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준하의 언론사상 연구

Jang Jun-Ha's Journalism Thought

  • 김영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 Kim, Young-Hee (Institute of Communication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6.17
  • 심사 : 2012.07.20
  • 발행 : 2012.08.15

초록

이 연구는 한국 현대 언론사상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작업의 하나로, 1950~1960년대 월간 잡지 "사상계"를 발행하여 잡지 저널리즘의 영향력을 당시 주요 신문 못지않게 키운 잡지언론인 장준하의 언론사상을 고찰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장준하의 언론에 대한 인식이 어떤 과정으로 형성되었으며, 그의 언론사상의 주요 논리와 의미는 무엇인지 고찰했다. 이를 바탕으로 장준하 언론사상의 성격과 관련되는 문제들을 검토했다. 연구 결과 "사상계" 창간 당시부터 일관되게 나타나는 장준하의 언론사상의 토대는 지식청년층을 계몽하려는 민족주의적 계몽언론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1950년대 말부터 일종의 해설저널리즘 또는 방향제시 저널리즘의 성격도 보였다. 1962년이후 "사상계"에 대한 정치적 탄압이 심해지면서, 그의 언론사상은 일종의 주창 저널리즘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다고 평가된다. 장준하의 언론사상은 당시 한국 언론계와 학계에서 새롭게 인식되던 구미의 언론개념과 이론을 이해하고 수용하여 당시로서는 선진적인 사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주장과 논리는 언제나 구체적인 실천과 행동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있었다고 평가된다.

This study, as one of works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contemporary journalism thought in Korea, aims to review the journalism thought of Jang Jun-Ha, a magazine journalist who published the monthly magazine Sasanggye(思想界) from the 1950s to the 1960s and promoted its influence like major newspapers at that times. For the purpose it analyzed how his understanding of journalism had been performed and what his main logic and idea on journalism thought was. Based on the above it considered the matter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his journalism thought. As result of study his journalism thought can be said nationalistic enlightenment journalism consistently since he established the magazine to enlighten the educated youth, while it shows a kind of interpretive journalism or orientating journalism from the end of 1950s. In 1962 when political suppress on the Sasanggye was growing worse his journalism thought is evaluated to show a kind of advocacy journalism strongly. As he understood and received the concept and theory newly recognized in the academic and press community, his journalism thought could be said to be advanced at that times. Also his theory and assertion could be evaluated persuasive from the viewpoint of the following concrete execution and a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