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of Korea - Computer Access Assessment System (K-CAAS) for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지체장애인의 컴퓨터 접근 평가 시스템 구현

  • 육주혜 (나사렛대학교 재활공학과) ;
  • 김진술 (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부) ;
  • 오현정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공학전공)
  • Received : 2012.08.06
  • Accepted : 2012.09.1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computer access assessment system for improving computer access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Korea-Computer Access Assessment System (K-CAAS) presented in this article tests five user skills of aim, drag, menu, scan, and switch. Skill levels of the five test areas could be set as low, middle, and high according to individuals' characteristics. All tests have their default set in each level, and skill levels can be selected and controlled by the abilities and goals of a user. Tests could be selected for users' training and their results could be traced and shown. Therefore, the K-CAAS is a training program to improve computer access skills as well as an assessing program. It would help us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perate a computer by themselves as improving their computer access skills.

이 연구의 목적은 지체 뇌병변장애인의 컴퓨터 접근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국내 최초 컴퓨터 접근 평가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 소개된 한국판 컴퓨터 접근 평가 시스템인 K-CAAS(Korea-Computer Access Assessment System) 소프트웨어는 클릭, 드래그, 메뉴 선택, 스캔, 스위치로 이루어진 다섯 가지 유형의 평가 기능을 가진다. 각각의 평가 기능 테스트는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구성 설정을 초급, 중급, 고급, 개별적으로 설정 할 수 있으며, 모든 테스트는 사용자의 수준 설정에 따라 기본 값을 가지고 사용자의 능력과 목표에 따라 난이도를 선택 및 조절할 수 있다. 테스트 시에 사용자의 훈련을 위해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의 테스트 결과를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K-CAAS는 컴퓨터 접근성 평가,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컴퓨터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본 시스템을 통하여 향후 장애인의 컴퓨터 접근성이 향상되어 장애인이 스스로 컴퓨터 기능을 능숙하게 사용 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통계포털, http://stat.mw.go.kr/
  2. 고등영, 박경옥, 육주혜, 유재연, "국내 장애인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이용실태 조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제8권 2호, pp. 319-343, 2007.
  3. 최두진, 정부만, 이재웅, "2011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4. 육주혜, "뇌병변장애대학생의 컴퓨터 작업환경 설계 사례 연구", 재활공학연구, 제2권 1호, pp. 41-58, 2011.
  5. 박구슬, 윤희경, 박세영, 육주혜, "지체장애 특수학교교사의 보조공학기기의 활용 현황", 재활공학연구, 제 2권 1호, pp. 17-39, 2011.
  6. Koester, H. H., Compass, Koester Performance Research, 2004.
  7. Assistive Technology, Inc., EvaluWareTM: Assessment activities for AAC and computer access, 2002.
  8. Williams, W. B., Stemach, G., Wolf, S., Stanger, C., Lifespace Access Profile Upper Extension: Assistive technology assessment and planning for individual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Irvine, CA: Lifespace Access Assistive Technology Systems, 1995.

Cited by

  1. Mobile SNS Application Accessibility Evaluation for the Disabled and the Aged vol.13, pp.4, 2012, https://doi.org/10.9728/dcs.2012.13.4.575
  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AP for Computer Access Assessment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vol.27, pp.1, 2015, https://doi.org/10.18857/jkpt.2015.27.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