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Post-viewing Emotion and Behavior on the Dance Audience

무용공연 관람객의 관람 후 감정과 행동 분석

  • Received : 2012.04.27
  • Accepted : 2012.05.31
  • Published : 2012.07.28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post-viewing emotion and behavior of the audience at a dance performan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To attain the goal of the study described above paragraphs, the audience of dance performance located in Seoul and Kyoungki-Do was set as a collected group. Then,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inally drew out and analyzed 280 people in total. statistic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SPSS 18.0 program. Based on the statistical methods above, we had the result of data analysis as follows; Firs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job, viewing frequency, dance experience, and genre), had significantly effect on the post-viewing emotion(positive emotion, satisfaction) Second,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job, viewing frequency, dance experience, and genre), all the factors had significantly effect on post-viewing behaviors(researching, respectating intention).

본 연구에서는 무용공연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관람후 감정과 행동의 차이가 어떠한 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무용공연장을 이용하고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참여자 280명을 표집하여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 관람 후 감정(관람감정, 만족도), 관람 후 행동(탐색행동, 재관람 의향)의 변인에 대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SPSS 18.0 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에 따른 관람 후 감정(긍정적 감정, 만족도)의 차이가 관람횟수 변인에서 관람횟수가 높을수록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에 따른 관람 후 행동(탐색행동, 재관람 의향)의 차이가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용경험이 있는 집단, 관람횟수가 많은 집단, 예술가집단, 현대무용과 한국무용관람 집단에서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P. Diesing, "A Note on the Performing Arts," Journal of Economic Issues, Vol.31, pp.1059-1060, 1997. https://doi.org/10.1080/00213624.1997.11505994
  2. 문화체육관광부, "2008공연예술실태조사", 2008.
  3. 심현화, "무용공연관객의 관람특성이 플로우 (flow)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제21권, pp.187-199, 2010.
  4. 황혜영, 공공 공연장 운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5. W. J. Baumol and W. G. Bowen, "Performing Arts-The Economic Dilemma," The MIT Press, 1968.
  6. E. G. Thomas and B. D. Cutler, "Marketing the Fine and Performing Arts: What has Marketing done or the Arts lately," Journal of Professional Service Marketing, Vol.10, pp.181-199, 1993.
  7. R. Rebtschler, "Museum and Performing Arts Marketing: A Climate of Change,"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 Vol.28, pp.83-96, 1998. https://doi.org/10.1080/10632929809597280
  8. 박재홍, "발레관객 특성이해를 통한 잠재관객 확대방안", 한국무용과학회지, 제14권, 2007.
  9. 기업의 지원을 확보하는 7단계, 메세나, 제39권, 제11호, pp.53-54, 2001.
  10. B. J. Joy, "Staffing, Funding and Accounting within Australian Ballet," Australian Accountant, Vol.54, pp.714-718, 1984.
  11. A. Feist and J. Eckstein, "Cultural Trends," Policy Studies Institutes, 1991.
  12. P. Kotler and A. R. Anreason, "Strategic marketing for nonprofit organiz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7.
  13. A. Payne and J. Rickard, "Relationship Marketing, Customer Retention and Service Firm Profitability," Unpublished paper delivered at ANZAM conference, Wellington, New Zealand, pp.8-10, 1994.
  14. C. Romano and J. Ratnatuga, "The role of marketing: Its impact on small enterprise research,"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29, No.7, pp.9-30, 1995. https://doi.org/10.1108/03090569510094982
  15. 김가영, 무용공연의 환경요인이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6. 문종주, 프로농구 현장 관람요인이 관람만족과 재관람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7. 안홍철, 프로농구 경기장의 관람요인이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8. 정정희, 프로축구 관중의 관람만족과 행동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9. 정준호, 프로야구 관중의 의사결정요인에 따른 경기관람만족이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0. 정지연, 프로야구 관람유인요인이 관람만족 및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1. 국승희, 무용공연관람객의 공연선택 및 관람 후 행동모형 분석, 한국체육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2. 지주은, 뮤지컬 관객의 성향연구,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3. 백순기, "무용공연장르별 관람만족과 재관람 의사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 학회지, 제29 권, pp.121-132,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