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urface Phenomena of Re-creational Gilt Layer by Conditions of Heat Treatment

열처리 조건에 따른 재현 도금층의 표면현상 연구

  • Yang, Seok-Woo (Gyeore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oo-Ki (Department of Cultural Properties, Yongin University)
  • 양석우 ((재)겨레문화유산연구원) ;
  • 김수기 (용인대학교 문화재학과)
  • Received : 2012.01.17
  • Accepted : 2012.03.07
  • Published : 2012.03.20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a mercury amalgam gilding technique and examines how the color, surface and section of the gilt layer changes as the condition of heat treatment with mercury amalgam gilt object is changed. Some previous studies have mentioned reasons for various colors on gilt bronze artifacts depending on gilding manufacture and environment. However, reason for reddish color with gold on the artifacts' surface brought on high temperature corrosion has yet to be discussed and analyzed. A methodology was found in representing the mercury amalgam gilding technique and heat treatment te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heat treatment test, in the conditions of higher temperature and longer time, the oxidized layer on the gilt layer was distributed more widely and in the part when the oxide layer was eliminated, the gilt layer with a reddish color was observed. Moreover, in the surface observation of the specimen on which yellow and reddish colors were agitated, the changing aspects of its surface condition differed by colors. When investigated the sec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void density and size became larger. After a test, the surface components changed; the temperature of heat treatment increased, component ratio of Hg and Au decreased gradually but component ratio of Cu increased. In regard to the gilt layer, as the time was longer and the temperature became higher for the heat treatment, the component ratio of Au and Cu by layers tended to change in inverse proportion. It is concluded that gilding techniques and the burial environment can make a difference in the surface color of the gilt layer on the gilt bronze artifacts, the high temperature corrosion that occurs by heat after they are manufactured is also one of the factors that affects their surface color.

이 연구는 매장상태에서 출토되는 금동유물의 표면색이 고유한 금색 이외에 붉은 계열의 색들과 교반되어 나타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수은아말감도금법을 재현해 보고 완성품에 대하여 열처리 조건을 변화시켜 도금층의 표면색과 표면 및 단면의 상태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높은 열처리 실험조건 일수록 도금층에 검은 산화물층이 넓게 생성되었으며, 산화물층을 제거한 부분에서는 붉은색의 도금 표면색이 표출되었다. 또한 표면이 노란색과 붉은색으로 교반된 시료의 미세 표면관찰에서는 색상에 따라 표면상태의 변화양상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단면에서는 도금층 공극의 밀도와 크기가 점차 커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열처리 실험 후 표면성분분석 결과 온도가 올라갈수록 Hg와 Au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나 Cu의 성분비는 증가하였다. 또한 단면분석 결과에서도 실험조건에 따른 층위별 Au와 Cu의 성분변화가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들을 볼 때 아말감을 이용한 금동유물은 생산과정이나 생산 이후에 열이 도금층의 표면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며 도금층 상태에도 관계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향아, "韓國 古代의 金屬材料". 한국공예논총, 2, p79- 81,(1999).
  2. 한만성, "우리나라 고대 아말감 도금법 연구-고대 금동제 유물을 중심으로- ".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4, (2000).
  3. Peter Northover and Kilian Anheuser, "Gilding in Britain: Celtic, Roman and Saxon". Gilded Metal, Terry Drayman-Weisser (ed.), Archetype Publications Ltd, p110-119, (2000).
  4. 유혜선, 박학수, 신용비, "안압지 금동판불의 과학적 분석". 박물관보존과학, 8, p49-59, (2007).
  5. 백승희, 한민수, 김수기, "선원사지 출토 금동축수의 표면색과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16, p52-63, (2004).
  6. 문환석, "韓國 古代 金屬工藝의 科學技術的 硏究 ".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7. 이난영, "한국고대금속공예연구 ". 일지사, p173-174, (1992).
  8. 한민수, 황진주, 문환석, "고대 도금 제작기술에 관한 연구- 수은아말감 도금법을 중심으로-". 보존과학연구, 23, p115-118, (2002).
  9. 김지선, "고대 금도금 기법에 관한 연구 ".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0. Lyndsie Selwyn, "Corrosion Chemistry of Gilded Silver and Copper". Gilded Metals, Terry Drayman-Weisser(ed), Archetype Publication Ltd, p26-36, (2000).
  11. 이선명, 남궁승, 김연미,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금동광배의 도금층 분석". 제29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134-136, (2009).
  12. 전익환, 이재성, 박장식, "도금 유물에서 확인되는 확산 현상에 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26, p109-120, (2010).