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 투고 : 2012.06.04
  • 심사 : 2012.07.16
  • 발행 : 2012.07.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프로그램은 이주희 등(2010)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지침서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교양강좌로 활용할 수 있도록 13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매 회기는 강의 50분과 실습 활동 프로그램 100분으로 이루어져있다. 본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배부된 설문지 중 쌍(pair)을 이루지 않거나 누락된 것을 제외한 실험집단 19명과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심리 사회 성숙 검사 질문지를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하여 비모수 통계검정인 맨-휘트니 검증(Mann-Whitney U test)과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참여자에게 프로그램 참여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부분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전-사후 검사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심리 사회 성숙 전체점수와 하위 요인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으며, 사전-추후 검사에서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심리 사회 성숙 전체와 하위요인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일정기간인 10주가 경과하여도 지속적으로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심리 사회 성숙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d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sycho-social maturity personality improvement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program based on the book written by Lee et al.(2010) to improve the personality for university student was used.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3 session and every session consisted of a 50 minutes lecture and 100minutes activity program.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pre-test, post test and follow up test regarding psycho-social maturity and conducted Mann-Whitney U test and the ancova. The results showed who had participated in counseling groups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psycho-social maturity total scores and sub score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port any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10 weeks follow-up point, these changes experienced by the experiment group on the improvement of the psycho-social maturity. Finally the personality program helped improve the psycho-social maturity.

키워드

참고문헌

  1. 송명자, 이현림,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인간 관계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2호, pp.269-291, 2008.
  2. 이영애, "대학 중도탈락자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동서정신과학, 제9권, 제1호, pp.95-104, 2006.
  3. 양승실, 김편진, 주경필.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제9권, 제2호, pp.145-170.
  4. 권석만, 집단상담 활동의 유형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 전경표, 현실치료 집단상담이 내적 통제성과 대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6. B. R. Thompson and P. R., Green, "Classroom strategies for identifying and helping college students at risk for academic failure," Journal of College student, Vol.36, No.3, pp.398-402, 2002.
  7. 여정희, 현미열, 이은주, 박은옥, 김정희, 송효정, "일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숙도, 우울 및 자존감에 관한 연구", 정서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73-81, 2005.
  8. 서혜석, 공은숙,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청소년보호지도연구, 제15권, pp.54-70, 2009.
  9. 팽영일,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동서대학교 동서논문집, 제7권, pp.9-110, 2001.
  10. 김영인,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개발, 제93권, 교육개발원, 1995.
  11. 박병기, 인성교육의 성공을 위한 부모의 역할과 책임. 교육개혁 구민대토론회 제의 교육입국을 위한 새학교문화창조, 새교육공동체위원회, 1998.
  12. 전제아, "한국 대학에서의 인성 교육 과정 사례 분석: 서울 소재 4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인간연구, 제9권, pp.5-31, 2005.
  13. 황정규, 서민원, "대학 교육이 학생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평가 패러다임, 결과 및 함의", 고등교육연구, 제9권, 제1호, 한국고등교육학회, pp.151-180, 1996.
  14. 김기수,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5. 최관경, 교육의 목적에 관한 연구: 교육사적 교육철학적 논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6. 김지숙, 인간관계 훈련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7. 윤경미, 인간관계개선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대인관계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8. 하경옥, 놀이중심의 인간관계개선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9. E. McGinnis and A. P. Goldstein, Skills streaming in early childhood. Research press, 1990.
  20. 손진희, 인성교육 참여가 청소년의 심리․사회 성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1. 김충기, "평생교육과 학력경쟁사회", 사학 55, pp.45-51, 1990.
  22. 박정희, 부모의 가정교육방향 및 양육행동이 자녀의 심리․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3. L. Steinberg, Adolescence. N.Y.:Alfred A. Knopf, 1985.
  24. 정옥경, 가정환경이 대학생의 심리․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5. 양창삼, 인간관계론, 서울:경문사, 2001.
  26. 김홍규, 대학생용 심리․사회적 성숙도 검사, 서울:삶의 질 연구원, 2006.
  27. 이형득, "대학의 인성교육과 교육관련 연구소의 역할", 교육학연구, 제14권, 제1호, 1996.
  28. 김계현, 상담심리학, 서울:학지사, 1998.
  29. E.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Y:Norton, 1963.
  30. R. M. Ryan, "Psychological needs and the facilitation of integrative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Vol.63, pp.397-427, 1995. https://doi.org/10.1111/j.1467-6494.1995.tb00501.x
  31. 이주희, 박은민, 박희현, 인성함양. 서울:공동체, 2010.
  32. 이주희, 최명선, 류진아, 박희현, 인성함양, 전남: 동신대학교 출판부, 2008.
  33. 이주희, 최명선, 류진아, 박희현, "광주․전남 기업의 적응적인 직원 인성 특성 분석: 인성함양 교과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동신대학교논문집, 제17권, pp.363-384, 2008b.
  34. 김홍규, 대학생용 심리․사회적 성숙도 검사, 서울:삶의 질 연구원, 2006.
  35. 조민아, 집단상담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6. 김동원, 김정희, 김지현,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의 효과 개관", 상담학연구, 제5권, 제4 호, pp.1035-1049, 2004.
  37. 주은선, 현수경,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향상에 도움이 되는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학생생활연구, 제21권, pp.23-41, 2005.
  38. 조윤경, "한국인의 나 의식-우리 의식과 개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1호, pp.91-109, 2002.
  39. 서봉연, 황상민, "서울대생의 심리사회성숙성에 관한 연구", 학생연구: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 제28권, 제1호, pp.1-31, 1999.
  40. 이형득, 인간관계훈련의 실제. 서울:중앙적성출판사, 1982.
  41. 김세봉, 변상해,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1호, pp.447-459, 2012.
  42. M. S. Corey and G. Coery, Groups: Process and practice(7th ed.). Pacific Grove, CA:Brooks/Cole, 2006.
  43. 이현림, 생활지도. 서울:양서원, 2007.
  44. 김세봉, 변상해, "또래 상담 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제11권, 제2호, pp.466-476, 2011.

피인용 문헌

  1. Effectiveness of Enneagram Group Counseling for Self-identification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vol.43, pp.5, 2013, https://doi.org/10.4040/jkan.2013.43.5.649
  2. The Class Development of Liberal Arts Through Link of Well-being·Well-Dying and Housing Environment vol.25, pp.2, 2016, https://doi.org/10.5934/kjhe.2016.25.2.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