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duction of an Interactive Artwork through Analysis on the Expression Method for Subject Area on Screen (Focused on Color, Face and Brightness)

화면의 주제영역 표현방법 분석을 통한 인터랙티브 아트 제작(색상, 면수, 명도를 중심으로)

  • 김경남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공학과) ;
  • 임양미 (덕성여자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 디지털미디어학과)
  • Received : 2012.08.07
  • Accepted : 2012.09.27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Recently, many interactive artworks produce through convergence of art and scientific technology. Artists or designers should cooperate with other areas for analysis in order to share database. According to these requirements, In this study, we analyze Kandinsky's works which are more emphasis on subject area than the emphasis to background area by using a number of colors, faces, and brightness levels. Due to this approach, it determines how to represent for stable screen composition attracting viewer's eyes. As a result, the subject area has more a number of colors, faces, and brightness levels than the background area. In addition, we produce the interactive artwork based on the analyzed data.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of convergence and collaboration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make the collaboration by sharing common information between artists and professionals in other area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other production makers who do not have the background of arts education will be able to configure the visual screen.

현재 많은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은 예술과 과학기술의 융합을 통해 많이 제작되고 있다. 이때에는 예술가 또는 디자이너들의 예술적 감각들을 다른 분야와 협업 및 융합을 위해 객관적으로 분석, 증명하고, 데이터화하여 공유해야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주제영역을 배경영역보다 '강조'하는 칸딘스키의 작품들을 색상 수, 면 수, 명도 단계의 정도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한 화면에 있어 뷰어들의 시선을 유도하고 안정감 있는 화면 구성을 위해 "주제영역"을 어떻게 표현했는지를 파악한다. 분석 결과, 주제 영역은 배경 영역보다 색상 수와 면의 수, 그리고 명도단계의 수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파악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을 제작한다. 본 논문은 융합과 협업이 요구되는 시대적 배경에서, 공통의 정보를 공유하여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데 기여 할 수 있다. 또한 예술교육을 받지 않은 다른 영역의 제작자들이 비주얼 화면을 구성할 경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Marvin Bartel, Composition and Design Elements, Principles, and Visual Effects, http://www.goshen.edu/art/ed/Compose.htm
  2. Andrew Polaine, The Flow Principle in Interactivity, Creativity & Cognition Studios Press, 2005.
  3. 정혜경 외1명, 디지털 융합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논문, 2004.
  4. 이종화, 디지털 미디어시대의 꼴라쥬 프로그램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 김나형, 미디어아트에 나타나는 꼴라쥬적 공간형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논문, 2004.
  6. 권민희, 디지털 미디어에 나타난 하위문화 패션 스타일분석 및 디자인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8.
  7. R. Fidler, Media Morphosis. CA :Pine Forge Press, 1997.
  8. 이상원, "장르융합에 따른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트랜드와 애니메이션의 확장성", 애니메이션연구 제 1권 1호, 2005.8.
  9. 김현돈, "디지털 시대의 예술", 대동철학회 논문집 제44집, 2008.9.
  10. Lev Manovich, "Paradoxes of Digital Photography in Photography after Photography", Huberv. Amelunxen, Stefan Iglhaut, Florian Rotzer(ed.) (Munich: Verlag der Kuns), pp. 58-66, 1995.
  11. 한찬수, "N스크린 필수조건 망고도화", 디지털 타임스, 2011.
  12. 리처드 D. 자키아, 박성완 역, 시지각과이미지, 안그라픽스, 2007.

Cited by

  1. A Study of Implementation Automatic Screen Saver using Division of Difference Image vol.14, pp.3, 2013, https://doi.org/10.9728/dcs.2013.14.3.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