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ity analysis of the social emotion model based on relation types in SNS

SNS 사용자의 관계유형에 따른 사회감성 모델의 타당화 분석

  • Cha, Ye-Sool (Department of Emotio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
  • Kim, Ji-Hye (Samsung electronics marketing group, health & medical equipment business team) ;
  • Kim, Jong-Hwa (Department of Emotio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
  • Kim, Song-Yi (Department of Emotio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
  • Kim, Dong-Keun (Division of Digital Media, College of Software, Sangmyung University) ;
  • Whang, Min-Cheol (Division of Digital Media, College of Software, Sangmyung University)
  • 차예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감성공학과) ;
  • 김지혜 (삼성전자 의료기기사업부) ;
  • 김종화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감성공학과) ;
  • 김송이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감성공학과) ;
  • 김동근 (상명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디지털미디어학부) ;
  • 황민철 (상명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디지털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2.05.18
  • Accepted : 2012.06.12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ocial emotion model as an emotion sharing relationship and information sharing relationship based on the user's relations at social networking services. 26 social emotions were extracted by verification of compliance among 92 different emotions collected from the literature survey. The survey on the 26 emotion words was verified to the similarity of social relation types to the Likert 7-points scale.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survey data determined 12 representative social emotions in the emotion sharing relation and 13 representative social emotions in the information sharing relation. Multidimensional scaling developed the two-dimensional social emotion model of emotion sharing relation and of information sharing relation based on online communication environment. Meanwhile, insignificant factors in the suggest social emotion models were remov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tatistically. The test result of validity analysis demonstrated the fitness of social emotion models at emotion sharing relationships (CFI: .887, TLI: .885, RMSEA: .094), social emotion model of information sharing relationships (CFI: .917, TLI: .900, RMSEA : 0.050).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two different social emotion models based on two different relation typ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not only a reference of evaluating social emotions in design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but also a direction of improving social emotions.

본 연구는 SNS 사용자 간의 관계 유형을 감성공유관계와 정보공유관계로 분류하여 두 관계에 따른 사회감성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문헌에 근거하여 92개의 감성을 수집하여 적합성 검증을 수행한 후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26개의 사회감성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사회감성은 관계 유형에 따른 요인분석을 통해 12개의 대표 사회감성과 13개의 대표 사회감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대표 사회감성은 다차원척도분석을 통하여 2차원의 공간에 매핑하여 사회감성 모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사회감성 모델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요소들을 제거하였다. 타당성 검증 결과 적합도 지수를 통해 감성공유관계의 사회감성 모델(CFI:.887, TLI:.885, RMSEA:.094)과 정보공유관계의 사회감성 모델(CFI:.917, TLI:.900, RMSEA:.050)의 적합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사용자 관계 유형에 따라 상이한 사회감성 모델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사회감성 모델은 SNS상에서 인간의 감성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평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사회감성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