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Factors Identification for a Product-Service Systems Through Utilization Analysis of Smart Devices

스마트기기 이용실태 분석을 통한 제품 -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요인 분석

  • Oh, Hyung-Sool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Roh-Gook (Departmen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Sangji University)
  • 오형술 (강원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 박노국 (상지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Received : 2012.06.01
  • Accepted : 2012.06.14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Due to customers' constantly increasing demand for personalized products and services, manufacturing enterprises integrate tangible physical products and intangible services to provide more diverse physical products and services. Many researchers are concerned with Product-Service Systems (PSS) modeling, but we have wondered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roduct and the service in a PSS. To find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in a PSS, the survey results on utilization of smart phone are analysed and compared based on the PSS design framework to identify design factors for PSS.

개인화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갈수록 커지면서, 기업들은 대량 고객화 시대에 제품(서비스)를 차별화 시키고 제품(서비스)의 가치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품과 서비스를 통합해가도 있다. 이를 제품-서비스 시스템(Product-Service System: PSS)라고 한다. 기존연구에서는 PSS 모델링 방법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서로의 특성이 전혀 다른 유형의 제품과 무형의 서비스를 통합하는 PSS의 설계요인을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설계요인 프레임워크에 의해 분석하는 실증적 탐색연구를 실시하였다. PSS에서 유형의 제품 기능은 무형의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보조적 역할을 하며, 서비스 기능이 주기능으로서 역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