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trategy for Korean Companies in China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현지인력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 중국 하얼빈지역 진출기업을 중심으로 -

  • 김종득 (중국 하얼빈사범대학 동어학원) ;
  • 김장호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 Received : 2012.05.25
  • Accepted : 2012.06.13
  • Published : 2012.06.27

Abstract

Since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in 1992, many Korean companies have entered into China and that expansion is currently continuing. But now, many of Korean enterprises tend to withdraw and return to the domestic, this is because that major factors are too much fast increasing in labor costs and the difficulty of local workforce management. In this study, it is researched that the typ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Korean firms entering into Heilongjiang Province, Harbin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form of personnel management of existing areas and Harbin area, and then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survey and interview of domestic companies operating in Harbin, to pursuit the efficient way to manage the workfo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strategies. The result of researches and workforce development strategies of entering firm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human resource discovery system for entering companies in focusing on managerial work ability and on blue-collar which is separated by professional and technical experts and a simple blue-collar people. Second, it is required to entering companies that they have to grow up the promotion and exchange of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in Harbin and have to build the industry and universities training programs to promote needed experts, and have to establish the expert pool systems to support the flexible labor supply.

1992년부터 중국과 국교수교이래 수많은 국내기업이 중국에 진출하여 왔으며, 현재도 그 진출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금 상당부분의 국내기업이 중국에서 철수하여 국내로 돌아오는 경향도 있으며 이러한 이유의 주요 요인은 중국에서의 인건비 증가와 현지인력관리의 어려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 지역에 진출한 국내기업의 현지인력관리 형태를 조사하여 기존의 중국 타 지역의 인력관리 형태와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 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하얼빈에 진출한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조사를 하여 이 지역 진출기업들의 효율적인 현지인력개발 전략을 제시하였다. 향후 이 지역 진출기업들의 현지인력개발 전략으로는, 첫째, 기업체가 요구하는 인재 발굴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으로 관리직에는 업무능력 중심으로 생산직의 경우 전문기술인력과 단순생산직으로 구분하여 인력개발을 해야 한다. 둘째, 기업체가 요구하는 인력개발 전략으로 한국학 개설대학과의 교류증진과 산학교류 활동을 통한 필요인력의 육성과 인재풀시스템을 통한 원활한 인력확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