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pen BIM-Based Quality Control for Enhancing the Design Quality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hase

건축설계 단계에서 설계품질 향상을 위한 개방형 BIM기반 품질관리 방안

  • Received : 2011.03.07
  • Accepted : 2012.04.24
  • Published : 2012.07.31

Abstract

Currently,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s an emerging technological shift that involves applying and maintaining an integral digital representation of all building information for different phases of the project life-cycle. Although BIM has been recognized as a main stream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quality of BIM data due to the problems such as internal errors of BIM tools and lack of guidelines considering design quality. Such problems give lots of difficulties to BIM adoption for designers, constructors, and own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requirements including the object-oriented modeling method and property definition by applying the Industry Foundation Classes (IFC) which is an ISO/PAS 16739 standard for ensuring the quality of BIM data. This research aims at proposing the requirements considering the quality of BIM data and demonstrating the efficiency of the requirements with using the Solibri Model Checker (SMC) which is a quality control tool in a case study.

현재 BIM을 도입한 주요 국가들은 BIM 발주 또는 납품 전 단계에서 설계사가 설계과정 중 기본적인 품질 확보가 가능하도록 필요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건설산업의 경우, BIM의 도입 및 적용은 확산되고 있으나, BIM 발주 시 설계품질을 고려한 지침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설계사는 자의적 해석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으며, 발주자는 납품받은 BIM 데이터의 품질을 신뢰하기 힘든 상황이다. 또한, BIM 소프트웨어의 내부 오류는 파악할 수 없는 관계로 자체 포맷에 의한 품질검토는 BIM 데이터의 품질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BIM 데이터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방형 BIM(IFC)을 활용한 객체모델링과 객체별 속성 정의 등을 포함하는 지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는 BIM 데이터의 기본 품질을 보증하고, 품질검토를 통하여 좀 더 나은 품질을 확보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설계품질 향상을 위한 개방형 BIM기반의 품질관리 방안으로 해외 주요 국가들의 선진사례와 품질검토 소프트웨어를 조사 분석하여 기본적인 품질관리가 가능한 요구조건을 제시하였고, 기존 BIM 사례에 적용하여 요구조건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송미림.윤수원.진상윤 (2011) "BSC를 기반으로 한 BIM 프로젝트의 만족도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2권, 4호, pp. 117-129.
  2. 이주성.문성곤.김주형.김재준 (2009) "건설사업 BIM 활성화 저해 영향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757-763.
  3. 조성(2010) "공공 건설프로젝트의 BIM 요구사항과 평가방법에 관한 참여자의 의견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4. 정광량(2010). "BIM 설계 사례를 통해 본 문제점과 해결책." 한국건축시공학회지, 10권, 3호, pp. 18-22.
  5. Andreasen, B. S. (2010). "The new ramboll head office." .
  6. Autodesk (2011). "Autodesk Navisworks" .
  7. Brucker, B. et al. (2006).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 a road map for implementation to support MILCON transformation and civil works projects within the U.S. Army Corps of Engineers." U.S. Army Corps of Engineers.
  8. BuildingSMART (2011). "International home of OpenBIM." .
  9. GSA (2010). "GSA BIM guide series." .
  10. Jacobsen, K. et al. (2006). "3D working method 2006/3D CAD manual 2006/layer and object structure 2006/3D project agreement 2006." Bips.
  11. Jotne EPM Technology (2010). "BIM Manager MSMLite" .
  12. Kiviniemi, A. et al. (2007). "BIM requirements2007-volume 6: quality assurance and merging of models." Senate Properties.
  13. Kvarsvik, O. K. (2009). "National museum at Vestbanen architect competition BIM requirements and results." .
  14.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1996). "A guide to the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PMI Standards Committee, 3rd Ed. USA.
  15. Smith, S. (2008). "Field BIM at the meadowlands stadium project." .
  16. Tekla (2011). "Tekla BIMs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