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hip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리더의 리더십 역량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 Kim, Mi-Joa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Daejeon University) ;
  • Park, Kye-Hong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Daejeon University)
  • Received : 2012.08.30
  • Accepted : 2012.09.10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perceived leadership competency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hip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through empirical survey. To achieve the goals, 33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spss 18.0.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Leadership competency has positive effect on impact,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meaning, which are subdivision of psychol.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perceived leadership competency effects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higher leadership competency is perceived, the more positive effect it has on job performance. In the survey on the effectiveness of empowerment on job performance, it has partial positive effect. The hypothesis that empower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hip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was not accepted, between leadership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artly accepted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investigating modulating factors of leader's competency and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the different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업의 경영 관리직 구성원 331명이 지각한 리더의 리더십 역량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리더십 역량이 심리적인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라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리더십 역량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네 가지 하위분야인 영향력, 효능감, 자율결정권, 과업의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리더십 역량이 높게 인식될수록 직무성과의 하위개념인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네 가지 하위분야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에서는 영향력, 효능감, 자율결정권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이 없었으며 과업의미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력이 있었다. 리더십 역량과 직무 만족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직무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또한 리더십 역량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자율결정권을 제외하고는 조직몰입에 대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