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 이주민의 농촌 지역커뮤니티 적응 실태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Rural Community of Rural Inmigration

  • 최윤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황정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한송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투고 : 2011.10.25
  • 심사 : 2011.12.03
  • 발행 : 2012.03.30

초록

Many of the urban people wish to move to rural area to avoid urban problems like pollution, crowdedness, crime and after their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of adaptation of inmigration in rur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239 migrations to rural a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32.0% of respondents wished to move to rural area that they were expected for countryside life, 2) 68.1%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 to visit farmer's house 3) 49.5% of respondents agreed to rural community person is good 4) many person of migration to rural area(74.5%) have the idea that they should be active participation for community volunteer work 5) migration people was wanted to take care of them by natives in rural community on the lonely tim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대구. (2010). 귀농.귀촌의 현황과 정책과제. 농촌지도와 개발, 17(4), 743-771.
  2. 구동회. (1998). 대도시 주민의 도시탈출 이주과정-수도권 전원주택 거주자를 사례로-. 도시연구, 4, 141-155.
  3. 구동회. (2004). 도시탈출이 생활양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39(1), 102-115.
  4. 김경미. (1990). 농촌성인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기현. (2003). 주민자치의 기반으로서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정섭. (2009).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농촌 지방자치단체의 과제. 농촌지도와 개발, 16(3), 533-556.
  7.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
  8. 농민신문. (2008.8.1). 농촌정착 고민 바로 이것.
  9. 대한주택공사. (1999). 커뮤니티 개념을 도입한 도시정비 활성화 방안.
  10. 미래에셋 은퇴교육센터. (2011). 은퇴와 투자, 4월호.
  11. 마상진. (2007). 신규 취농의 진입장애 해소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민주홍, & 한경혜. (2007). 거주지 이동을 경험한 노인의 사회관계망 변화와 적응. 한국노년학, 27(4), 861-879.
  13. 박경철, & 김성수. (2002). 농촌과 도시지역 주민간 지역사회 친밀도 비교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9(1), 87-100.
  14. 송미령, 성주인, 박경철, 박주영, & 김정섭. (2006). 농촌의 변화를 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 성희자, & 전보경. (2006). 농촌 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
  16. 신성자. (2002). 마을만들기 운동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윤순덕, 강경하, 박공주, & 이정화. (2005). 한국노년학, 25(3), 139-153.
  18. 윤순덕, & 박공주. (2006). 도시민의 은퇴 후 농촌정주에 대한 수요분석. 농촌계획, 12(2), 37-47.
  19. 임상봉, 한경수, & 홍찬선. (2009). 농촌이주 및 방문에 대한 국민의식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16(4), 775-793.
  20. 장헌일. (2004). 커뮤니티 행정을 위한 주민자치센터 운영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1. 정한모. (2002). 귀농인의 농촌생활과 영농정착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조록환. (1998). 귀농자의 생활실태 분석. 농촌회생과 자립적 농업을 위한 귀농정책 세미나 자료집.
  23. 조중현. (2007). 마을 공동사업 추진과정에서 표출된 주민 간 갈등의 근거 이론적 해석-농촌체험마을 주민 간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4. 홍이식, & 정재웅. (2004). 집합주거단지에서 지역성을 통한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연구. 제24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자료집, 27-30.
  25. Champion, A. (1989). Counterurbanism. Edward Amold. London.
  26. George, A. Hillery. (1955).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 111-123.
  27. Nisbet, R. (1966). The Sociological Tradition. Heinemannn, London.
  28. Owen, D., & Green, A. (1922). Migration patterns and trends. In T. Champion & T. Fielding, Migration processes and pattems, 1. London: Belhaven, 17-40.
  29. Stinner, W. F. (1990). Community size, Individual Social Position, and Community Attachment. Rural Sociology, 58(4), 495-521.

피인용 문헌

  1. An Analysis on the Actual State of the Settlement and the Community of people returning to rural areas - Focused in Chungnam Province - vol.19, pp.4,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3.19.4.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