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매입형 FRP봉과 보강철물을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 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Retrofitted by Embedded FRP Rod and Metal Fittings

  • Ha, Gee-Joo (Dep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
  • Shin, Jong-Hack (Dep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
  • Ha, Young-Joo (Dep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
  • Kang, Hyun-Wook (Dept. of Architecture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 투고 : 2012.03.27
  • 심사 : 2012.05.28
  • 발행 : 2012.08.31

초록

이 연구에서는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구조성능 향상을 위하여 매입형 FRP봉과 보강철물을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매입형 FRP봉의 사용량, 보강철물 유무에 따라 총 7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여 구조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이 연구의 실험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매입형 FRP봉 보강실험체(BCR 시리즈)의 경우 표준실험체(BSS)와 비교하여 21~55% 내력이 증가하였고, 매입형 FRP봉과 보강철물을 보강한 실험체(BCR-AC 시리즈)는 표준실험체(BSS)보다 최대내력이 21~63% 증가하였다. 그리고 매입형 FRP봉으로 보강된 실험체는 부착슬립, 피복분리 형태로 파괴되었으나, 매입형 FRP봉과 보강철물을 보강한 실험체는 보강철물의 구속효과로 부착슬립의 형태로 파괴되었다.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reinforced concrete beam using strengthening materials (embedded FRP rod, metal fittings)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Seven reinforced concrete beams comprised of retrofitted embedded FRP rod (BCR series), embedded FRP rod with metal fittings (BCR-AC series), and standard specimen (BSS) were constructed and tested under monotonic loading. Design parameters of test specimens were amount of embedded FRP rod and metal fitting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load carrying capacity of specimens with embedded FRP rod (BCR series) and embedded FRP rod with metal fittings (BCR-AC series) increased by 21~55% and 21~63%,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pecimen BSS. BCR series test specimens failed by the adhesion slip and concrete cover separation. BCR-AC series test specimens failed by the adhesion slip due to the confining effect of metal fittings.

키워드

참고문헌

  1. 하기주, 신종학, 하지웅, 전찬목, 최응규, "철근콘크리트 보의 보수보강에 따른 구조성능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3권, 4호, 1997, pp. 327-339.
  2. 이영범, "기존 철근콘크리트 골조 및 접합부의 보강에 따른 내진성능 평가 및 개선," 석사학위논문, 경일대학교 대학원, 2002, pp. 1-11.
  3. 류동우, "FRP 보강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휨 및 전단 설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pp. 1-38.
  4. Ha, G. J., Kim, Y. Y., and Cho, C. G., "Groove and Embedding Techniques Using CFRP Trapezoidal Bars for Strengthening of Concrete Structures," Engineering Structures, Elsevier, Vol. 30 Issue 4, 2008, pp. 1067-107. https://doi.org/10.1016/j.engstruct.2007.07.006
  5. 하기주, 신종학, 하지웅, 전찬목, 주정준, 최응규, "손상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성능 평가 및 개선,"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17권, 2호, 1997, pp. 1057-1064.
  6. 하기주, 신종학, 박연동, 전찬목, 이영범, 김기태, "고성능 탄소섬유판과 보강철물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신기술 개발,"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구조계), 22권, 1호, 2002, pp. 87-90.
  7. 강대언, 우헌수, 최기선, 유영찬, 이원호, "FRP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부재의 전단내력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4권, 10호, 2008, pp. 3-10.
  8. 김나정, 이은주, 신영수, 홍건호, "FRP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 거동에 미치는 보강면 처리의 영향,"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권, 1호, 2004, pp. 75-82.
  9. 김진율, 김광수, 박선규, 이영재, "CFRP가 보강된 철근 콘크리트 보의 거동과 연성,"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9 권, 2호, 2007, pp. 225-231.
  10. Abdel-Fattah, B. and Wight, K., "Study of Moving Beam Plastic Hinging Zones for Earthquake Resistant Design of R/C Buildings," ACI Journal, Proceedings, Vol. 89(84-S4), 1987, pp. 3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