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가 건설교통 R&D 사업의 실용화 향상을 위한 기술성숙도평가 기반 R&D 평가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Implementation of TRL and TRA tools to Korean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R&D Evaluation for Improving Practical Use

  • 김남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초고층장대교량학과) ;
  • 안병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초고층장대교량학과) ;
  • 이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초고층장대교량학과) ;
  • 최재홍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초고층장대교량학과) ;
  • 박상혁 (한미글로벌 건설전략연구소) ;
  • 김예상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 투고 : 2012.04.04
  • 심사 : 2012.05.02
  • 발행 : 2012.07.31

초록

최근 지식기반 경쟁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선진국은 R&D 투자를 확대하고, R&D사업의 성과확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의 NASA, DoD 등의 기관은 정량화된 성관관리 지표로서, 기술성숙도(TRL)를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기술성숙도 평가체계(TRA)를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구는 특히 실용화를 목적으로 하는 R&D사업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개념은 실용화를 목적으로 하는 국내 국가 건설교통 R&D사업에 적용했을 때, 현재 연구내용의 학술적 성과에 치중되어있는 평가체계의 단점을 극복하고 실용화 달성의 취지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RL 및 TRA 개념과 국내 국가 건설교통 R&D사업의 특성 및 현행 평가 관리체계를 분석하여 실용화 목적 달성을 위한 건설교통 R&D 사업의 TRL TRA 수행 모델을 제시하였다.

Recently as the advent of knowledge-based competition, the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including Korea, are expanding their R&D investment and promoting policies for diffusing of R&D performance. For this, NASA, DoD and such agencies in the United States define Technology Readiness Level (TRL) as a quantified indicator for performance management, and also impose 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 (TRA) as a evaluation system, that evaluates technology maturity using TRL. These tools are judged to be very effective in R&D projects especially with the object of practical use. When this concept is applied to the domestic national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R&D project for the purpose of practical use,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system overcomes its weakness of focusing only on academic results and improves significantly on intent of achieving practical use. Thus in this study, TRL/TRA implementation model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R&D project for achieving purpose of practical use is presented through an analysis of TRL/TRA concept and domestic national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R&D project's characteristics and current evaluation/management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일두(2011), "건축/도시 R&D의 나아갈 방향",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6호, pp 53
  2. 김중명(2010), "국방연구개발 사업의 시스템 기술성숙도 평가모델 개발", 아주대학교 대학원 시스템공학과 박사학위 논문
  3. 김찬수.박경진 (2009), "국방핵심기술 연구개발의 기술성숙도 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4. 박환표 (2011). "건설 신기술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재12권 1호, pp. 116.
  5. 유명희(2010), "제2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안)", 국가 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 pp. 2-3.
  6. 정지윤 (2011), "건설교통 R&D 성과 현장 활용 제고방안 연구,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pp. 24.
  7. 국방기술품질원 (2009), "기술성숙도평가(TRA) 방법론 및 적용 방안 연구", 국방기술품질원 pp. 32-38, 113, 214
  8.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9), "건설교통기술 연구개발 사업 사업단과제 관리지침 개정(안)", pp 36-40
  9. 한국도로공사 초장대교량사업단 (2011), "초장대교량연구사업 3차년도 진도점검계획", pp 3-6
  10. Defense Acqusition University (2011), "Deffense Acqusion Guidebook", pp. 219-220
  11. U. S. DoD (2011)," 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 (TRA) Guidance"
  12. U. S. DoE (2011), "Technology Readiness Assessment (TRA) / Technology Maturation Plan (TMP) Process Guide", pp. 28-30

피인용 문헌

  1. A Study of evaluation methodology and basic data building to apply for the new renewable energy technology on the type of building vol.14, pp.2,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2.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