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ercep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of a University-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toward Its Educational Programs

대학교 부설 영재교육원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인식

  • Received : 2012.03.14
  • Accepted : 2012.06.11
  • Published : 2012.08.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secondary gifted students of a university-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toward its educational programs. This study surveyed 184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the secondary gifted educational programs of a university-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gifted educational programs. The students also said that the programs have provided more knowledge to them and improved their creativity. It is significant to examine how students currently participating in gifted educational programs perceive the programs and how they are influenced by the programs. Therefore, improvement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uture gifte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rawn based on the collection of the results of perception surveys from each gifted education center.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 부설 과학 영재교육원 중등영재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이 연구는 대학교 부설 과학 영재교육원 중등영재교육과정 수강생 18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영재 학생들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재 학생들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을 더 많이 알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창의적 사고 등에서 향상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현재 영재교육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그 프로그램에서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따라서 각 영재교육기관별로 이루어진 인식 조사 결과를 종합하고 그를 바탕으로 향후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개선점을 도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 (2009). 과학 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 과학 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2. 김미숙(2007). 수요자 집단 및 성과지표별 영재교육 만족도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6(2), 165-188.
  3. 김윤화, 김현주(2010). 지역 교육청 영재교육원 중학생들의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192-205.
  4. 김현정, 유준희(2006).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진로선택 과정에 영향을 주는 과학 영재 캠프의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68-278.
  5. 박경희, 서혜애(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59-185.
  6. 박수경(2005). 과학영재학교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 인식 및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30-40.
  7. 서혜애, 이윤호(2003). 영재교육기관의 교수 학습 실태 분석: 중학생 대상 과학 영재교육. 중등교육연구, 51(2), 69-86.
  8. 서혜애, 정현철(2008). 대학교 부설 과학 영재교육원 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영재교육연구, 18(2), 313-341.
  9. 양태연, 배미란, 한기순, 박인호(2003).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와 지능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31-543.
  10. 이정규, 박춘성(2009). 국가별 영재교육정책과 영재성에 대한 비교 연구: 일본 영재교육의 발전 방향.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3(2), 1-18.
  11.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정현철, 이혜주(2003). 과학 영재의 지속적 발굴 육성 관리를 위한 국가 영재 교육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2. 한기순(2006).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5(1), 109-129.
  13. 한기순, 김영미(2008). 영재들은 행복한가? 영재, 잠재적 영재, 일반학생의 행복 관련 정서적 특성 비교. 영재교육연구, 18(3), 519-542.
  14. 한기순, 안도희, 김명숙, 양태연(2008). 과학 영재교육원 효과성에 관한 진단과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9(4), 271-295.
  15. 황희숙, 강승희, 황순영(2009). 영재 중학생의 영역과 학년에 따른 진로 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의 차이. 한국교육학연구, 15(2), 79-102.
  16. Drucker, P. F. (1993). Post-capitalist society. New York: Harper Collins.
  17. Gallagher, J, & Gallagher, S. A. (1994). Teaching the gifted child. Boston, Allyn & Bacon.
  18. Rensulli, J., & Smith, L. (1975). Learning styles inventory.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Center.
  19. Rensulli, J., Smith, L., White, A. Callahan, C., & Hartman, R. (1976).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Center.

Cited by

  1.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의 학습목표 특성 분석 vol.27, pp.1, 2012, https://doi.org/10.9722/jgte.2017.27.1.17
  2.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에 대한 인식 비교 -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vol.37, pp.4,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625
  3.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성별과 재능 분야에 따른 과학 관련 태도 조사 연구 vol.45, pp.3, 2012,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3.355
  4.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공학 설계 과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vol.37,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