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lass based on Creative Science Writing for the Interest in Biology and the Scientific Attitude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생물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2.10.10
  • Accepted : 2012.12.24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creative science writing for interest of biology and scientific attitude on high school student. Creative science writing is a learning method to enhanc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of thinking of science contents related to daily life. 148 studen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were experience creative science writing lessons. On the other hand, contrary group were applied interest enhancement lessons excepted creative science writing activit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eative science writing, interest check of biology was used, and scientific attitude test was used to understand changes i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Experimental group had taught using creative science writing and their awareness of the instruction was analyzed with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lass based on creative science writ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in biology and in particular it was helpful in promoting interest in biology and learning of biology. It suggested that the class based on creative scientific writing used a new teaching method unlike existing methods, caused them to have interest in the instruction by making them express their daily life freely not to memorize learning contents, applied learning contents to daily life through many kinds of writings and then enhanced their interest in biology. Indeed, the class based on creative science writing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changes in the scientific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Since creative science writing is writing one's own idea through extensive thinking based on learning contents, it was effective in arranging the process of thinking and changing their scientific attitude into positive one. Consequently, it was concluded from the above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the teaching using creative science writing was available as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in biology and change their scientific attitude into positive one.

이 연구는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창의적 과학글쓰기는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과학의 원리를 찾아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글쓰기이다. 생물교과 내용 중 순환과 호흡단원을 선정하여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고, 전라남도 순천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학생 148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 비교집단 설계방법을 사용하였다. 148명의 학생들을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분류하여 총 7차시로 개발한 창의적 과학글쓰기 수업 지도안을 6주 동안 적용하였다. 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의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생물에 대한 흥미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과학적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적 태도 검사지를 사용하여 측정 및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고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생물에 대한 관심과 생물 학습에 대한 흥미, 생물과 관련된 활동에 대한 흥미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이는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기존 수업과는 달리 새로운 수업방법으로 다가가 학습한 내용을 단순히 암기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의 일상생활에 적용하여 자유롭게 글로 표현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었고, 여러 가지 유형의 글쓰기를 통해 학습내용을 실생활에 다양하게 적용해 봄으로써 일상생활 속에서 생물학 원리를 스스로 찾을 수 있게 해주어 생물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고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창의적 과학글쓰기가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폭넓은 사고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써나가는 글쓰기이므로 글을 쓰는 동안 자신의 사고 과정을 정리하면서 과학적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키고, 과학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수업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에게 적합한 창의적 과학글쓰기 유형을 주제별로 개발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