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특화도 분석에 따른 도심공간의 토지이용 패턴 연구

Analyzing Land Use Patterns of C.B.D. Using Special Quotients - The Case of Downtown Seoul -

  • 김태호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국토해양부 국토조사과) ;
  • 여홍구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투고 : 2012.07.03
  • 심사 : 2012.08.27
  • 발행 : 2012.08.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의 전통적 중심지역인 도심의 공간구조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중심부의 토지이용 패턴과 그의 특성을 분석하여 도심의 계획과 개발에 필요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을 통해 서울시 도심의 공간구조를 현재의 시점에서 고찰함으로써 향후 수도권을 포함한 광역 대도시권의 중심지로서의 공간구조 위계와 향후 서울도심부의 역할에 대하여 계획적인 요소와 세부적인 토지이용의 실증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중심업무 기능이 판매, 업무, 서비스시설이었던 점을 감안하여 이를 중심으로 연구대상지내 도심의 패턴 및 특성을 정리 하였다. 첫째, 토지이용의 판매시설 분포의 특성은 종로대로변을 따라서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는 가로축으로 발달하였고 퇴계로에서부터 명동, 남대문까지 가로축을 따라 높은 시설 분포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대형 상권이 존재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둘째, 토지이용의 업무시설 분포의 특성은 세종로와 을지로 서울시청, 서울역으로 이어지는 지역에 높은 분포율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서울시의 도심지역 정비계획과 청계천 복원사업, 도심재창조 프로젝트 등이 업무 판매 기능을 강화 하였으며 도심지역의 쇼핑 여가 관광 기능이 확대되어 주변 상권을 활성화 하였으며, 서울의 도심의 중심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properties of C.B.D and to provide direction that required for the plan and its development by analyzing land use patterns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center of the city. In this study, the future planning elements and detailed land use of Seoul was analyzed, in regard to the spatial structural hierarchy and the function of downtown, by investigation of its current urban spatial structure. First, the characteristic of the land-use for merchandising facilities is that it is developed from west to east along the Jong-ro, Myungdong and Namdaemun, it shows high rate of the facilities along the horizontal axis. The large market area on this district would be the reason to the high rate of mechandising facilities.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the land-use for business facilities is that it is highly rated on the area passing through the Sejong-ro and Seoul station. The analysis result of our investigation is that the projects executed by Seoul city such as 'downtown maintenance planning' and 'downtown recreation program' strengthened functions of business and merchandising and promoted downtown shopping, leisure, tourism functions resulting activation of nearby market place and evaluated as maintaing the centrality of downtown Seoul well.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재현, 2008, "분당, 일산 신도시 단독 주택단지 토지이용패턴 형성과정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태호, 2012 "도심의 공간 특성과 토지이용 패턴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태호, 여홍구 2012, "서울시 도심공간의 토지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제47권 제3호
  4. 여옥경, 2007, "서울영동신시가지 성장과 토지이용변화의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용배, 여홍구 2012, "중심업무지구의 토지이용 특성 및 공간적 영역설정에 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제 45권 4호
  6. 윤지예, 박홍기, 최윤수, 남대현, 2012, "공간정보기반의 행정경계 정비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20권, 제1호, P47-57.
  7. 이원도, 황철수 2011, "서울시 도시공간구조의 압축성 측정", 국토지리학회지 제45권 1호
  8. 이지은, 이명훈, 2011, "서울시 토지이용 용도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 Vol. 11 No. 5 P466-473.
  9. 이진아, 이성순, 2011, "도시개발 분석을 위한 규칙기반 영상분류", 한국GIS학회지, 제19권, 제6호, P43-54.
  10. 전병혜, 이명훈, 2001, "서울 도심부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 2001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P573-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