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field test on mud flat remediat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treatments such as microbial dose and an oxygen releasing compound like $CaO_2$. The size of each treatment site was $100m^2$ and the dosage was 3.6 kg per site. The 6 week monitoring showed that pH on two sites was below 7 and ORP increased from .178~-188 mV to .121~-142 mV. In Ignition loss and CO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Meanwhile nitrogen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changed: ammonia concentration decreased both on control and treatment sites. Nitrate nitrogen decreased more on combined treatment site than on single microbial treatment (11.3% vs. 7.3%) probably because the extra oxygen supplied by $CaO_2$ formed more oxic environment so that the facilitated nitrification might produce more nitrate but the nitrate would be much rapidly released into the water layer out of the sediment. That also explains the total nitrogen reduction(6.1%). Similarly, T-P and $PO_4-P$ reduced by 29% and 31.8%, respectively on combined treatment sites, resulting from the phosphorus release effect though the initial concentrations of the two factors were considerably high.
현장 갯벌에서의 미생물제제와 $CaO_2$처리를 통한 효율성을 관찰하고자 유용미생물 및 미생물과 $CaO_2$를 혼합하여 특수 처리한 제제를 $100m^2$ 크기의 각 처리구에 3.6kg씩 살포하여 6주간 모니터링 결과, 두 처리구로부터 pH 및 ORP는 평균 pH 7이하, ORP는 초기 값(-178 mV ~ -188 mV)에 비해 .121.06 mV ~ -142.06 mV로 다소 상승하였다. 강열감량과 COD의 경우, 큰 변화가 없었으며 질소와 인 계열은 다소 효과가 있었는데 암모니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와 더불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질산성질소의 경우, $CaO_2$와 미생물제제의 혼합처리(11.3%)가 미생물제제 처리(7.3%)보다 질산염농도가 감소한 이유는 산소발생에 의한 어느 정도의 호기화된 조건에서 질산화반응에 의해 퇴적토의 질산염이 수층으로 용출된 결과로 생각되며 이에 따라 총 질소의 농도도 혼합처리에 의한 감소(6.1%)로 이어진 결과라 판단된다. 마찬가지로 인의 경우에도 초기 농도가 다소 높은 수치(T-P는 0.761 mg/g, $PO_4-P$는 0.529 mg/g)를 보였으나 혼합 처리구에서 T-P는 29%, $PO_4-P$는 31.8%의 감소율로 미생물제제보다 인의 용출을 억제시킨 결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