과 수업 실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 연구>, 16(1), 25-41.
  16. 이용률 (2001). 지도내용의 핵심과제 99. 서울: 정문사.
  17. 이종욱 (2003). 예비 초등교사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교과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수학교육 논문집>, 16, 331-344.
  18. 이종욱 (2005). 초등교사의 분수 지식 실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1), 67-85.
  19. 임재훈 (2007). 카테시안 곱의 역 맥락에서 분수의 나눗셈. 학교수학, 9(1), 13-28.
  20. Ball, D. L. (1990). The mathematical understanding that prospective teachers bring to teacher education. Elementary School Journal, 90(4), 449-466. https://doi.org/10.1086/461626
  21. Ball, D. L., Hill, H. C., & Bass. H. (2005). Knowing mathematics for teaching: Who knows mathematics well enough to teach third grade and how can we decide? American Educator, 14-46.
  22.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https://doi.org/10.1177/0022487108324554
  23. NCTM (2000). Principle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VA: The Author. 류희찬․조완영․나귀수․ 김남균․방정숙 공역(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24.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Lawerence Erlbaum Associates. 신현용․승영조 공역(2002). 초등학교 수학 이렇게 가르쳐라. 서울: 승산.
  25. Olanoff, D. E. (2011).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teachers: The case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Mathematics-Dissertations and Thesis, Paper 64. Syracuse University.
  26. Shulman, L. (1987). Knowing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 Review, 57(1),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27. Siebert, D. (2002). Connecting informal thinking and algorithms: The case of fraction. In Litwiller, B., & Bright, G. (Eds), Making sense of fractions, ratios and proportions: 2002 yearbook. Reston, VA: NCTM, 247-256.
  28. Sinicrope, R., Mick, H. W., & Kolb, J. R. (2002). Interpretations of fraction division. In B. Litwiller & G. Bright (Eds.), Making sense of fractions, ratios and proportions. Reston, VA: NCTM, 153-161.
  29. Tompson, A. (1992). Teacher's belief and conceptions: A synthesis of the reasearch. In D. A. Grouw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pp. 127-146). NY: Macmillan.

피인용 문헌

  1. 문제 상황과 연결된 분수 나눗셈의 교과서 내용 구성 방안 vol.52, pp.2, 2012, https://doi.org/10.7468/mathedu.2013.52.2.217
  2. 다항식의 해법에 대한 수학교사의 대수 내용지식과 자립연수 가능성 탐색 vol.29, pp.4, 2012, https://doi.org/10.7468/jksmee.2015.29.4.661
  3. 예비수학교사의 MKT에 관한 연구 vol.30, pp.1, 2012, https://doi.org/10.7468/jksmee.2016.30.1.101
  4. 초등학생들의 분수 나눗셈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지식 분석 vol.23, pp.2, 2012, https://doi.org/10.30807/ksms.2020.23.2.002
  5. 수학교사의 대수식 쓰기 지도를 위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 vol.60, pp.3, 2021, https://doi.org/10.7468/mathedu.2021.60.3.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